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촉진자 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학교숲 조성

        신해선 ( Hae-seon Shin ),최송현 ( Song-hyun Choi ),장정은 ( Jung-eu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학교숲은 국민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학생 청소년과 교직원이 일상생활의 절반 이상을 보내는 생활공간이자 학교의 뜰이자 ‘가르칠 수 있는 순간’에 당장 활용하는데 적합한 환경교육의 장이다. 1999년부터 시작된 학교숲 운동을 통해 학교숲 조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학교숲 조성에 대한 지향을 갖기 시작하면서 학교숲의 활용에 대한 관심과 지역사회에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학교숲의 조성은 학교관리자의 관심도에 따라 수목선정과 사후관리가 달라지므로 학교구성원의 참여를 통한 조경에 대한 관심도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학교숲 조성 시 학교 실정 및 주변 여건, 학교별 특색에 적합하지 않은 획일적인 조경계획 및 시공이 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획일적인 학교 조경계획을 지양하고, 학교여건 및 학교 특색을 반영한 교육환경 조성,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애정증진과 조성된 학교숲 활용을 위하여 ‘촉진자(facilitator)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지속가능한 생태환경미래학교숲 조성을 시도하였다. 촉진자 프로그램을 도입한 학교숲 조성에는 촉진자, 학교구성원, 설계자, 시공자가 함께 하였다. 대상지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마산여자중학교였다. 마산여자 중학교에 조성되어있는 수목은 26과 35속 49종으로 총 식재되어있는 수목의 수량은 약 899주로 조사되었다. 학생 1인당 수목 수는 약 3.7주로 경상남도에 소재한 타학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목의 종류가 많고 울창하나 화훼류가 부족하여 수종의 다양성을 늘일 필요가 있었으며, 운동장이 넓은 편이나 교육활동에 활용도가 낮은 실정을 고려하여, 운동장 일부 공간을 생태학습장으로 조성하여 녹지공간 확보와 학생들의 이용을 높이고 자연 속에서 배움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재구조화를 목표로 하였다. 학교숲 조성 시 촉진자의 역할은 학교구성원들에게 학교숲 교육을 통해 학교숲 진단 및 컨설팅을 진행, 학교구성원들이 원하는 학교숲을 위한 의견 도출 및 요구사항 수렴, 설계자와 학교구성원 간의 의견 조율을 통한 설계안 도출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마산여자중학교의 학교숲 조성을 위해 촉진자와 함께 하는 4번의 워크숍과 학교구성원 자체 의견수렴과정을 거쳐 최종설계도면을 도출하여 시공 및 마무리를 하였다. 촉진자와 함께하는 워크숍을 통해 학교구성원들이 원하는 학교숲을 조성하기 위한 조건들을 종합한 결과, 자연 속에서 배움과 휴식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공간. 사계절의 꽃과 나무를 볼 수 있는 정원 같은 공간. 모두가 함께 하되, 학교숲 업무담당이 있어야 하는 곳으로 정리하였다. 실질적으로 조성되기를 원하는 학교숲의 모습을 학교구성원 간 그룹토론과 발표를 통해 함께 의견을 공유하는 것으로 큰 의미가 있었으며, 향후 설계안 도출 시 설계자에게 의견을 전달하여 설계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 설계안은 원형마당, 다목적 잔디마당, 무대공간 설치 등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이 가능한 힐링산책로를 테마로 최종설계안을 도출하였다. 촉진자 프로그램 도입을 통한 학교숲 조성은 학교구성원들에게 학교숲에 대한 필요성과 학교숲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며, 조성 과정에 함께 참여를 하여 학교숲에 대한 관심과 애정, 모교에 대한 자부심을 중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학교숲 조성 후에는 학교숲을 활용한 정기적인 교육체험 프로그램, 학교수업 연계 유지 및 관리를 통해 지속가능한 학교숲이 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InVEST 모델을 이용한 가지산도립공원의 서식지질 분석과 생태계서비스평가

        권혜연 ( Hye-yeon Kwon ),장정은 ( Jung-eun Jang ),신해선 ( Hae-seon Shin ),유병혁 ( Byeong-hyeok Yu ),이상철 ( Sang-cheol Lee ),최송현 ( Song-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3

        생물다양성협약(CBD)에서는 전 지구적으로 발생하는 환경문제의 대응방안으로 육상의 17%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하도록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제적 수준에 맞춰 보호지역을 지정하고 보호지역 지정이 가지는 의미를 설명할 필요성이 생겼으며, 이에 따라 생태계서비스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보호지역 지정을 자연공원법에 의해 위계별로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으로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 행정적 측면이 우선시되면서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연구 및 서식지 관리가 국립공원에 편중되어 도립 및 군립공원은 다소 미비하여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에 비해 서식지 관리 및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연구가 미비한 가지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 InVEST 모델 중 InVEST Habitat Quality 모델을 사용하여 서식지 질을 평가하고, 분석 결과를 16개의 산악형 국립공원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가지산도립공원의 서식지질 값은 0.83이었으며, 주변 지역에 비해 서식질 질이 높게 나타났다. 3개 지구별 서식지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도사지구와 내원사지구가 0.84, 석남사지구가 0.83으로 나타났고 용도지구별로는 자연보존지구, 자연환경지구, 문화유산지구, 공원마을지구 순으로 서식지질 값이 높게 나타났다. 기존 국립공원 서식지질 분석 결과와 비교한 결과 가지산도립공원은 무등산국립공원 수준의 자연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도립공원의 생물다양성 보전 및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정책 수립과 관리방안 수립의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vention on Biodiversity (CBD) recommends that 17% of the land be designated as a protected area to counter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Korea also realized a need to designate protected area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evel and explain the significance of designating protected areas. Accordingly, studies on ecosystem services are required. In Korea, the protected areas are designated as national parks, provincial parks, and county parks by hierarchy under the Natural Parks Act. However, as priority was on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research on ecosystem service value evaluation and habitat management were concentrated in national parks, and provincial and county parks were relatively neglected. Therefore, more studies on provincial and county parks are necessary. In this study, habitat quality for Gajisan Provincial Park, where there were few studies on habitat management and ecosystem service valuation, was evaluated using the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among the InVEST models. The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16 mountainous national par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abitat quality value of Gajisan Provincial Park was 0.83, high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areas. The analysis of habitat quality in three districts showed 0,84 for the Tongdosa and Naewonsa districts and 0.83 for the Seoknamsa district. By use district, the nature conservation district, the natural environment district, the cultural heritage district, and the park village district had the highest habitat quality value in that order. Compared with the existing habitat quality analysis results of national parks, Gajisan Provincial Park showed naturalness at the level of Mudeungsan National Park.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objective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management plans to preserve biodiversity and promote ecosystem services in provincial parks.

      • InVEST 모델을 이용한 주요 국립공원지역의 담수분석

        최송현 ( Song-hyun Choi ),유병혁 ( Byeong-hyeok Yu ),장진 ( Jin Jang ),신해선 ( Hae-seon Shin ),장정은 ( Jung-eun Jang ),권혜연 ( Hye-yeon Kw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InVEST(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는 미국 Stanford대학을 중심으로 Natue Conservancy와 World Wildlife Fund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오픈 소스 모형으로써 자연으로부터 얻는 재화와 서비스를 지도화 및 가치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naturalcapitalproject. stanford.edu/). 2008년부터 개발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서식 지질, 탄소저장량, 토양침식 등 다양한 세부모형이 개발되었다. 각 모형은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관련 인자를 투입하여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Sharp et al., 2014). InVEST 모형중 담수(Water Yield)분석은 특정 지역의 연간 물 생산량을 단순화된 물수지법(water balance)을 적용하여 계산한 것이다. 연간 강수량에서 연간 실제 증발산량을 빼고 연간 물 공급량을 계산하며, 지표면 하부의 물 흐름을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지표면의 물 유출량과 지표 하부 식물의 물 유입에 따른 가용량, 지하수 함양량 구분하지 않고 전체 물 공급량으로 산정하였다. 물 생산량은 강수량과 실제 증발산량(증발ㆍ증산)의 관계를 이용하여 정의된다. Y(x)=(1-AET(x)/P(x))×P(x) - Y(x) : 화소 x에 대한 연간 물 생산량 - AET(x): 화소 x에 대한 연간 실제 증발산량 - P(x): 화소 x에 대한 연간 강수량 연간 강수량(P(x)) 자료는 1999-2019년 20년간 국내기상관측소 측정치를 평균하여 보간(interpolation)한 자료를 사용(단위: ㎜)하였다. 연간 실제 증발산량(AET(x))은 식생유형과 기타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계산법을 적용하였다. 토지 피복지도를 기준으로 식생 유형은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그리고 기타 유형은 시가화 건조지역, 습지, 나지, 수역으로 구분하였다. 식생 유형(습지 제외)에 대한 강우량 대비 실제 증발산량은 Budyko 방정식으로 계산하였다. 우리나라 22개 국립공원중 속리산, 주왕산, 월악산, 월출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담수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4개 국립공원에 대한 분석결과 담수량이 가장 많은 국립공원은 월악산국립공원으로 연간 9,774,343㎥였고 뒤를 이어 속리산국립공원이 6,646,888㎥였다. 화소(100×100㎡)당 담수량이 가장 많은 곳은 월출산국립공원으로 393.55㎥이었다.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보호지역으로써 대부분의 지역에 식생이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개별 국립공원마다 토지피복의 특성이 달라서 담수량에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국립공원의 담수량은 기본적으로 국립공원의 면적과 상관성을 가지며 토지피복의 특성에 따라 담수능력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1. Water Yield on major National Parks

      • KCI등재

        식물군락구조와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장정은 ( Jung-eun Jang ),이상철 ( Sang-cheol Lee ),강현미 ( Hyun-mi Kang ),유승봉 ( Seung-bong Yu ),신해선 ( Hae-seon Shin ),최송현 ( Song-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2

        환경과 식물, 식물과 식물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식물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사회연결망 분석을 결합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이 연구되고 있다. 식물사회네트워크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식물사회 분석과 기존의 종간결합분석 방법과 비교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식생구조분석을 실시하고 기존의 종간결합분석과 식물사회 네트워크를 비교 하였다. 식생조사를 위해 옛길 2구간을 대상으로 60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분석결과 60개 조사구는 해발고 800m를 기준으로 졸참나무-소나무군락(군락Ⅰ), 신갈나무군락(군락Ⅱ)으로 나누어졌다. 출현빈도 30%이상인 수종 간 상관관계분석과 DCA분석을 실시한 후 각 군락별 주요수종을 중심으로 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졸참나무와 소나무, 신갈나무는 각각 -0.450**, -0.375**로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DCA에서도 1축을 따라 졸참나무와 소나무는 가까이, 신갈나무와는 멀리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40개 조사구를 추가하여 100개 조사구에 출현수종을 조사하였다. 네트워크 구조 분석결과, 378개의 연결선이 나타났고, 한 수종 당 평균 6종과 결합을 가졌다. 밀도는 0.097, 지름은 7, 평균 경로거리는 2.788로 나타났다.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은 기존 종간결합분석과 비교하였을 때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기존의 분석법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고 식물사회 구조 관찰에 용이했다. Plants Social Network(PSN) analysis combines the plant sociological method and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plant society focusing on environmental-to-plant and plant-to-plant relationships. PSN is at an early stage of research and require comparing plant society analyses in various environments and existing interspecies binding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 vegetation structural analysi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and compared the existing interspecies connection analysis with the PSN. A total of 60 plots were established for a survey on the Old Trail. The TWINSPAN and DCA analysis showed that the 60 survey plots were divided into the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I) and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ommunity II) based on an altitude of 800 meters. We performed the interspecies correlation with more than 30% emergence frequency and the DCA analysi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a focus on the major species in each colony. The results showed that Quercus serrata had a correlation of -0.450** and -0.375** with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respectively. The DCA analysis also confirmed that Quercus serrata was located close to Pinus densiflora and far from Quercus mongolica along one axis. For the PSN analysis of PSN, 40 survey plots were added to investigate the species appearing in a total of 100 survey plots. The network structural analysis showed 378 links and a species having an average of 6 interspecies bindings. The density was 0.097, the diameter was 7, and the average path distance was 2.788, similar to the PSN analysis results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plant social network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existing interspecies combination analysis, enabling analyzing more data than the existing methods and observing the structure of plant society.

      •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2구간(원효사~서석대)의 식생구조

        유승봉(Seung-Bong Yu),이상철(Sang-Cheol Lee),강현미(Hyun-Mi Kang),김영선(Young-Seon Kim),신해선(Hae-Seon Shin),장정은(Jeong-Eun Jang),최송현(Song-Hyun Choi)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1 No.1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제2구간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총 60개의 조사구를 설치 및 조사하여 TWINSPAN과 DCA를 통해 군락을 분류한 결과 총 5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군락 I은 낙엽활엽수군락, II는 소나무-졸참나무군락, III은 졸참나무군락, IV는 비목나무군락, V는 신갈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분류된 군락들은 해발고에 따른 우점종의 분포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군락 IV를 제외한 4개의 군락은 교목층의 수종이 우점하는 가운데 아교목층에서 때죽나무가 우점하는 현재의 군락의 형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군락 II~IV의 관목층에 발달한 조릿대는 일시개화 및 고사 이후 하부식생 천연갱신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군락 Ⅱ의 소나무-졸참나무간의 경쟁관계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소나무군락의 세력 감소에 대한 관찰이 요구된다. 옛길 2구간은 해발고별 식생의 변화가 뚜렷하고 무등산국립공원의 깃대종인 털조장나무가 자생하는 등 생태적으로 가치가 높은 탐방로로써,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해 우수한 산림생태계를 보전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udeungsan National Park Old Trail. 60 survey plots were installed and surveyed to analyze forest structure. Plots were classified 5 communities through TWINSPAN and DCA. Th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Ⅰ in Deciduous broad-leaf tree, Ⅱ in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Ⅲ in Quercus serrata, Ⅳ in Lindera erythrocarpa and Ⅴ in Quercus mongolica. The grouped communities showed some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s according to elevation change. In most communities, Styrax japonicus in understory layers and Sasa borealis in shrub layers form a large populations. Especially, monitoring is required to account for the vegetation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with Oak-tree community’s extension. Mudeungsan Natioanl Park’s Old trail have vegetation structure that clearly classfied according to altitude changes and also habitats of Lindera sericea, the flagship specie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It means Old-trail have ecologically high value and require sustainable forest use to conserve forest eco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