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과 온라인 학습에서 과정 중심 피드백 지원 방법과 유형에 관한 고찰

        신윤경 ( Shin¸ Yunkyung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1 No.-

        초등학교 수업 방식의 전환 속에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의 교육평가 지원에 관한 중요성은 구체적인 방향과 전략을 필요로 한다.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국어과 온라인 학습에서 개별 학생의 성장과 지원을 촉진하기 위한 학생 중심 평가의 패러다임에서, 과정 중심 피드백을 어떻게 지원할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온라인 학습에서 학생의 과정 중심 피드백의 정의와 지원 방법, 유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국어과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온라인 학습에서 과정 중심 피드백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온라인 학습이라는 특수한 학습의 상황, 맥락 등을 반영하여 과정 중심 피드백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즉각적인 피드백 강화, 목적지 피드백, 현 수준 피드백, 다음 단계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강화, 피드백의 전달 방법에 대한 전환 시도’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국어과 온라인 학습에서 효과적인 과정 중심 피드백 모형을 제시하여 체계적인 피드백 제공의 주안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In the COVID-19 situation, the proportion of face-to-face classes has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online classes at school sites has increased. In the midst of the cessation of face-to-face classes at school sites and the transition to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learners’ educational evalu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rn in the educational field. With the prolonged COVID-19 outbreak,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how to support process-oriented feedback during student-centered evaluation to promote individual student growth and support in Korean language online learning.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support method, and type of student’s process-oriented feedback in Korean language online learning were explored. To this en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online class were examined, and the direction of process-oriented feedback in online learning was suggested. As specific methods of feedback support, we proposed reinforceme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to provide immediate feedback reinforcement, destination feedback, current level feedback, and next-level feedback, and an attempt to change the feedback delivery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providing systematic feedback by presenting an effective process-oriented feedback model in Korean language online learning.

      • KCI등재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신윤경 ( Shin¸ Yun-kyung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이 연구는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매체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인권 감수성의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가 함양해야 하는 인권 감수성의구성 요소가 담고 있어야 하는 세 가지 능력을 밝혔다. 이 능력은 디지털 상황맥락 인식하기,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도덕적 민감성으로 접근하기, 정보윤리 실천 의지를 다지고, 인권 이슈에 대한 책임감 지니기로 명명하였다. 본고에서는 배리 베이어(Barry K. Beyer)의 열 가지 비판적 사고 기능을 중심으로 디지털 매체 읽기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특징으로는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해 정보인권지수를 높일 수 있는 디지털 매체 읽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매체 읽기 교수·학습 모형은 글레이저(Glaser)의 교수·학습 모형을 준용하여, 각 세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수업 목표는 인터넷 읽기 상황에서 인권 관련 상황과 디지털 맥락을 인식하고, 타인과 올바르게 소통·공감하며 도덕적 민감성을 실현하며 읽는 능력과 책임감, 실천 지향적인 인권 감수성을 함양하는 것에 두었다. 특히, 교수·학습 절차는1) 사회문화적 상황 접근 단계, 2) 타인의 정서 분석 단계, 3) 도덕적 민감성종합 단계, 4) 인권 감수성 성찰 단계로 명명하여 세부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논의를 통해 독서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 digital medium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read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n a digital medium reading environment. To this end, the concept of sensitivity to human rights sensibility was reviewed, revealing the three components of sensibility to human rights that readers should cultivate in a digital medium reading environment. These components were termed recognizing the context of a digital context, recognizing the emotions of others and approaching them with moral sensitivity, strengthening one’s will to practice information ethics, and taking responsibility for human rights issues. In this paper, the direction of reading digital media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ten critical thinking skills defined by Barry K. Beyer. As a feature, it was suggested that digital media read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the human rights index of information to improve read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For the digital media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readers’ human rights sensibilities, each detailed component was derived using Glaser’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objectives of the class were the following: recognize human rights-relatedsituations and digital contexts in an internet reading situation; correctly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others; realize moral sensitivity; and cultivate reading ability, responsibility, and action-oriented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n particular,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s were termed as follows: 1) the socio-cultural situation approach stage, 2) the emotional analysis of others stage, 3) the moral sensitivity synthesis stage, and 4) the sensitivity to human rights reflection stage. Detailed contents of each concept are presented within this paper. Through this discussion, an education plan for improving read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n a digital medium reading environment was proposed; this plan should be pursued regarding read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