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구영필의 독립운동과 국내 관련자료 분석

        신규수 ( Kyu Soo Shi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1 No.-

        구영필은 처음 무장투쟁을 전개하다가 1921년 북만주 영안현에서 入籍墾民戶會를 토대로 자치독립노선을 지향한 독립운동가의 거두였다. 그러나 무장 독립항쟁을 전개했던 김좌진의 신민부에 의해 1926년 國賊으로 규정되어 피살되었다. 그런데 광복 이후 1920년 밀양폭탄사건에서 영안현의 모든 활동에 이르기까지 그를 친일밀고자로 규정하는 증언과 서술이 이루어져 파급되었다. 따라서 광복 이후 이들 국내 자료를 분석 검토한 결과 그가 1920년 직접 국내에 잠입하여 밀양사건을 주도한 사실과는 달리 이들 자료에는 ‘입국한 사실이 없음’ ‘미상’ 등으로 서술되어 있어 자료상의 신빙성이 결여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그 파급 경로를 볼 때, 그를 피살한 신민부의 입장에서 와전된 것으로 오히려 그는 일제 기밀문서 등에 나타난 것처럼 국내의 밀양폭탄사건에 그치지 않고 부산독립전보사건을 전개한 독립운동가임이 밝혀지게 되었다. 오히려 그는 의열단을 창단한 인물과 의열투쟁을 전개하였고, 신흥무관학교 출신들의 단체인 학우단장을 맡았던 것으로 보아 의열단 창단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영안현에서의 그의 피살도 친일의 문제가 아니라 독립노선상의 갈등과 대립 속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된다. 당시 그는 신문 등에 영안현의 개척자이자 민족지도자로 추앙되고 있었으며, 일제 기밀문서도 김좌진의 대한독립군단의 영고탑 집결로 독립운동가 사이에 배척과 쟁탈의 국면이 초래되었으며, 신민부가 영안현을 장악하기 위해 구영필을 암살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었다. 따라서 구영필의 피살은 친일논란의 문제가 아니라 독립노선과 방략 차이에 따른 독립운동가와 한국독립운동사의 비극으로 현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그에 대한 독립활동이 객관적으로 조명되기 위해서는 독립노선과 방략의 이념적 편견, 국내 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시각에서의 본격적인 연구가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Goo Young-Pil was a great leader of independent movement who implemented armed struggle at first and then aimed autonomous independence line based on Ibjukganminhohoe in Youngahnhyeon, Northern Manchuria in 1921. However, he was killed in 1926 due to being prescribed as a traitor by Shinminboo of Kim Jwa-Jin who performed armed independence resistance. And yet,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here had been testimonies and attestations that considered him as a pro-Japanese informant of all the Miryang bombing incidents in 1920 to all the activities in Youngahnhyeon. As a result of analysis on such domestic documents after the independence, unlike the fact that he lead the incident of Miryang in 1920 by infiltrating into the country himself, those documents wrote as ‘no report of entry into the country’ or ‘unknown’ which appear to be absence of reliability in the documents. If we look at the channel of influence, it had been falsely reported in the standpoint of Shinminboo which killed him. Instead, he was found out to be an independence fighter who initiated the incidence of Busan Independence Telegram added on the Miryang bomb as proved in confidential documents of Japanese imperialism. Rather, he must have joined the establishment of Uiyoldan as he progressed heroic fights with the people who founded Uiyoldan and took the position of fellowship leader among those who graduated Shinheung Military School. In particular, it appears that he was killed in Youngahnhyeon not because of the pro-Japanese problem but in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of independence line. He was respected as the pioneer in Youngahnhyeon and a national leader on newspapers and so on. The confidential document of Japanese imperialism also reported that rejections and contests occurred among independence fighters due to the Younggotap assembly of Kim Jwa-Jin`s Daehan-dokrip-gundan, and Shinminboo killed Goo Young-Pil in order to grasp Youngahnhyeon. Therefore, the murder of Goo Young-Pil was not because of the charge with pro-Japanese but it was a tragedy of independence fighters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due to the difference of independence line and direction. In order to shed light on his independence activities objectively, it is expected to do full-fledged researches with a new aspect as overcoming the limit of domestic documents as well as ideological prejudice of independence line and direction

      • KCI등재

        국민연금 기여금 납부대상 소득의 탈루율 추정

        신규수 ( Kyu Soo Shin ),홍백의 ( Baeg Eui Ho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4

        국민연금의 불법적인 기여금의 탈루가 지속적으로 묵인된다면 공적연금의 노후소득보장 실현이라는 주기능의 상실은 물론, 제도존립 자체까지 위험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연금 기여금납부 대상 소득의 탈루 수준을 재정패널의 미시소득자료를 활용해 진단함으로써 이에 대한 정책 설계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에 앞서, 기여금탈루와 기여금에 대한 소득탈루의 정의를 내리고 지하경제의 틀로 그 성격을 이해한다. 사업소득자의 경우는 응답소득 기준과 소득지출분석법에 의해 근로자 대비 사업소득자의 상대적 응답 축소보고율을 반영한 소득 기준의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근로자의 경우는 월비과세소득 금액에 대한 가정별 탈루율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기여금대상 소득 대비 탙루된 소득인 탈루율은 근로자의 경우 비과세 월 20만원이 적용된다고 가정할 경우 총액기준 19.32%, 응답축소보고를 반영한 사업소득자의 경우 총액기준 61.03%로 크게 차이가 난다. 이는 사업소득자의 경우, 가입자의 소득탈루율 뿐 아니라 미가입과 같이 소득여부 자체를 은폐하는 경우도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저소득 일용직 근로자의 가입도모와 사업소득자의 소득파악률 제고를 통한 가입 및 납부율의 개선이 절실함을 확인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contribution evasion by under-reporting income to the National Pension Service using National Panel of Tax and Benefit data. In this process of estimation, we applied the framework of shadow econom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ribution evasion. The size of shadow economy from the contribution evasion varies to monthly tax-free amount in the payroll tax and changes whether the business earner’s under-reporting ratio to the survey is reflected or not. If the average tax-free amount is two hundred thousand won, the under-reporting ratio of the worker will be 19.32% based on total. But that of the business earner is very large compared to the worker` s. Even if we don` t apply the under-reporting to the survey, the size of business earner` s contribution evasion as a shadow economy reaches up to 56.41% and rises up to 61.03% of their income when it is applied. Therefore we can reaffirm the severity of business earner` s contribution evasion. Nevertheless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it` s the first estimation of National Pension` s contribution evasion which is analyzed empir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shadow economy.

      • KCI등재

        국민연금(법)상 대위권제도의 특성과 정책개선 방향

        신규수 ( Kyu Soo Shi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3 사회보장연구 Vol.29 No.4

        국민연금법 제114조 제1항은 국민연금의 가입자가 제3자의 행위로 민법상 손해배상청구권과 국민연금법상의 장애나 유족연금의 수급권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급여를 지급한 공단은 제3자에 대해 수급권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 바 이러한 국민연금 대위권제도와 관련한 세부규정이 미비하여 실행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국민연금법상 대위권제도의 특징을 살펴보고 대위권의 성립시기, 제3자의 범위, 행사범위, 과실상계, 대위권이 행사되는 유족의 범위, 사회보험기관간 경합과 같은 제문제점들을 분석, 타사회보험기관의 관련 이론과 판례를 통해 이의 국민연금법상 동제도에 대한 적용여부를 검토하였다.국민연금 대위권제도의 개선은 사회보험으로서의 국민연금과 중복전보를 막는 대위권이라는 제도 자체의 목적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보다 안정적인 수급권의 확보를 위해 전체 사회보장법제체제 안에서 합목적적이고 효율적으로 세부규정 생성을 통해이루어 나아가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article 114(1) of the National Pension Act, when a disability pension or survivor pension is paid because grounds for payment of the disability pension or survivor pension have risen as a result of an act committed by a third person, the NPS shall subrogate the relevant beneficiary to the third person to the extent of paid benefit. The problem is that the NPS has difficulties in practicing this subrogation right because of the lack of the detailed sub-regulations.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blems of this NPS`s subrogation system such as the establishment time, the extent of the rights and the competition between the social institutions. and suggests some orientations of its improvement. The improvement of the NPS`s subrogation system should be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rogation as a liability allotting laws and NPS a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refore subrogation is limited to the right of the beneficiary. And the system is to protect the right of the beneficiaries. and the relations among the social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subrogation should be regulated in social legal system for the sake of efficiency, systematization of social laws and equity.

      • 近代 日本의 韓國支配認識에 關한 硏究 : 강화도조약, 임오군란을 중심으로

        신규수 원광대학교 채문연구소 2000 역사와 사회 Vol.25 No.-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of both Korea and Japan was the turning point of great importance. Korea came out of the Orient centered society, and the Korean values got through a great move by means of getting contact with different world of Western countries. Moreover the influence of these new changes was great ranging through the concrete aspects of real lives by the challenges and effects of foreign countries. The rapid invasion of foreign forces into Korea made Korea evoke a new sense of crisis and self-awareness. Unlike up to those times, foreign troops in Korea brought about the opportunity to change the political power, which was recognized the crisis of the whole nation, and as a result, the national awareness arose nation-wide. Japan, opening itself to the Western great powers preceding Korea, was into the course of being colonized by the Western countries, especially the rapid invasion of English and American capatal. With the Western capitalism Japan kept practicing its plans step by step in the Asian countries inclulding Korea. The history of challenge of the Imperialism of Japan to govern Korea, in especial, would be the whole of the modem history of Japanese politics in the same period. After Meiji revolution, Japan with great expansion of power focused on pursuing the only purpose of colonizing Korea. Any of its both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which we could get hold of in the process of the historical events was developed to achieve the purpose. This paper, under the great title of the study on the Korean-Japanese history of mutual negotiation in the modern times, considered the two central stems; one is Japanese recognition against Korea from the age of the late of markbu(幕府) to the period of Meiji reign, and the other is the mutual history between these two countries by way of Kanghwado Treaty in 1876 and Imogunlan in 188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