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기혼 근로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영향 요인 분석

        오유라,송운기,김성훈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2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8 No.2

        코로나19 시기 학교의 폐쇄, 돌봄 서비스의 중단 등으로 인한 기혼 여성의 돌봄노동 증가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기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증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제8차년도(2020년) 여성가족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인적요인, 근로환경요인, 가족요인에 해당하는 변수를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취학자녀수, 미취학자녀수, 나이, 근로시간, 성별분업인식 요인이 코로나19 시기 기혼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본 연구결과 기혼여성의 성별분업인식은 전통적 성역할인식에서 벗어나 평등적인 인식으로 변화되어가고 있지만, 인식과는 달리 가사노동시간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실을 밝혀냈다. 특히, 성별분업인식과 달리 가사노동시간에 부담을 주는 요인은 자녀 존재의 유무였으며, 코로나19 시기 돌봄기관의 폐쇄가 결국 여성의 가사노동시간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가적 재난시기에서 돌봄 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에 대한 지원 방안과 가족 내 가사노동 분담의 방향성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ave affected the increase in housework hours by recognizing the increase in care work hours reported by married women during the COVID-19 period as a problem. Therefor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data from the 8th(2020)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KLoWF) data and inputting variables corresponding to individual factors, working environment factors, and family factors. As a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number of school-aged children,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age, working hours, and gender division of labor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domestic work hours of married women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notabl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married women's perception of gender division of labor is changing from traditional gender role perception to egalitarian perception, but unlike perception, housework time sharing is not being achieved. In particular, unlike the recognition of gender division of labor, the factor that put a burden on housework time w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ildren, and it was found that the closure of care institutions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ultimately affecting the increase in women's housework hou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measures for married women with caring children in times of national disaster and directions for sharing housework within the family were suggest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