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실습 현장의 관계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예비유아교사의 정체성 형성과정 탐색

        손난희(Son, Nanhi),김고은(Kim, Koeun)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2

        본 연구는 보육실습이 만들어내는 관계적 맥락 속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재구성해가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두 예비유아교사가 보육실습을 하고 있는 어린이집 현장에서 실습기간 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일상적인 경험, 정황 및 사고와 행동을 자연스럽게 따라가면서 실습 기관에서 맺고 있는 관계, 감정􄞻정서, 고민이나 갈등 그리고 그들이 자신의 경험에 부여하는 의미와 해석에 경청하였다. 참여관찰과 실습일지 및 저널 등 질적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1) 외부자-내부자: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2) 학생-교사로서 ‘나’ 마주하기; 3) 교사 되어가기의 변곡점: 대상-주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실습 경험을 통해 외부자-내부자, 학생-교사, 대상-주체 사이를 오가며 실습 기관 내 다른 주체들뿐 아니라 자신과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어가고 재형성해가는 역동적인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in which pre-service teachers actively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their identity in a relational context of child care practicum. For this purpose, two pre-service teachers’ daily experience, events, thoughts and behaviors in a natural setting of one child care center were observed during the entire practicum period. In addition to participant observation,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journal writing, daily records of practicum, and conversation with preservice teachers. The analysis process focused on the pre-service teachers’ relations, emotions, conflicts, and the meanings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themselves gave to their experiences.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revealed the following three main themes: 1) outsider-insider: “before someone called my name”; 2) facing myself: student-teacher; and 3) a point inflection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teacher: object-subj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esented the dynamics of the identity construction process in which the pre-service teachers formed and reformed the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and others at a practicum site while moving between outsider-insider, student-teacher, and subject-object.

      • KCI등재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형화 연구: Q 방법론적 접근

        김소영 ( Kim So Young ),손난희 ( Son Nan Hi ),송나리 ( Song Na R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5

        본 연구는 Q방법을 활용하여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다.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94개의 Q 모집단을 구성하였고, 범주화 과정을 거쳐 총 40개의 Q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후 P 표본 대상으로 선정된 유아교사 41명에게 Q 표본 진술문을 분류하도록 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5가지로 유형화되었는데, 제 1유형-유아발달에 근거하여 인식하는 유형, 제 2유형-유아가 표현하는 어려움으로 인식하는 유형, 제 3유형-타인을 괴롭히는 행동으로 인식하는 유형, 제 4유형-교사의 편견이 문제라고 인식하는 유형, 제 5유형-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의 연속성으로 인식하는 유형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이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유아 문제행동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ategorized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using Q Methodology. A total of 94 Q populations were organized with an open questionnaire and 40 Q samples were extracted through a categorization process. Afterwards, 41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as the P sample were asked to sort Q sample statements for execution of a factor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5 types. Type 1 was named as a type recognizing problematic behaviors on the basi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ype 2 as a type recognizing problematic behaviors with the difficulties expressed by children; Type 3 as a type recognizing problematic behaviors as those harassing others; Type 4 as a type thinking that the prejudice of the teacher is the problem; and Type 5 as a type recognizing problematic behaviors as continuity of undesirable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are various kinds of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when addressing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