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체중조절의도와 관련요인

        소은선 ( Eunsun S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의 체중조절의도와 관련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 월경중이라고 답한 20~39세 여성인 총 2,60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체중조절 안함을 대조군으로 체중감소의도와 체중유지/증가 군의 관련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는 대부분 체중감소 노력을 하였다. 체중감소 노력을 하는 여성들은 체중조절을 하지 않는 여성에 비해 초기연령이 낮을수록(OR=0.91, 95% CI=0.85-0.97, p =.006), 출산경험이 없을수록(OR=1.26, 95% CI=1.02-1.55, p =.029), 폭음을 보다 빈번히 할수록(OR=0.58, 95% CI=0.43-0.80, p = .001), 주관적 체형을 마르거나 보통보다 비만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마른편, OR=0.09, 95% CI=0.06-0.13, p <.001, 보통, OR=0.49, 95% CI=0.39-0.62, p <.001). 본 연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요인들을 중재하거나 체중조절 중재의 대상으로 관련 변수들을 가진 자들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젊은 여성의 체중조절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control intention among Korean women. This study used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data with the total of 2,607 women aged 20-39 years who answered “presently menstruating” and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weight loss intention and weight maintenance / increase intention with the reference of no weight control. As a result, the subjects were mostly weight loss. Women who tried to lose weight were early menarche (OR=0.91, 95% CI=0.85-0.97, p =.006), no pariety (OR=1.26, 95% CI=1.02-1.55, p =.029), more frequent binge drinking (OR=0.58, 95% CI=0.43-0.80, p =.001), and subjective body image as obese (OR=0.09, 95% CI=0.06-0.13, p <.001 for underweight, OR=0.49, 95% CI=0.39-0.62, p <.001 for normal weight) compared to no weight control. This study provides the guidelines for weight control in young women by intervening the variable that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targeting the subjects who have the variables for the weight control intervention.

      • KCI등재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과 관련된 흡연특성

        소은선 ( Eunsun S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흡연은 대사증후군과 그 하위요소의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이들의 관계는 완전히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성인에 있어 대사증후군과 그 하위요소의 유병과 연관된 흡연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평생 흡연자들 중 대상증후군의 유병은 28.9%였다. 대사증후군의 유병에 관련하여 과거흡연과 현재흡연의 차이는 없었다. 12세 이하 또는 19세 이상에서 흡연을 시작한 흡연자들에서 13-18세에 흡연을 시작한 흡연자들에 비해 대사증후군(p=.012, p=.033) 또는 복부비만(p=.020)의 유병 가능성이 높았고, 하루 10개피 이하를 흡연한 흡연자들은 하루 21개피 이상을 흡연한 흡연자들에 비해 대사증후군(p=.006)과 복부비만(p=.004)의 유병 가능성이 높았다. 21-30년동안 흡연한 흡연자들은 31년 이상 흡연한 흡연자들보다 고지혈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 가능성이 높았다(p=.046). 이러한 결과는 대사증후군의 유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흡연시작연령과 흡연양과 흡연기간을 고려하는 중재가 요구된다. Smoking is an important cause of metabolic syndrome (MS) and its components.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smoking and MS or its components have yet to be elucidated full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moking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MS and/or its components in Koreans. This study utilize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analyzed with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mong lifetime smokers, the prevalence of MS was 28.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former and current smokers regarding the prevalence of MS. Those who initiated smoking at the ages of 12 and younger and 19 and above had lower odds of having MS (p=.012) and central obesity (p=.020), and MS (p=.033), respectively, than those who initiated smoking at the age of 13-18, and those who smoked 10 or fewer cigarettes per day had lower odds of having MS (p=.006) and central obesity (p=.004) than those who smoked 21 cigarettes or more per day. Those who had smoked for 21-30 years were more likely to meet the HDL-C criteria for MS than those who had smoked for 31 years or more (p=.046).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eventive efforts against MS should consider the age of smoking initiation, smoking amount and duration.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성별 성관계 조기 시작과 관련 요인

        진영란 ( Youngran Chin ),소은선 ( Eunsun S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이 연구는 성관계 시작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한국 청소년의 성관계 시작 연령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총 74,186명의 한국청소년 건강행위 조사 자료로 Cox 비례위험 회귀분석을 하였다. 남학생과 여학생 둘 다에서 성관계 조기시작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는 변인은 가구의 사회경제적 상태, 첫 사정/초경의 나이, 학업성적이었다. 성별로 남학생에서만 유의한 변인은 아버지의 교육수준, 주관적인 신체상, 스트레스 수준이었다. 여학생에만 유의한 변인들은 어머니의 교육수준, 낮은 행복감이었다. 남학생의 성관계시작 연령을 늦추기 위해서는 몽정이 시작되기 전에 스트레스 관리와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을 늘리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여학생의 성관계시작 연령을 늦추기 위해서는 초경이 시작되기 전에 행복감을 증진하는 프로그램과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을 확대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earlier initiation of sexual intercourse by sex in Korean adolescents. We analyzed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of a total of 74,186 adolescents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early initiation of sexual intercourse in both sexes include the socioeconomic status of household, age of the first nocturnal emission or menarche, and academic grades. The factors only in the male students included father’s education level, subjective body image, and higher stress level. The factors only in female students were mother’s education level, and lower level of happiness. Sex education and interventions to delay initial sexual intercourse are needed to encourage conversations between adolescent males and their fathers, to help adolescent males manage stress around the first nocturnal emissions. For adolescent females, some interventions to encourage conversations with mothers and to increase the happiness in those with early first menses are needed.

      • KCI등재

        한국 여성에서 조기폐경 위험요인으로써의 음주특성

        권소희 ( Sohee Kwon ),소은선 ( Eunsun S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이 연구는 한국 여성에 있어 조기폐경과 음주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조기폐경의 위험과 연관된 음주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4~2018년 5년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자연 폐경을 경험한 8,03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5.3%가 조기폐경을 경험했고, 74.8%가 평생에 음주를 경험했다. 음주시작연령 만이 조기폐경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40세 이상에서 음주를 시작한 여성에 비해 20세 미만과 20-40세에서 음주를 시작한 여성들은 조기폐경을 경험할 가능성이 40.28배와 25.47배 각각 높았다 (95% CI, 9.18-194.66 and 95% CI, 5.81-111.36 respectively). 조기폐경을 예방하기 위하여, 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에 대한 음주 중재 프로그램과 정책 개발과 수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premature menopause (PM) an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alcohol consumption related with the risk for PM in Korean women.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4-2018, 5-year data) on 8,032 women who experienced natural menopause, and analyzed the data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study subjects, 5.3% had experienced PM and 74.8% had consumed alcohol in their lifetime. The starting age of alcohol consumption onl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M (p<.001). Compared to women who started alcohol consumption at the age of 40 years old and over, those who started alcohol consumption at the age of less than 20 years old and 2040 years old were 40.28 times and 25.47 times more likely, respectively, to have experienced PM (95% CI, 9.18-194.66 and 95% CI, 5.81-111.36 respectively). To prevent P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drinking intervention programs and policies that utilize this significantly relevant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