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게 다 학교 때문입니다.”: 학교에서 새겨진 폭력

        서근원 ( Seo Ghun-won ),문경숙 ( Moon Kyoung-suk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6 교육인류학연구 Vol.19 No.4

        이 연구는 학교폭력을 가해자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 연구를 위해서 나는 학교폭력 학생이라고 일컬어지는 어느 중학교 남학생 네모(가명)를 1년가까이 참여관찰하고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그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학교 안에서 학교폭력이 어떻게 대물림되는지, 네모는 학교폭력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보는지, 그의 관점에서 볼 때 학교폭력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그런 점에 비추어 볼 때 우리는 학교폭력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야 하는지 등을 이해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알게 되었다. 네모는 착한 곰과 같았지만,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학교폭력의 일상적인 피해자가 되었고, 그 과정에서 학교폭력 학생들이 공유하는 “싸가지”로 일컬어지는 행동 규범을 내재화했다. 그리고 자신이 고학년이 되자 그 규범에 따라서 다른 아이들을 폭행하기 시작했다. 그런 네모에게 학교폭력은 복수이고, 정의의 실현이고, 적응의 기제였다. 네모가 이처럼 폭력적인 학생이 되어가는 데는 네모가 학교폭력의 피해자가 되었을 때 네모를 감싸주고 의지할 수 있는 인물의 부재 그리고 그런 사태를 방치하고 폭탄 돌리기 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학교의 조치 등이 연관되어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을 개인의 문제로만 국한하기보다는 공동의 책임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school bullying in the bully`s perspective. For this study, I collected data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ith a male student, Naemo, who was in 9th grade and was a bully, for about a year. In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occurrence and reproduction of school bullying, the meaning of school bullying in Naemo`s perspective, and how we have to understand and prepare meaningful measures regarding school bullying. In terms of personality, Naemo was very docile and kind. After entering junior high school, he has become a daily victim of senior assault and battery and he has learned the rules of "ssagazi." When he became a senior, he paid back by bullying his juniors based on what he learned through "ssagazi." School bullying meant revenge, an act of justice, and adaptation for Naemo. The reasons why Naemo turned into a violent kid were having no close and warm relationship with significant others and school`s irresponsible and neglectful measures to Naemo`s violent behavior. Considering these factors, we need to change our view`s on school bullying from it being a problem to a shared responsibility.

      • KCI등재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한 일본의 치료놀이 방안 탐색 연구

        서근원(Seo, Ghun-won),다카이 미와(Takai Mi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수업을 연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로 알려진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일본의 문화적 배경 속에서 이루어진 한 치료놀이를 이해함으로써 일본에서 치료놀이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예비적인 차원에서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자는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를 치료놀이의 장면에 적용하려면 어떤 절차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지 모색하고, 그 방법에 의해서 2016년 10월 4일부터 12월 27일 사이에 일본의 동경에 거주하는 3세 여아 “모모”라는 아이를 대상으로 8회기 동안 이루어진 치료놀이 장면 가운데 일부를 분석하고 해석했다. 치료놀이 과정에서 모모는 치료사의 질문에 어긋나는 대답을 하거나 몸은 피하면서 얼굴은 웃는 등의 행동을 했다. 이것은 아이가 치료사의 지시나 지도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일본의 문화적 맥락 속에서는 자신의 본심은 드러내지 않고 상대의 의중에 조화를 이루고자 애쓰고, 그것이 실패했을 때 자신의 감정을 추스르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모모에게는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것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좀 더 제공할 필요가 있다.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를 치료놀이의 장면에 적용하여 치료놀이를 연구한 결과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는 치료놀이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치료놀이가 아이를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유연하고 유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그밖에도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는 놀이치료나 예술치료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Japanese Theraplay with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which is a instruction research method. And this study intended to figure out a proper way of Theraplay adequate to Japan culture by preliminary dimension. For this purpose we adapted the research method of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to a Theraplay case. To use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we studied the purpose and procedure of it. And we re-designed the procedure of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to understand a Theraplay case of “Momo” who is 3 years old lived in Tokyo. In the process of Theraplay, Momo’s answers were in discord with therapist’s questions. And she avoided therapist action with smile. These actions of her might be interpreted as a disobedience against therapist. But in the context of Japanese culture, her actions mean to harmonize with therapist covering her heart. And when she failed her strategy she tried to recover her hurt heart by duplicated action. Considering this interpret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her a chance to do what she wants more. According to the case of understanding of the Theraplay case of “Momo” with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it can improve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aplay. It attributes to the characters of Theraplay which is flexible and quicksilver. And “viewing instruction from pupil’s perspective” can be adapted to research play-therapy or art-therapy too.

      • KCI등재후보

        혁신학교는 수업을 혁신하는가?

        서근원(Seo Ghun won) 한독교육학회 2018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3 No.1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일부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혁신학교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적절히 이행되고 있는지를 수업의 혁신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검토 결과를 토대로 혁신학교 정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어떤 점들을 먼저 고려하고 개선해야 하는지를 제시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혁신학교는 그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고, 혁신학교와 관련된 구성원들의 만족도와 참여도 역시 높다. 교사들은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창의지성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 배움중심수업을 중심으로 수업을 혁신하기 위해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그 과정에서 보람과 만족을 느낀다. 그렇지만, 수업의 내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교사들은 배움중심수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는 것인지, 배움중심수업을 실현하기 위해서 학생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학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학생에 적합한 수업을 모색하고 실천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등에 관한 구체적 실천 방안을 알지 못한다. 그 결과 교사들은 수업의 과정에서 내적인 갈등과 혼란에 빠지게 된다.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은 교사들이 학생을 이해한 바를 토대로 각 학생에게 적합한 수업을 모색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교사들에게 이러한 역량을 기르는 데 요구되는 연수 과정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교사들이 학생의 다양한 특성에 적합한 수업의 방법을 스스로 모색하여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해야 한다. 이와 아울러 교사들이 각자 처한 현실과 자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의 방향과 방법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그럴 때 수업과 학교가 혁신될 수 있다.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actual conditions of Korean innovative schools on the focus of classroom lesson innovation. On the basis of the review I suggested two sides of approaches to classroom lesson innovation. In these days the number of innovative schools are increasing, and the members of innovative schools are satisfied on the programs of those schools. Teachers have made big effort on the focus of learning centered lesson to realize the creative intellect education that Korean innovative schools aim at. And they get contentment on it. While they don t know concrete way of learning centered lesson, way to understand their pupils, and knowhow of looking for lessons which are adequate to each pupils. So teachers fall into internal conflict and confusion in the course of their lesson. The main reason of this result is that most of Korean teachers do not have the competency of exploration of a lesson which is adequate each pupils. And most of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do not provide them sufficient training courses to improve the competency.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to support teachers to get the competency of looking for lessons which are adequate to each pupils. And we have to assist them to solve their own problems by themselves. This is the substantive way to innovate Korean schools and school lessons.

      • KCI등재

        맞춤형 교육의 대안적 해석과 실천: 그랭이 교육과 실천탐구

        서근원 ( Seo Ghun-w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4

        이 글은 근래에 학교 현장에서 미래형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 가운데 하나로서 추진되고 있는 맞춤형 교육의 개념을 새롭게 해석하고 그것을 적절히 실현하려면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예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부는 2022 개정교육과정을 통하여 현재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성복형의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맞춤형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서 각 학교가 지역과 학생의 실정을 고려하여 학교교과목을 개발하도록 함으로써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것은 또 하나의 기성복형 교육이 될 뿐이다. 맞춤형 교육은 교원이 학생에게 교육과정이나 교재를 맞추어 주는 교육이 아니라 교원이 학생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서 함께 맞추어가는 교육이다. 이런 교육을 실현하려면 교원이 각 학생의 고유한 특성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그것을 고려하여 학생이 스스로 교과의 안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절히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에 앞서 적절한 연수의 과정을 통해서 기존 기성복형 교육의 문제점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가 레빈의 실천탐구 방법을 응용한 아이의 눈으로 실천탐구 워크숍이다. 현장의 교원이 이 워크숍의 과정을 통해서 실천탐구 방법을 익히게 되면 기존의 기성복형 교육의 문제점을 자각하고 학생 각각에 알맞은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 실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customized education, which is being promoted as one of the measures to realize future education in schools, and to illustrate how to approach it to realize it properly Throug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customized educ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ady-made education that is currently generally conducted in schools. As part of this, they intend to realize customized education by allowing each school to develop a school su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and student circumstances. However, it is only another ready-made education. Customized education is not an education that teachers tailor a curriculum or textbook to students, but an education that teachers interact with students to generate a curriculum. In order to realize this education, teachers must be able to underst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ent, and in consideration of it, they must be able to interact appropriately so that students can form a subject's perspective. And prior to that,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existing ready-made education through an appropriate training process. One of the ways to make it possible is the practice inquiry with pupil's perspective workshop, which applies Lewin's practical studies method. When school teachers learn the practice inquiry through this workshop process, they will be able to become aware of the problems of existing ready-made education and will be able to find and practice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s for each student.

      • KCI등재

        「대승기신론」에 비추어 본 사회화와 교과교육

        이미종(Lee Mi-jong),서근원(Seo Ghun-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승기신론」에 비추어 사회화와 교과교육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사회화는 교과교육을 포함하고 있거나 별개의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양자를 구분하지 못하거나, 관련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난 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승기신론」의 수행론에 비추어 이 난점을 해결 하고자 한다. 「대승기신론」에 의하면, 상념을 떠나 진여에 돌아가는 데에는 크게 진여용과 진여자체상이라는 두 가지 경로가 있다. 진여용이 여래의 행적, 다른 말로 제도화된 행동을 모방함으로써 진여에 돌아가고자 하는 경로를 가리키는 만큼, 그것은 사회화에 해당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진여자체상이 여래의 마음으로서 개념적 사고를 통하여 진여에 도달하고자 하는 경로를 가리키는 만큼, 그것은 교과교육과 관련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회화와 교육과육은 각각 제도화된 행동 과 개념적 사고를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는 서로 다른 활동이지만, 양자 모두 진여에 도달하고자 노력한다는 점에서 모두 교육이라는 동일한 범주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는 후자에 의하여 완성되고, 후자는 전자에 의하여 삶으로 구현된다는 점에서 양자는 서로를 요청하는 관계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socialization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In general, socialization is regarded as includes subject matter education or as separated from the latter. But this opinions ignore the distinction and relation between them in the contents and method as an education. Buddhist practice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Great Vehicle“ can solve this problem. The author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Great Vehicle“ says that there are two ways to reach Suchness(眞如). Influences of Suchness (眞如用) is the way of imitation on Buddha s behaviors. This is regarded as socialization. But the imitation without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behaviors is incomplete way to Suchness. Attributes of Suchness (眞如自體相) is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behaviors.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provides th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Buddha s behaviors. So, we can say that Attributes of suchness (眞如自體相) completes Influences of suchness (眞如用), and the latter actualizes the former. Like that, we can say that subject matter education complete socialization, and socialization actualizes subject mat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