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 후기 충청도 가옥의 채 간별 동선 분석을 통한 소통 구조 연구

        배진솔(Jinsol Bae),박종욱(Chongwook Park),우성주(Sungju Woo)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전통 가옥 중에서 특히 충청도 가옥을 중심으로 동선을 분석하고자 한다. 충청도 지방은 문화적으로도 경기도 지방과 더불어 기호 지방으로 경상도 지방과 구분되는 특성을 가지면서도 여타 지역에 비해 연구된 바가 적다. 가옥은 사회의 가장 작은 소통의 단위인 가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옥의 구조를 통해서 특정 사회의 계급이나 성별에 따른 소통 구조를 알 수 있다. 가옥 동선 연구는 가옥의 평면도를 통해서 가옥 내부의 소통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통가옥을 대상으로도 연구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특히 전통가옥은 사랑채, 안채, 행랑채라는 건물의 구분을 통해 성별과 신분의 구분이 외형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건물 간의 동선 구조를 통해 소통 양상을 살펴보기 용이하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전통 가옥을 동선 이론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전통 가옥에서 안마당이 소통의 외형적 중심축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안마당은 순환형, 안채 교차형, 사랑채 교차형 등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이 중 순환형은 가옥의 크기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채 교차형과 사랑채 교차형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남으로써 안마당이 안채뿐 아니라 사랑채와도 신분제도에 따른 사회문화적 소통구조와 밀접한 연관을 가짐을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sociocultural meanings o f the flow of human traffic in Korean traditional house, especially in Chungcheong-do area. The region, as well as Gyeongi-do, has distinct features compared to other areas in Korea, such as Gyeongsangdo.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investigations on that area,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studies in depth about the houses of Chungcheong-do in this point view. Houses are representing family’s thought of the inhabitants whose ideologies belong to the society where they live. House is the smallest communicative unit in a society. Discussion of houses can tell us the class system and gender gap of the society. Flow theory in houses can be used to see communicative structure in houses. The theory is useful to find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of the Eastern traditional houses, because they have distinct space for men (Sarangchae), women (Anchae), and servants (Hangrangchae). In conclusion, the traditional houses of the region made Anmadang as the sociocultural center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bers of the families. These anmadangs are divided into 3 types; circulation, Anchaecentered, and Sarangchae-centered. Circulation type is common in large size of houses. The Anchae-centered and Sarangchae-centered houses have almost equivalent percentage of category, which means anmadangs have close socioculutral comunicative raltionship with Sarangchae, and Anchae according to the status system of that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