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재래닭에 있어 조우성과 만우성 깃털의 발생 양상 및 형태적 특성 고찰

        방민희(Min Hee Bang),조은정(Eun Jung Cho),조창연(Chang Yeon Cho),손시환(Sea Hwan Sohn) 한국가금학회 2018 韓國家禽學會誌 Vol.45 No.3

        닭의 깃털은 날개깃과 꼬리깃의 발달과 형태에 따라 조우성과 만우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병아리 성 감별법 중 조우성과 만우성을 이용하여 부화 시 깃털 발생양상의 차이에 따른 깃털감별법이 산업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재래닭에 있어 자가성감별 계통 조성을 위하여 조우성 병아리와 만우성 병아리의 분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한국재래닭 856수를 대상으로 발생 시부터 55일령까지 병아리의 날개깃과 꼬리깃의 발달 양상과 형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K-특이 유전자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로서 조우성과 만우성 닭의 표현형과 유전자형 간의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조우성 병아리는 긴 주익우와 부익우를 가지며, 주익우와 부익우 간 확실한 길이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만우성 병아리는 조우성 병아리보다 짧은 주익우와 부익우를 보였으며, 주익우와 부익우 간 길이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우성 병아리는 날개깃 모양에 따라 LF-Less, LF-Scant, LF-Equal 및 LF-Reverse와 같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조우성 병아리의 주익우는 만우성 병아리에 비해 15일령까지 1.5배 정도 더 길다가 50일령에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꼬리깃의 경우, 조우성 병아리는 5일령 때 명확하게 보이지만, 동일시기에 만우성 병아리는 짧고 불명확하였다. 발생 시 주익우 길이 9 mm를 기준하여 조우성과 만우성 개체로 구분하였을 때 조우성은 96.2%, 만우성은 85.4%의 분류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재래닭에 있어 조우성 병아리와 만우성 병아리의 깃털 형태 및 발달 양상의 차이가 뚜렷하기 때문에 발생 시점에서 조우성과 만우성을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hicken feathers could be classified into early-feathering (EF) and late-feathering (LF)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and patterns of the wing and tail feathers. Currently, feather-sexing is a widely used chick sexing method in the industr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the method of classifying of EF and LF chicks to establish auto-sexing Korean native chicken (KNC) strains. The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wing feathers and tail feathers in 856 KNCs from hatching to 55-days old were analyzed to classify EF and LF chicks. We also performed PCR analysis using K-specific gene primers to confirm the agreement between the phenotypes and genotypes of EF and LF chickens. In the results, the EF chicks had long primaries and covert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primaries and coverts. The LF chicks had shorter primaries and coverts than the EF chicks, and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length between primaries and coverts. LF chick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LF-Less, LF-Scant, LF-Equal and LF-Reverse according to their wing feather patterns. EF chicks had 1.5 times longer primaries than LF chicks until they were 15-days old, but the lengths were almost the same at 50-days old. The tail feathers of the EF chicks were apparent at 5-days old, but those of the LF chicks were short and indefinite at that time. When EF and LF chicks were classified by the length of primaries being more or less than 9 mm, the classification accuracies for EF and LF chicks were 96.2% and 85.4%,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PCR results. In conclusion, juvenile EF and LF KNC showed distinct differences in feather development and morphology, and could be easily distinguished at one day-old.

      • KCI등재

        신라 고분 부장 금속용기의 등장과 전개

        방민희(Min-Hee Ba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24 중앙고고연구 Vol.-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burial of metal containers, which is a features of ancient tombs from the Silla Dynasty of the Three Kingdoms, to gather metal containers buried in ancient tombs and graves in and outside of Gyeongju to trace the meaning of burying metal containers with the dead in the Silla society. Metal containers buried in the ancient tombs of Silla range in materials from gold to silver, gilt bronze, bronze, and steel, and also have diverse types such as personal plates for food call gobae, wan, sohap, etc., cooking containers such as sotga and siru, storage containers such as janggyeongho, and even containers used for rituals like jeong, chodu, and choho. Burial of such metal containers are materialistic expressions of burial customs and belief of the afterlife are concentrated in Gyeongju, which was the center of Silla, while being buried in ancient tombs in some other areas outside of Gyeongju.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focusing on two aspects. metal containers buried in ancient tombs were reviewed to examine the types of metal containers, while on the other hand. Results of this showed that in addition to the temporal development mode of ancient tombs in which metal containers were buried, this practice spread to areas outside of Gyeongju as time passed. Based on this, the meaning of burying metal containers in tombs of the Silla society was evaluated. Meanwhile, the burial of metal containers also had social meaning. In the center of Silla, multiple metal containers with various materials and types were buried in the greatest tombs, and this custom of burying metal containers spread to the tombs of people of lower status. It is evident that in the fifth century and latter Silla Dynasty, the burial of metal containers was widely practiced among the upper echelons in central Silla. Burial of metal containers outside of Gyeongju were found after the late 5th century, and among the various regions that shared the ancient tomb culture of Silla, metal containers were found only in the ancient tombs of Gyeongsan, Daegu, Changnyeong, and Yangsan, and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Just like other artifacts that show hierarchy, the burial of metal containers can also hint to the relationship of the central and local regions, and it can be presumed that areas with ancient tombs that buried metal containers had higher status compared to other regions. 삼국시대 고분 부장품에서 금속용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크지 않다. 금속용기의 부장이 두드러진 것은 경주의 적석목곽분이며, 신라양식 토기가 부장된 대구, 경산, 창녕, 양산, 포항의 고분에서도 금속용기가 부장되었다. 따라서 금속용기의 부장은 신라 고분 특징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금속용기의 부장 고분에 대한 개별 유구를 집성한 후, 부장된 금속용기의 기종과 수량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금속용기는 재질별, 기종별 조합에 대하여 살펴본 후 금속용기 조합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신라 고분 부장 금속용기의 기종조합을 통해 고분의 위계에 대하여 파악하고, 지역별 전개 양상의 차별성에 주목하여 금속용기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통해 금속용기 부장이 갖는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경주를 비롯한 경주 외 지역의 고분에서 출토된 금속용기를 취합하여 금속용기의 전개과정과 금속용기 부장의 단계를 구분하고 신라 고분에 부장된 금속용기의 시공간적 양상을 통해 그것이 가지는 의미에 대하여 설명했다.

      • KCI등재

        실용산란계의 산란연령이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민희(Min Hee Lee),조은정(Eun Jung Cho),최은식(Eun Sik Choi),방민희(Min Hee Bang),손시환(Sea Hwan Sohn) 한국가금학회 2016 韓國家禽學會誌 Vol.43 No.4

        계란의 품질은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계란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닭의 품종, 산란연령, 계란의 보관 온도와 저장기간, 보관 습도, 산란 계절 및 사료 등이 있다. 본 연구는 닭의 산란연령과 계란의 저장기간이 난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시험은 하이라인 브라운 실용산란계가 생산한 총 700개의 계란을 대상으로 2개의 산란연령(30주령 및 60주령)과 4개의 저장기간(0, 10, 20, 30일), 총 8처리에 대해 분석하였다. 계란의 품질 평가기준으로 난중, 난각색, 난각두께, 난각밀도, 난백높이, 호우유니트(HU), 난황색, 난황 및 난백의 pH와 점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산란연령 및 계란의 저장기간은 거의 모든 계란의 내·외부 난질지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산란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된 계란의 난각두께, 난백높이, HU, 난황색, 난황과 난백의 pH 및 난황점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난각색에 있어서는 60주령에 생산된 계란이 30주령에 생산된 계란보다 옅은 난각색을 나타내었다. 또한, 계란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난중, 난각중, 난각두께, 난각밀도, 난백높이, HU 및 난백점도는 감소하였고, 반면 난황색과 난황과 난백의 pH는 증가하였다. 더불어 난각두께, 난백높이, 난황색, 난황 및 난백의 pH와 점도는 계란의 저장기간과 산란연령 간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난질의 지표로 볼 수 있는 난각두께, 난백높이 및 HU가 60주령에 생산된 계란이 30주령에 산란한 알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산란연령이 증가하고 계란의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난질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신선란의 경우, 산란연령이 계란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인 반면, 보관란의 경우 저장기간이 난질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Egg quali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both consumers and producers. Factors affecting egg quality include strain and age of hens; egg storage temperature, time, and humidity; laying season; and feeding.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n age and egg storage time on egg quality. A total of 700 eggs obtained from Hyline Brown commercial layers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and they were separated into two hen age groups (30 vs. 60 weeks) with eight treatments and four storage times (day 0, 10, 20, and 30). The egg weight; shell color, thickness, and density; albumen height; Haugh unit (HU); yolk color; and the yolk and albumen pH and viscosity were measured for the egg quality assess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e of the hen and egg storage time significantly affected almost all parameter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egg quality. The shell thickness, albumen height, HU, yolk color, pH of yolk and albumen, and yolk viscosity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hen age. The egg shell color was significantly lighter in eggs from 60-week-old hens than in those from 30 weeks-old hens. The egg weight; shell weight, thickness, and density; albumen height, HU; and albumen viscosity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 yolk color and pH of the yolk and albumen increased with increasing egg storage tim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storage time and hen age were significant in shell thickness, albumen height, yolk color, and yolk and albumen pH and viscosity. The eggs obtained from 60-week-old he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hell thickness, albumen height, and HU values, which are considered typical egg quality measurements, than values of eggs from 30-week-old hens. Therefore, increasing hen age and egg storage time caused the deterioration of egg qua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hen age is the major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fresh eggs, whereas the storage time is the determinant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stored eggs.

      • KCI등재

        토종 종계 이면교배조합 시험에 따른 생산형질의 결합능력 추정

        최은식(Eun Sik Choi),방민희(Min Hee Bang),김기곤(Ki Gon Kim),권재현(Jae Hyun Kwon),정옥영(Ok Young Jung),손시환(Sea Hwan Sohn) 한국가금학회 2017 韓國家禽學會誌 Vol.44 No.3

        본 연구는 국산 신품종 토종닭 개발을 위하여 국내 보유중인 원종계 5계통을 대상으로 5×5 이면교잡을 통해 생산된 교배조합종 암컷 1,157수를 대상으로 조합별 능력을 검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결합능력 및 상반교잡효과를 추정하였다. 생산능력에 대한 검정형질로는 체중, 생존율, 시산일령, 난중 및 산란율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결합능력에 있어 생존율은 —9.6∼11.1의 범위를 보이며 W계통이 가장 높았고, 12주 체중에서는 F계통이 가장 높은 추정치를 보이며, —209.7∼162.2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산란형질에 대한 일반결합능력의 추정치는 시산일령에서 —2.8∼3.7, 난중은 —0.91∼0.96, 일계산란율은 —4.9∼6.0의 범위를 보이며, W계통이 가장 높은 산란율을 나타내었다. 특정결합능력의 추정 결과, 생존율은 Y와 W계통 간의 조합이, 12주 체중은 F와 W계통 간의 조합이 가장 높았으며, 일계산란율은 G와 W간의 조합이 가장 높게 추정되었다. 상반교잡효과의 분석결과, 거의 모든 형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동일한 교배조합이라 할지라도 어느 쪽을 부모계로 이용하느냐에 따라 상이한 능력의 차이를 보였다. 결합능력을 근거로 한 조합가의 추정치로 생존율은 WY, WF, GW 순으로 높았고, 12주 체중에서는 GF, HG, HF 순으로 높았으며, 일계 산란율은 GW, YW, FW 순으로 높은 추정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한 실용계(commercial chicken)를 작출하기 위한 최적의 종계(parents stock) 조합의 선정은 부 계통으로는 체중이 우수하면서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양호한 GF나 HF조합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고, 모 계통은 산란능력이 우수하며 적절한 체중을 지닌 GW나 FW조합이 가장 바람직 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new synthetic breed of Korean native chicken. The combining 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for production traits were estimated on 1,157 hens from a 5 × 5 diallel cross-mating design using grand parent stock (GPS)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 Body weight, viability, age at first egg laying, egg weight, and hen-day egg production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of the survival rate during laying periods was —9.6 to 11.1, with the highest value obtained in the W strain. Additionally, the GCA of the body weight at 12 weeks was —209.7 to 162.2, with the highest value obtained in the F strain. The GCA for age at fist egg laying was estimated to be —2.8 to 3.7, while the GCA of egg weight was —0.91 to 0.96, and the GCA of hen-day egg production was —4.9 to 6.0. In the estimation of specific combining ability, the YW combination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FW showed the highest body weight at 12 weeks, and GW showed the highest hen-day egg production. The reciprocal eff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rosses for almost all productivity traits. In identical breeding combinations, differences in ability were observed when the maternal or paternal breeds were switched. The mean value based on combining ability was higher in WY, WF, and GW combinations for survival rate; GF, HG, and HF combinations for body weight at 12 weeks; and GW, YW, and FW combinations for hen-day egg produc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GF and HF combinations, which have excellent growth performance and moderate survival rate, are the most desirable paternal parent stock (PS) strains, and the GW and FW combinations, which have great laying performance and moderate body weight, are the most desirable maternal PS strains.

      • KCI등재

        토종 종계 이면교배조합 시험에 따른 생산능력 및 잡종강세효과

        최은식(Eun Sik Choi),방민희(Min Hee Bang),김기곤(Ki Gon Kim),권재현(Jae Hyun Kwon),정옥영(Ok Young Chung),손시환(Sea Hwan Sohn) 한국가금학회 2017 韓國家禽學會誌 Vol.44 No.2

        본 연구는 국산 신품종 토종닭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토종닭 GPS 계통들을 대상으로 5×5이면 교배조합 시험을 실시하여 교배조합별 성적을 토대로 최적의 종계 조합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총 25개 교배조합의 암컷 1,157수를 대상으로 주요 생산능력인 생존율, 체중, 시산일령, 난중, 일계산란율 및 산란지수를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각 조합별 형질들의 잡종강세효과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성계의 평균 생존율은 순계구가 67.7%, 교잡구가 77.1%로 나타났다. 체중측정 결과, 이들 25개 조합은 뚜렷한 3개의 그룹 즉, 9개의 고체중구, 12개의 중체중구 및 4개의 저체중구로 구분되었다. 12주령 평균 체중은 고체중구는 1,873.8±43.0 g, 중 체중구는 1,595.4±56.6 g, 저 체중구는 1,152.7±24.7 g이었으며, 순계구는 1,560.2±339.3 g, 교잡구는 1,640.9±213.7 g이었다. 산란능력에 있어 시산일령은 순계구는 139.7±4.9일, 교잡구는 135.8±5.1일이었고, 평균 난중은 순계구에서 52.3±1.6 g, 교잡구는 53.0±1.6 g이었다. 20주령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지수는 순계구가 58.3±12.9개, 교잡구는 69.2±10.4개였다. 잡종강세 효과 추정에 있어 전체 조합에 대한 평균 생존율은 16.9%, 12주 체중은 5.4%, 시산일령은 —2.7%, 난중은 1.3% 및 일계 산란율은 14.3%의 잡종강세율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생존율 및 산란형질들의 잡종강세 효과가 성장형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할 때 최적의 실용계 생산을 위하여 부계통으로는 우수한 성장능력을 가진 HF 조합구의 선정이 바람직하고, 모계통으로는 우수한 산란능력을 가진 GW 및 FW 조합구의 선정이 바람직하리라 예측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new synthetic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 We performed 5×5 diallel crossings with GPS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 for the selection of parent stock. The production traits including viability, body weight, age at first egg laying, egg weight, hen-day egg production, and hen-housed egg production were measured and analyzed for 25 crosses with 1,157 hens. The heterosis effects of these traits were also estim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urvival rate during laying periods was 67.7% in the pure lines and 77.1% in the crosses. The 25 cross combinations were shown to be distinctly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nine crosses in the high-weight group, 12 crosses in the medium-weight group and four crosses in the light-weight group. The average body weight at 12 weeks of age was 1,873.8 ±43.0 g in the high group, 1,595.4±56.6 g in the medium group and 1,152.7±24.7 g in the light group, and 1,560.2±339.3 g in the pure lines and 1,640.9±213.7 g in the crosses. In terms of egg production performance, the age at first egg laying was 139.7±4.9 days in the pure lines and 135.8±5.1 days in the crosses. The average egg weight was 52.3±1.6 g in the pure line and 53.0±1.6g in the crosses. The average hen-housed egg production from 20 to 40 weeks was 58.3±12.9 eggs in the pure line and 69.2±10.4 eggs in the crosses. The average heterosis effect was 16.9% for survival rate, 5.4% for body weight at 12 weeks, —2.7% for age at first egg laying, 1.3% for egg weight, and 14.3% for hen-day egg production. Generally, the heterosis effect for viability and egg production traits was higher than that for growth trai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selection of the HF combination, which had excellent growth performance, is the most desirable as the paternal strain, and the selection of GW and FW combinations, which had excellent laying performance, are preferable as the maternal str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