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집 - 영적 돌봄의 인간학적-신학적 의미

        박준양,Park, Jun-Yang 한국가톨릭의료협회 2009 Health & mission Vol.17 No.-

        지금 비록 심각한 질병을 앓고 있어 내 육체적 차원이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쇠약해져가고 있다 하더라도, 나는 점차 잊혀져가고 사라지고 말 무의미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끔 내 이름을 불러 주는 행위가 영적 돌봄이다.

      • 방염물품의 연소에 따른 연기밀도 특성에 관한 연구

        박준양(Park, Junyang),김병설(Kim, Byoung Seol),조현숙(Cho, Hyunsu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6

        본 연구에서는 방염물품의 연소에 따른 연기밀도의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소방법령에 부합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양한 방염물품에 대하여 연소로 인한 연기밀도 특성을 ASTM E 662(비용융 물품)와 KS M ISO 5659-2(용융 물품)에서 정하는 측정장비와 측정기준으로 시험하고 연기밀도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향후, 소방법률 시행령에서 정하는 방염물품의 종류별, 중량별 도출되는 연기밀도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특정 방염대상물품에 대한 연기밀도 특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ire Protection Act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density caused by the combustion of flameproof goods. We tested the smoke density properties due to combustion on a variety of flame retardants with the measurement equipment and metrics specified by ASTM E 662 (Cost Melting Goods) and KS M ISO 5659-2 (Melting Goods).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density for certain flame retardant produc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smoke density by type and weight of flameproof goods prescribed by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Fire Protection Act.

      • KCI등재

        온전함을 향한 신학

        박준양 신부(Prof. Fr. Junyang Park) 신학과사상학회 2017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79

        ‘온전함’은 ‘영적 돌봄’의 핵심 개념이자 최종 목표다. 이 논문에서는 ‘온전함’의 개념에 관해 그리스도교 신학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우선 성서적 성찰에 기초한 접근이 이루어지는데, 구약성경에서는 창세기 1~3장에 대한 해석을, 그리고 신약성경에서는 공관복음서와 바오로 서간에 대한 해석을 그 근거로 제시한다. 그리하여 기본적인 성서적, 신학적 성찰의 맥락에서 ‘온전함의 신학’을 제시한다. 그리고 보건의료 배경의 맥락에서 이러한 성서적, 신학적 성찰과 개념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의 의미에서, ‘온전함을 향한 신학’에 관해 설명한다. 따라서 종교성과 영성의 관계를 다루는 동시에 온전함을 향한 초월적 ‘의미 체험’으로서의 영성 개념을 정의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치유’는 무엇보다도 온전함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임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과제로서 ‘영적 성장’에 관한 측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측정 도구의 개발은 보건의료 현장에서의 영적 돌봄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과제다. 보건의료 현장에서의 ‘영적요구’에 관한 측정 도구는 이미 개발된 바 있지만, ‘영적 성장’ 개념과의 관련성 안에서 더욱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Wholeness’ is the key concept and the ultimate goal of ‘spiritual care’. This article attempts to present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idea of ‘wholeness’. It thus offers a ‘theology of wholeness’ which deals with the perspectives in Genesis of the Old Testament, the synoptic Gospels and the Pauline epistles of the New Testament. Moreover, this paper presents a ‘theology toward wholeness’ which demonstrates that a theological, biblical reflection on wholeness can be aptly applied to the context of spiritual care. This article also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defining spirituality as transcendent ‘meaning experience’ toward wholeness. In this context, healing is explained as ‘making whole’. In conclusion, assessing ‘spiritual growth’ is presented as the task at hand. This points to the task of developing a workable scale to measure and assess such ‘spiritual growth’ in the context of healthcare. These assessment tools will prove to be far more effective, if supplemented in relation to the idea of ‘spiritual growth’. This is because the scale to assess ‘spiritual growth’ focuses on the aspect of experience while requiring a more precise assessment of the qualitative aspect of spiritualty.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그리스도인 실존과 사명에 관한 성찰 : 조직신학적 접근

        박준양(Junyang Park) 신학과사상학회 2021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85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은 인간의 삶에 급작스런 변화를 일으켰고, 이는 종교적 생활양식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특히 비대면 온라인 소통 방식이 널리 확산되면서 미디어에 대한 의존도가 강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의 예식적 측면과 공동체적인 대면 활동이 제약을 받으면서 신앙생활의 어려움을 불러일으킨다. 이처럼 신앙의 ‘공동체적 현장성’이 도전받는 상황에서, ‘신앙 공동체’의 새로운 개념 형성이 필요하며, ‘모이는 교회’에서 ‘찾아가는 교회’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청된다. 그리고 ‘가정 교회’의 충실한 건설이 중요한 사목적 대안으로서 강조된다. 이러한 교회론적 차원 외에도 신론의 관점에서 본다면, 오늘날 ‘하느님의 침묵’과 관련한 신정론 차원의 물음이 새로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인간의 고통을 끌어안는 ‘하느님의 고통’에 대한 성찰을 통해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그리스도인의 신앙생활은 영적으로 더욱 깊어져야 할 것이며, ‘활동 중심’과 ‘존재 중심’의 통합적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현재의 상황 속에서 교회의 공동체적 식별과 쇄신은 영적 차원의 회심에서 출발해 생태적 차원의 연대성과 보편적 친교를 포괄하는 통합적 전망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drastic changes in the way people live. This in turn has largely impacted how people live their religious life, as reflected in people’s increased dependence on media due to the widespread use of online communication in lieu of in-person interactions. Many restrictions on the Church’s ritual and communitarian activities have also brought challenges to the faithful trying to live out their faith. With the ‘communitarian present-ness’ fundamental to Christian faith facing such obstacles, the pandemic invites the Church to formulate a new concept of ‘faith community’ and shift the paradigm from a ‘Church as congregation’ to a ‘Church as missionary.’ Furthermore, a more robust growth of the ‘domestic Church’ needs to be emphasized as an important alternative to pastoral activities. In addition to this ecclesiological dimension, the implications of the pandemic also raises new questions on the doctrine of God’s presence. As today’s world continues to answer questions related to theodicy and ‘the silence of God,’ the Church is called to respond with a reflection on ‘the suffering God’ who embraces human suffering. The pandemic reveals the need for the spiritual deepening of Christians’ religious life, which would require an integral harmony between ‘doing’ and ‘being.’ The Church’s communitarian discretion and renewal in response to today’s challenges must start from a spiritual conversion and grow toward an integral vision that encompasses solidarity in the ecological dimension as well as universal commun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치유의 신학

        박준양(Junyang Park)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2 누리와 말씀 Vol.51 No.1

        이 글은 치유의 의미에 대하여 신학적 관점의 접근을 통해서 탐구하고자 한다. 이 주제와 관련된 가톨릭 교회의 최근 가르침을 분석하면서,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진정한 치유의 의미를 신학적 차원에서 조명한다. 어떤 의미에서, 이는 하나의 ‘치유의 신학’을 정립하기 위한 시도로서, 주로 그리스도론적인 접근과 성찰을 통해 이루어진다. 오늘날 우리는 과학주의 시대의 인간학적 위기 및 정보화 사회의 인간 소외 현상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의미체험을 통한 고통의 치유가 요청되며, 이는 사랑이신 하느님과의 관계성 안에서 실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핵심 열쇠는 하느님의 연민 가득한 자비의 체험에 있으며, 이는 온전함을 향한 전인적 차원의 치유 체험에로 우리를 인도한다. 나아가, 오늘날 생태적 차원의 위기 시대에, 치유 개념은 생태적 차원의 회심과 모든 피조물의 치유에로 확장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볼 때, 인간 고통의 치유는 궁극적으로 진리 개념과 연관된 것이며, 이는 그리스도론적 기억을 통하여 실현된다. 이처럼 그리스도론적 진리에 의해 관통된 인간은 온전함을 향해 되어가는 존재로서, 다른 이를 치유하고자 하는 우리의 헌신 속에서 스스로 치유 받게 됨을 마침내 깨닫게 될 것이다.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meaning of healing by approaching the concept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recent teachings of the Catholic Church on the subject, the paper tries to illuminate the true meaning of healing that this modern society needs. In a certain sense, this is an attempt to establish a theology of healing, concentrating on Christological approaches and reflections. Today we are experiencing an anthropological crisis in the time of scientism and the phenomena of human alienation in the midst of information society. In this situation, we need some experiences of heal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meaning, and this can be realized throug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who is love. The most important key for this lies in the experience of the compassionate love of God, and this leads us to the experience of healing in the holistic dimension toward wholeness. Moreover, in this age of ecological crisis, the concept of healing should be expanded to the dimension of ecological conversion and the healing of the whole creation. In conclusion, the healing of human suffering is ultimately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truth, and this healing by truth can be realized through the Christological memory. Human beings penetrated by the Christological truth can finally realize that we ourselves can be healed by our commitment to heal others, as a human becoming toward wholeness.

      • KCI등재

        성소수자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 : 교도권 문헌들의 분석과 전망

        박준양(Park, Junyang)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0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0 No.2

        이 논문은 성소수자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을 현대 교도권의 문헌들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그 전망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주제에 있어 기본 관점을 제시하는 것은 교황청 신앙교리성의 1975년과 1986년 문헌이다. 여기에서 제시된 핵심 내용은 이후의 교도권 문헌들에서 계속 인용되며 확대, 보완된다. 교도권 문헌은 동성애적 관계를 본질적이고 필수적인 목적이 결여된 것으로 보면서, 그 경향성(상황)을 행위와 구별한다. 동성애자의 경향성은 객관적 무질서로 인식되어야 하며, 그 행위는 내재적으로 병든 것이기에 인가될 수 없다고 밝힌다. 이러한 성향의 사람들을 교회는 존중으로 대하며 부당한 차별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사목적 배려로 강조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의 천부적 인권에 대한 존중이 오늘날 동성 결합 합법화에 대한 인정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프란치스코 교황 역시 이 주제에 대한 교회 문헌들의 일관된 입장을 지지하면서도, 젊은이들이 교회와 이에 관해 열린 대화를 원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현대의 ‘젠더 이데올로기’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 개인이 자신의 성적 정체성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하는 주장을 배격한다. 교황청 가톨릭교육성의 2019년 문헌은 이 주제를 보다 자세히 다루면서, ‘젠더 이데올로기’와 ‘젠더에 관한 연구들’을 구분한다. 젠더 이론의 형성 과정을 고찰하면서, 생물학적 성과 사회 문화적 성(젠더)이 구별 가능하지만 이 둘을 분리한 것이 큰 문제라고 지적하다. 그리고 이 분리에 근거해 다양한 성적 성향들이 구별되어 유동적인 ‘퀴어’ 개념이 등장함을 지적한다. 젠더 연구에서 개성과 다름에 대한 인정 및 모든 사람의 존중 등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는 일부 입장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의 일부 극단적인 성소수자 이론은 오히려 진정한 ‘성 정체성 확립 과정’의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성소수자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은 그동안 동성애의 문제만을 다루었으나, 최근에는 이처럼 젠더 개념까지 확대되어 나타난다. 모든 사람에 대한 존중을 강조하고 모든 차별에는 반대하지만, 동성 결합의 합법화나 남녀의 본질적 차이와 상호성을 부정하는 젠더 이데올로기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 교회 문헌에서 거듭 확인된다. 이는 생물학적 차원을 넘어서 인간의 본질적인 인격적 차원에 해당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리적 기본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어떻게 사목적이고 선교적인 대화에 임해나갈 것인가는 가톨릭교회의 향후 큰 과제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eaching of the Catholic Church on sexual minorities and present a perspective on the subject by analyzing recent magisterial documents. The Congregation for the Doctrine of the Faith has issued two documents (in 1975 and 1986) that set forth the fundamental teaching of the Church on this issue. All subsequent magisterial documents refer to the core teaching contained in these documents, expanding and supplementing them as needed. Magisterial documents view homosexual relations as lacking in an essential and indispensable finality, distinguishing homosexual tendency from homosexual action. Homosexual inclination is thus an objective disorder, rendering homosexual acts intrinsically disordered acts that can in no case be approved of. At the same time, the documents emphasize that the Church treats persons of such inclination with respect, approaching them with pastoral care that rejects any unjust discrimination. However, the respect for the intrinsic dignity of each person that undergirds such pastoral care does not amount to a legal recognition of unions between homosexual persons. Pope Francis has also upheld the teaching of the magisterial documents on this issue, even as he encouraged young people to engage in open dialogues with the Church. For example, the Pope has discussed various forms of an “ideology of gender” to reject the idea that an individual may choose one’s sexual identity. The Congregation for Catholic Education’s recent document in 2019 delves deeper into the subject and adds further dimensions to the Church’s teaching. The document first distinguishes “ideologies of gender” from the whole field of research on gender. In examining the evolution of gender theories, the document points out that one can only distinguish “sex” from “gender,” meaning problems emerge as soon as one separates the two concepts. The document then explains how the various “sexual orientations” stemming from such a separation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fluid and flexible concepts such as “Queer.” Granted, the document also considers some positions that could provide points of agreement, with a potential to yield growth in mutual understanding. For example, the document acknowledges the laudable desire to combat all expressions of any unjust discrimination and the need to respect every person in their particularity and difference. Nevertheless, the document concludes that some extreme gender theories can become obstacles to the genuine process of identifying one’s sexual identity. Whereas in the past the Catholic Church’s teaching on sexual minorities has been limited to the topic of homosexuality, the Church’s teaching has now been expanded to encompass the concept of “gender.” Through various magisterial documents, the Church has reiterated its stance against all discrimination and emphasized respect for all human persons. At the same time, the Church has also consistently rejected the legal recognition of unions between homosexual persons as well as “ideologies of gender” that deny difference and reciprocity in nature of a man and a woman. This tension between doctrine and dialogue imposes a significant challenge for the future, as the Church seeks to embrace sexual minorities with pastoral care while adhering to its fundamental teac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