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가변성을 가진 서비스 실체화 방법

        박준석(Joonseok Park),문미경(Mikyeong Moon),염근혁(Keunhyuk Yeom)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8 No.2

        최근 들어 비즈니스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체계적이고 유연한 서비스 지향 소프트웨어 개발을 할 수 있도록 프로덕트 라인 기법을 적용한 가변성을 가진 서비스가 제시되었다. 이 서비스는 가변성 정보를 명시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명세 수준의 모델이다. 따라서, 서비스 개발자는 이러한 명세 수준의 가변성을 가진 서비스를 실행 수준의 컴포넌트로 개발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제시된 가변성을 가진 서비스를 도메인 개발 단계의 핵심 자산인 컴포넌트로 개발하는 접근법으로 일체형과 분리형 구체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통해 가변성을 가진 서비스 개발의 체계화 및 효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enable quick reactions to business change and to develop systematic and flexible service-oriented software, services with variability on the basis of a product line has recently proposed. This is a model of the specification-level that explicitly represents the variability information. Therefore, service developers need an approach to developing this specification-level of service with variability to implementation level of service compon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l-in-one and separate type mechanism to develop and realize services with variability as service component that is a core asset of domain realization activity. Using this approach, it can enhance systemization and efficiency of service with variability development.

      • KCI등재

        서비스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는 4D 프로세스

        박준석(JoonSeok Park),문미경(Mikyeong Moon),남태우(TaeWoo Nam),염근혁(Keunhyuk Yeom)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5 No.11

        최근에 제시된 서비스 기반 컴퓨팅 패러다임에서의 서비스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세스 모델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기존에 제시된 Unified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UML Components 등의 방법론은 컴포넌트에 초점을 두고 만들어진 방법으로, 서비스의 정의, 바인딩, BPEL(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을 이용한 서비스의 조합등과 같은 서비스 기반의 개발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 기반의 개발 방법론으로 제시된 SOUP(Service Oriented Unified Process), SOMA(Service Oriented Modeling and Architecture) 등은 개념적인 절차가 위주로 되어 있지,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산출물 및 접근 방법을 명확히 제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기반의 개발 패러다임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화되고, 간소화된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OMG에서 제시한 SPEM(Software Process Engineering MetaModel)을 적용하여 프로세스 모델을 명시적으로 표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프로세스 모델을 실제 서비스 기반의 개발에 적용함으로써 서비스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의 체계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Recently, Service-oriented computing is the emerging computing paradigm. In this paradigm, we require the practical process model to support service-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The well-known development methods e.g., Unified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UML components have been proposed focused on component. So, these methods cannot support service-oriented computing concepts such as service definition, binding and composition concepts using 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BPEL). Also, a few proposed service-oriented approach, for example Service Oriented Unified process (SOUP), and Service Oriented Modeling and Architecture (SOMA) have appeared. However, these approaches do not explicitly represent detailed guideline, artifacts and approach.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actical and simple process model to support service 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Also, we explicitly represent process model and artifact using Software Process Engineering Metamodel (SPEM) which is proposed by OMG. By using our approach, it can enhance systematization and effectiveness for service-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 KCI등재

        클라우드 사용자 요구사항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중개를 위한 가상 클라우드 뱅크 아키텍처

        박준석(Joonseok Park),안영민(Youngmin An),염근혁(Keunhyuk Yeom)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2 No.9

        클라우드 컴퓨팅 패러다임의 등장에 따라 다수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클라우드 사용자를 연계해 주는 CSB(Cloud Service Brokerage) 라는 개념이 제시되었다. CSB 에 등록되어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들은 제공자마다 성능, 가격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클라우드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적합한 서비스를 찾기 어렵다. 따라서 다수의 클라우드 서비스 중에서 클라우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가장 적합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찾아주는 방법을 CSB 에서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은 클라우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과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명세하는 SAM을 포함하는 CSB 로써 가상 클라우드 뱅크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가상 클라우드 뱅크 아키텍처는 클라우드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CSB의 참조 아키텍처로 활용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Cloud Service Brokerage (CSB) has been introduced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the cloud-computing paradigm. Cloud services that provide similar functionality are registered with a CSB. A CSB intermediates cloud services between cloud users and providers.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ice and performance offered by each of the cloud providers. Thus, cloud users have difficulty in finding suitable services to use. Therefore, a CSB is required in order to provide an approach for cloud services to fulfill the requirements of cloud us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rtual cloud bank architecture that includes both a Service Analysis Model (SAM) that can be used to specify and analyze various cloud services and a requirement analysis method that can b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cloud user requirements. The VCB architecture that is herein proposed can be used as a reference architecture to provide user-centric cloud services.

      • KCI등재

        법과 언어: 형태소 `-물`의 사용에 대한 약간의 고찰

        박준석 ( Joonseok Park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4

        이 글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몇 가지 법적 문제들을 `법과 언어`의 관점에서 조망해 보려는 시도이다. 그러한 문제들로서 이 글이 주목하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사소송법 제106조 제3항이 정하고 있는 이른바 디지털 증거에 대한 압수에 있어서, 압수의 목적물이 `정보` 그 자체인지 아니면 그것을 저장하고 있는 유체물인 `정보저장 매체`인지를 둘러싼 논란, 둘째,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5호가 정하고 있는 `아동ㆍ청소년이 용음란물`이나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가 정하고 있는 `게임물` 등의 법적정의를 둘러싼 논란, 셋째, 이른바 `성적 욕구의 충족`이 형법 제129조가 정하고 있는 `뇌물`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는지를 둘러싼 논란, 혹은 `예금계좌로 송금한 돈`이 동법 제362조가 정하고 있는 `장물`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는지를 둘러싼 논란 등이다. 언어적 측면에서 볼 때, 이상의 문제들은 모두 형태소(morpheme) `-물(物)`을 포함하고 있는 말의 의미를 이해하는 방식과 관련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 글은 바로 이와 같은 지점에 대한 논의와 분석을 통해, 그것이 전통적인 `물건 또는 물질`이라는 의미외에 `정보`, `장르`, 그리고 `목적 또는 대상`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위의 세 가지 문제들에 대해 `법과 언어`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이 답하고 있다. 사회적ㆍ기술적 변화와 그에 따른 언어적 실천의 변화를 직시하지 못하고 `유체성의 신화`에 매몰되어 있는 해석적 태도는 지양되어야 하며, 따라서 `정보` 그 자체가 압수의 목적물이 될 수 있고, `게임물` 등의 개념에서 유체물인 매체의 존재는 이미 본질적인 요소가 아니며, `재물`의 상태와 `재산상 이익`의 상태를 수시로 넘나드는 대상에 대해서는 굳이 `장물`의 개념을 제한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a few legal problems that have been debated recently from the point of view of `law and language.` It focuses on the following issues: Firstly, an issue concerning whether information itself else than digital storage devices, which are tangible objects, can be thought to be subject to seizure in securing the so-called digital evidence. Secondly, the confusion of medium and content about legal definitions of video games, child pornography, etc. Thirdly, the criminal legal framework of discriminating exclusively property and pecuniary advantage in the field of law of property crimes, and several problematic definitions of legal concepts therein. From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those issues have the same core of the usage and meaning of the morpheme `-mul`. This paper suggests that it has meanings of `information`, `genre`, and `object` in addition to the standard meaning of `things`, and that an answer from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to the issues can be given from those new meanings of `-mul.` To sum up, it claims that change of the social and technological stream which is reflected in linguistic practice should be endorsed and the myth of corporeality should be abandoned thereby.

      • KCI등재

        법률 문언의 구속성에 대하여

        박준석(Joonseok Park)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法學硏究 Vol.57 No.-

        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 법률의 문언에 반드시 구속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어왔다. 한편에서는 법의 제정과 해석은 구별되어야 한다는 점을 들어 이를 긍정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어차피 법의 제정이 완벽할 수는 없음을 이유로 경우에 따라서는 문언에 구속되지 않는 편이 더 바람직하다고 본다. 전통적인 법학방법론 분야에서는 이 문제를 이른바 법률 문언의 한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해석 외에 법률의 문언을 넘은(praeter legem) 해석이나 법률의 문언에 반하는(contra legem) 해석을 인정할 것인지의 문제로 다루고 있었다. 학설에 따라서는 이들을 법률내재적 법형성과 초법률적 법형성이라는 말로 나타내며, 각각 특정 법률의 본래적 의도를 좇아 그 흠결의 보충을 위해 시도되는 것과 전체 법질서의 관점에서 법의 기본 원리 등을 좇아 수행되는 것이라 설명한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그다지 분명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법률의 흠결을 보충하기 위해 시도되는 해석이란 곧 전체 법질서의 관점에서 당해 법률이 지시하는 바를 거부하는 해석이라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편 법철학 분야에서는 이 문제를 주로 법률 언어의 모호성과 관련하여 다루고 있었다. 언어적 의미의 중심부와 주변부를 구분하고, 전자에 속할 경우에는 법률의 문언에 엄격히 기속되어야 하지만, 후자에 속할 경우에는 법관 등 해석자의 재량을 광범위하게 인정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견해에 대해서는 법률 문언의 언어적 의미의 중심부에서 조차 당해 법률의 목적에 조회해 보지 않고서는 그 적용 여부를 확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는 반론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법학방법론 분야에서의 논의와 법철학 분야에서의 논의를 하나의 연결된 구성으로 제시함으로써 각각의 논의가 지니고 있던 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르면 문언을 넘은 해석과 문언에 반하는 해석은 각각 법률의 문언이 아무런 답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와 일견 답을 제공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적절하지 않아 보이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들은 모두 판단하기 어려운 사안(hard cases)에 속하지만, 전자의 경우는 언어적 비결정성에 기인하는 것인 반면에, 후자의 경우는 언어적 결정성이 확보된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를 받아들이기 곤란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There have been disputes concerning whether it must be bound to the lanaguage of laws to interpret and apply them. Some said yes for the distinction between legislation of law and its application, while others said no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ake law perfectly, and it is, in that case, even desirable not to follow the language. Traditionally in the field of legal methodology, this issue has been treated as the problems of interpretation praeter legem and interpretation contra legem, which some theorists have called, respectively, ‘construction within the law’ and ‘construction beyond the law.’ They defined the first as interpretive activities attempted to fill the gap in the law in pursuit of its purpose, and the latter as interpretive activities performed pursuing after basic principles of the entire legal system. Definitions as such are, however, far from clarity and not 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for the filling the so-called implicit gap in the law can be understood, at the same time, as declining to follow th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legal system. In the field of legal philosophy, the same issue has been addressed as the problem of indeterminacy, especially that of vagueness. H.L.A. Hart divided the meaning of a language into the core and the penumbra. According to him, as to the core of settled meaning interpretation must be bound to the language of law, but in the penumbra of debatable cases can discretion be granted to judge while interpreting the law. Lon Fuller, however, criticized Hart’s theory of interpretation objecting that even the case falling within the core might as well be a hard case as the case belongs to the penumbra. Recently, somewhat new approach shows the way to overcome theoretical difficulties within discourse of each field through bridging them. According to it, interpretation praeter legem might take place in the cases where the statutory language does not provide an answer, while interpretation contra legem might happen in the cases where the statutory language provides a bad answer. Both belong to the hard cases, but in different reasons. The first is hard for the linguistic indeterminacy, while the latter is hard for the undesirable result that would be produced if the language of law followed, in spite of its determinacy.

      • KCI등재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뷰 모델

        박준석(Joonseok Park),문미경(Mikyeong Moon),염근혁(Keunhyuk Yeom)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5·6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서 컴포넌트의 재사용성과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Kruchten이 제시한 4+1 뷰 모델을 기반으로 재 정의한 컴포넌트 기반 4+1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뷰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뷰 모델의 요소와 UML을 이용한 뷰 모델 요소의 표현을 제시한다. 이 아키텍처는 컴포넌트의 사용문맥을 각 뷰에 반영함으로써 소프트웨어에 대한 이해와, 컴포넌트의 상호 작용에 대한 정보 등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한 틀을 구성한다. Component Based Software Development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software development paradigm, and received much attention among researchers. However, it requires software architecture based development to assure component reusability and efficient software development. This paper proposes the Component Based 4+1 View Model of software architecture to support component based software development. It is redefined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4+1 view model of software architecture developed by Kruchten. Also, we describe the elements of the view model in detail with UML. This architecture constructs the foundation of component based software such as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softwar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how the compon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It can be done by exposing the context for the use of software components to each views.

      • 전륜 자동차용 토크 컨버터의 록업 클러치 작동거리에 대한 영향

        박준석(Joonseok Park),장영기(Youngki Jang),장재덕(Jaeduk Jang),주인식(Insik Joo)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A torque converter in automatic transmission transfer the engine power to automatic transmission fluid(ATF). A torque converter consists of the hydrodynamic clutch device and the lock-up clutch device. Especially lock-up clutch device connects directly an engine and an automatic transmission for high efficiency and the low fuel consumption. Friction plate which is main element of torque transfer in lock-up clutch system is made of wet friction material that is consisted of synthetic fiber. Factors decide characteristics of friction material and material composition, apply pressure, rotation speed, ATF temperature. This test evaluates drag torque of lock-up clutch operation distance and ATF temperature.

      • KCI등재

        법령 번역의 의의와 문제점

        박준석(Joonseok Park)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9 No.-

        이 글은 번역의 의의를 일차적으로 ‘기능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그러한 시각에서 번역본을 통하여 법령의 내용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른바 ‘체계해석’의 가능성이 번역본들 사이에서도 관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태도를 유지할 경우, 특정 법령의 번역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관련 법령들의 체계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동원함으로써 명확성을 추구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법령의 번역 과정은 그 자체로서 좋은 번역본의 확보라는 가치를 얻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법령의 원본에 내재해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과 오류를 발견하고 그것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대안을 고민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좋은 법령 원본의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그와 같은 법령 번역의 기능적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이른바 ‘환류 체계’를 공식화·제도화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아울러 법령 번역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 구체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 원론적인 제안에 머물러 있는 데 비해, 이 글은 생명·의료 분야의 법령들에 대한 번역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논의의 실천성을 추구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atter of importance or meaning of legal translation from the “functional” perspective, and thereby claims that the so-called “systemic interpretation” should be available for the laws in translation in order for their original content to be fully grasped while being presented in a different language. It predicts that the process of legal translation will pursue the crystal clear understanding of a single law by resorting to overall knowledge of the legal system to which the law belongs. The process of legal translation of this sort, that is the translation in a systemic and interpretive manner, will result in contributing to the legal system as a whole by means of detecting the various pathologic symptoms and prescribing remedies for them, as well as achieving several laws in translation of better quality. This paper also suggests that the feedback system should be officially institutionalized in order for a legal system to gather lessons from failure and to maximize the functional benefits from the process of legal translation, although a translated version of any given law itself cannot be deemed to be an official translation even in the very leg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