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품종 표고버섯 ‘산장향’의 교배 육성 및 재배 특성

        박영애 ( Youngae Park ),장영선 ( Yeongseon Jang ),유림 ( Rhim Ryoo ),이봉훈 ( Bonghun Lee ),가강현 ( Kang-hyeon Ka ) 한국균학회 2019 韓國菌學會誌 Vol.47 No.2

        본 실험은 ‘산백향’과 ‘장안1호’의 단포자 간 교잡에 의해 새로운 품종을 만들었으며 그 이름을 ‘산장향’이라 명명하였다. ‘산장향’의 주요 형태적 특성은 갓이 평반구형이며, 갓의 직경은 67.1 mm, 갓 두께는 16.9 mm이었다. 주름살 측면 모양은 부정형이며 주름의 밀도는 조밀하고 주름살의 폭은 좁다. 인편은 흰색 또는 옅은 갈색으로 갓 전체에 분포하였다. 대조품종인 ‘산백향’보다 대의 길이가 길고, 갓 색깔은 갈색계열이나 적색이 진하였다. 대의 표면에는 털이 있고 대와 같은 크림색이었다. 버섯은 산발 발생으로 솎아주기 작업을 적게 할 수 있었다. 자실체의 발이온도는 평균 15-19℃으로 중온성이었다. ‘산장향’의 발생시기는 봄, 가을 이었다. 자실체 발생은 3차까지 진행하였고, 1차(89%), 2차(4%) 및 3차(7%)의발생비율을보였다. A new cultivar ‘Sanjanghyang’ was bred from monokaryotic strains of ‘Sanbaekhyang’ and ‘Jangan 1ho’. Pileus was flat, round, and reddish brown. The diameters of the pilei and stipe length of the fruiting bodies were 67.1 mm and 16.9 mm, respectively. The scales were white or slightly brown and distributed evenly. The gill density was sparse and showed a rippled texture. The stipe was cream in color and the fluff was medium. ‘Sanjanghyang’ had a short cultivation period and fruiting bodies occurred sporadically. Temperature for fruiting body formation was a medium, between 15 to 19°C. ‘Sanjanghyang’ was different from ‘Sanbaekhyang’ with regard to its pileus diameter (67.1 mm) and autumn and spring fruiting body production period. ‘Sanbaekhyang’ had pileus diameter of 74.7 mm,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ccurred in spring and autumn. The rate of fruiting body formation was 89% (first flush), 4% (second flush), and 7% (third flush).

      • KCI등재

        〈불도맞이〉와 〈동김녕잠수굿〉의 춤사위

        박영애(Park, Youngae) 한국무속학회 2015 한국무속학 Vol.0 No.30

        굿춤은 무형의 한국 춤 근원을 찾아가는데 필요한 보물지도 같은 것이다. 의식 춤으로서 굿춤은 신을 맞이하고 인간의 소원을 신께 전달하는 수단이 되면서 한국 춤이 가지는 여러 가지 특징적 요소를 발달시켰다. 그것은 신을 청하고 사방의 부정을 없애며, 신에 대한 의지적 표현 및 동경 등이 한국 춤을 구성하는 기본 움직임이 되었다. 제주도의 굿은 다양한 신화가 전승되고, 의례(굿)속에서 신화가 극으로, 춤으로 전해진다. 무속 신앙은 인간과 우주, 신과 인간의 관계를 설명해주고, 그 속에서 우리 문화의 뿌리를 찾게 해준다. 본고에서는 김인회 교수가 촬영한 1985년 <불도맞이>와 <동김녕 잠수굿> 영상을 바탕으로 심방의 춤사위를 고찰하고, 제주도 굿춤의 형식과 특징을 알아보았다. 제주도의 굿춤은 첫째, 일정한 형식과 구조를 갖추고 있다. 둘째, 제주도의 굿은 큰 굿의 초감제가 먼저 연행되고, 다시 소제차별 초감제를 시작으로 굿을 진행하는데, 이중적 구조를 지닌 굿 속에서 춤이 갖는 의미도 이중적이다. 셋째, 세 가지 춤의 형태가 기본이 되어 전체 굿춤을 반복, 변화, 발전시킨다. 기본형 세 가지 동작은 각각의 쓰임새가 다른데 (1)동작은 춤의 첫 시작에 사용된다. (2)동작은 춤을 시작할 때, (3)동작은 동작을 마무리하고 방향을 전환할 때 반드시 사용된다. 넷째, 굿의 제차, 무구, 춤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춤을 분류할 수 있으며, 춤의 형태로 본 제주도의 굿춤은 기본형 춤, 뒷걸음 춤, 앉은 기본 춤, 도랑춤 등이 있다. 제주도 굿춤은 본풀이와 상관관계를 지니며, 심방의 직능을 빌어 신의 행동과 모습을 춤으로 굿판의 공간은 신과 인간이 만나는 신성한 공간이며, 굿의 제차는 신과 인간이 만나는 시간적 장치다. 이 신화적 공간에서 사방의 신을 위해 춤추고, 의례의 시간은 굿춤의 순환성을 만든다. 이 시간성과 공간성은 한국 춤의 사방 춤 원리, 순환성의 원리를 갖는다. 제주도의 굿춤을 연구하는 것은 신화와 제의 상징으로써 굿춤을 이해하는 과정으로 다른 지역의 굿춤과 비교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한국사회에 유입된 한자 음역어의 시기별 유입과정 분석

        박영애(Park, Youngae),모정열(Mo, Jeongyeol)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4

        우리말의 어휘 체계 중 대부분을 한자어가 차지하게 된 것은 오랜 역사적 관계나 지리적 상황으로 볼 때,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 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과거에 중국이 自國의 발음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 썼던 한자 음역어가 우리국어 속에 지금까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는 것이며, 상당히 부끄러운 일이다. 게다가, 우리 고유의 문자인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에도 우리민족은 중국이 한자로 음역한 어휘를 주체적인 순화과정 없이 고유어 속에 무분별하게 받아들였다. 이것이 바로 필자가 한자 음역어를 문제 삼는 근본 이유이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지금까지 한자 음역어들에 대한 연구를 함에 있어서, 항상 명확한 기준이나 구분 없이 통째로 용례를 나열하는 정도에 그쳐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기존의 한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국어 속에 수용되어 있는 복잡한 한자 음역어들의 유입과정을 유입된 시기와 유형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현재 우리 국어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어휘들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The Chinese Character(漢字) had been introduced 漢字 into Korea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During the long period, Chinese Character has been naturally converged and assimilated into Korean language with passing time, so now Chinese character roughly consists more than 2/3 in the lexicon of Korean. Especially, since 19th century, the new word has been introduced with introducing of foreign culture indiscreetly causing rapidly changing of structure of Korea society during the historical disordered time of Korea. The Chinese characters transliteration, introduced during thatperiod, has been affecting a lot on our Korean language. It is only natural that Korean vocabulary is mostly consist of Chinese chracterter when we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is maintained in long period and the geographical situation. However, it is very disgraceful that those Chinese characters transliteration still remains in Korean language. Moreover, even ‘Hunminjeongeum(Korean script) ’was created which is the our own character system of Korea, Koreans have been thoughtlessly taking the word which is based on chinese character without any filtering. This is the fundamental reason the author takes issue with Chinese characters transliteration seriously.

      • KCI등재

        참나무 수종별 톱밥재배에 따른 표고의 항산화 특성

        서수영 ( Sooyoung Seo ),박영애 ( Youngae Park ),장영선 ( Yeongseon Jang ),가강현 ( Kang-hyeon Ka ) 한국균학회 2017 韓國菌學會誌 Vol.45 No.2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 수종을 달리하여 톱밥재배한 표고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건조된 표고를 70% methanol로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활성, ferric reducing antioxidant capacity (FRAP), reducing power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갈참나무로 톱밥재배 한 표고가 3.12 mg GAE/g과 0.84 mg QE/g으로 다른 수종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10 mg/mL일 때 다른 수종에서 재배한 표고에 비해 갈참나무(89.4%)와 상수리나무(87.9%)에서 가장 높았다. FRAP은 갈참나무일 때 0.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reducing power도 역시 갈참나무에서 0.359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참나무 수종에 따른 표고의 항산화 활성은 갈참나무로 톱밥재배한 것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동일한 균주를 이용하더라도 톱밥재료에 따라 표고의 항산화 활성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Lentinula edodes upon sawdust bag cultivation with 5 oak substrates: Quercus acutissima, Q. mongolica, Q. serrata, Q. aliena, and Q. variabilis. We found that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were 70% (v/v) methanol shaken at 150 rpm at 25°C and 150 rpm for 24 h.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L. edodes contained high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hey also exhibite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ie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mushroom extracts ranged from 2.37 to 3.12 milligrams of gallic acid equivalents per gram of dried mushroom (mg GAE/g) and 0.48 to 0.48 milligrams of quercetin equivalents per gram of dried mushroom (mg QE/g),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ushroom extracts exhibited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5.8% to 89.4%) at 2 to 10 mg/mL,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0.153 to 0.425) at 5 to 20 mg/mL, and reducing power (0.078 to 0.359) at 5 to 20 mg/mL, respectively. Q. aliena more effectively increased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other oak substrates.

      • KCI등재

        Panellus edulis 수집 균주의 균사배양 및 자실체 특성 분석

        우성이 ( Sung-i Woo ),유림 ( Rhim Ryoo ),장영선 ( Yeongseon Jang ),박영애 ( Youngae Park ),정연석 ( Yeun Sug Jeong ),가강현 ( Kang-hyeon Ka ) 한국균학회 2018 韓國菌學會誌 Vol.46 No.3

        Molecular analysis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sequences revealed that the strains used in this study, which were formerly identified as Panellus serotinus, are Panellus edullis. After Universal Fungal PCR Fingerprinting (UFPF) analysis, eight strains of P. eduli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e conducted fundamental research on mycelial growth and sawdust cultivation to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ight wild P. edulis strains collected from Korean forests. All strains showed faster and denser mycelial growth on potato dextrose agar (PDA) than on other media (malt extract agar, Sabouraud dextrose agar). Optimal conditions for mycelial growth were: 20℃ on PDA, 25℃ on potato dextrose broth (PDB), and pH 5~8 on PDB at 25℃. Two strains (NIFoS 2407, 3993) were selected as excellent strains based on mycelial growth and density on PDA. NIFoS 2792 showed high cellulase activities on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gar, and NIFoS 2387 and 2804 exhibited high laccase activities on ABTS-containing agar media. The mycelial growth of P. edulis was the fastest on Quercus acutissima and Q. mongolica sawdust media, and mycelial density was the highest on Quercus spp. sawdust-containing media. Sawdust cultivation of P. edulis was successful. The conditions were 80~85 days of cultivation period after spawn inoculation, 10~11 days for primordial formation at 17~18°C, and 15~20 days for fruiting growth. NIFoS 2804 and 3993 were selected as good strains in terms of cultivation period and mushroom production.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for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P. edul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