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원 유학생 석사학위논문의 ‘이론적 배경’ 구성에 관한 일고찰 : 한국어교육 전공 수업에서 발표된 ‘예비 논문’을 중심으로

        민정호(Min J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대학원 유학생에게 학위논문의 완성이 중요함을 전제로, 실제 학위논문관련 수업에서 심사를 앞둔 대학원 유학생이 발표한 학위논문 2장의 분석을 토대로 교육적 함의를 도출한 연구이다. 먼저 일반적 학위논문의 구조를 분석하고, 2장 ‘이론적 배경’에 들어가야 할 핵심적인 담화 내용을 배경 이론과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정리했다. 그리고 ‘실제’ 대학원 유학생의 학위논문 2장과 일반적인 학위논문 2장의 구조를 비교하고, 특징을 도출했다. 그리고 학위논문 2장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적 함의를 제안했다. 본 연구는 학위논문 2장의 일반적 구조를 정리하고, 이를 실제 대학원 유학생이 완성한 학위논문에 적용했다는 것,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대학원 유학생이 학위논문에 대한 장르적 인지가 부족하다는 것을 전제로 교육적 함의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monstrates an educational consensus derived from an analysis on the chapter 2 in a thesis, which wa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The thesis is actually educated, given that the completion of thesis is important to them. At first, it analyzed the general structure of thesis and arranged core discours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chapter 2. And compared the structure of chapter 2 of the general thesis and chapter 2 in the thesi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derived features. And the study suggested an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could promote quality improvement in chapter 2 of the thesis.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outlines the general structure of chapter 2 of the thesis, applies them to chapter 2 in the thesi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derived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premise that a graduate student lacks genre recognition of his/her thesis.

      • KCI등재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수준별 과제 표상 양상 분석 : 과제 표상과 텍스트 유형 비교를 중심으로

        민정호(Min J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학생이 학술적 글쓰기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원인이 잘못된 과제 표상에서 비롯된다고 전제한다. 그래서 과제 표상을 학술적 과제를 ‘해석’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구체적인 개념과 특징을 정리했다. 그리고 실제 ‘학술적 과제’라는 글쓰기 상황 맥락에 놓인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과제 표상 양상을 살폈다. 계획이 중심이 될 때와 수정이 중심이 될 때 과제 표상의 양상이 달라야 한다는 전제로 2회 과제 표상을 확인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에서 고려해야 하는 교육적 함의를 제안했다. 또한 총체적 평가를 기준으로 텍스트 수준별로 과제 표상 양상과 학술적 텍스트 유형을 확인하고, 학술적 과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과제 표상을 할수록 텍스트의 질이 높아짐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이를 근거로 대학원 신입생이 주로 듣는 선수강의에서 학술적 글쓰기를 다룰 때 과제 표상 교육도 포함되어야 함을 밝혔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that the reason for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graduate schools to have difficulty in academic writing is derived from Task Representation. It, therefore, defined Task Representation as the interpretive process of Academic Task and arranged specific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t. It also examined the aspects of Tasks Representation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placed in the writing context, Academic Task. Tasks Representation was verified two times, on the premise that it should be varied depending on whether it is Planning-centered or Rewiring-centered. From the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to be considered in academic writing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were suggested. In addition, the aspects of Task Representation and the types of Academic Text were verified by the levels of texts, based on Holistic Evaluation,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quality of texts was enhanced, as Task Representation was adjusted to the direction of Academic Task. This study thus clarified that the education of Task Representation should contained in prerequisite subjects for Academic Writing, which new graduate students have to attend.

      • KCI등재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나타난 교육적 함의 : 서론의 담화와 수사적 목적에 따른 검색어 분석을 중심으로

        민정호(Min J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가 상호텍스트성과 상호담화성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이유로 학술적 글쓰기는 필자가 어떤 담화로 텍스트를 완성하는지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담화를 선택할 때, 필자가 어떤 검색어로 논문을 검색하느냐가 학술적 리터러시라고 전제하고, 학술 논문 서론에서의 검색어 양상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서 특정 전공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논문 제목을 제시하고, 서론을 중심으로 개요를 작성하도록 했다. 개요를 통해서 서론의 담화 구조와, 담화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한 검색어 종류, 그리고 그 검색어를 선택한 이유 등을 쓰게 하고, 이를 분석했다. 결과는 대학원 유학생이 검색어와 관련된 학술적 리터러시를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검색어 사용과 관련된 문제들을 목록화하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적 함의들을 제안했다. 텍스트에 어떤 담화가 들어가냐는 곧 얼마나 정확한 검색어로 적절한 논문을 발견했냐는 것과 관련된다. 이와 같은 미시적 리터러시 행위와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리터러시를 강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assumes that academic writing is characterized by intertextuality and interdiscursivity, so what discourses would be used by writers to complete texts is important for academic writing. Above all, what key words are used by writers for searching for theses is supposed as academic literacy, in selecting discourses,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aspects of key words in introductions. To this end, it presented some titles of theses to foreign 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certain subjects and asked them to write outlines around introductions. Then it analyzed the discourse structures of introductions, the kind of key words used to select discourses and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 key words. The findings showed that foreign graduate students could not secure the academic literacy related with key words. This study, therefore, listed som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use of key words and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resolving such problems. What a kind of discours is inserted into a text is associated with how accurate key words were used to find proper theses. The academic literacy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s expected to be reinforced by actively implementing studies on such micro literacy acts.

      • KCI등재

        문화체험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쓰기 중심의 언어·문화 통합 교육을 지향하며

        민정호(Min J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문화체험활동을 활용해서 한국어로 진행되는 언어·문화 수업을 설계하는 연구이다. 이 수업은 문화체험활동이 끝난 후에 교실에서 진행되는 한국어 수업이기 때문에 언어를 중심으로 문화를 통합했다. 언어 기능은 표현의 효과성과 교실 상황의 특수성을 고려해서 ‘쓰기’를 중심으로 통합했다. 쓰기 내용은 유학생이 문화체험에서 알게 되고 느끼게 된 완전한 경험을 쓰도록 했다. 문화체험활동은 언어교육원의 전교생이 참여하기 때문에 한국어 수준별로 과제 내용, 텍스트 유형, 텍스트 성격 등을 나눴고, 이를 모형으로 제시했다. 전체적인 수업 구성은 과정 중심 교수법으로 설계했고, 언어교육원의 운영 상황을 고려했다. 또한 한국어 수준별로 실제 수업 운영 과정을 제시하고 각 수준별 수업의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설계된 수업은 한국문화 체험과 한국어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돕고, 유학생들의 통합적 한국어 능력 향상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 능력 향상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language-culture instruction performed in Korean using activity of culture experience. This instruction is a Korean one after activity of culture experience, therefore, the culture is integrated around language. The function is integrated focusing on writing based on the importance of writing and the difficulties that learners face in writing. The contents of writing was determined as something understood and felt by foreign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assumed, especially, that the instructional design by levels is required since all the students enrolled in Korean Language Course participate in the activity of culture experience. This means that the task, text type, and text characteristic are presented by the level of learners, which is a presented model. Since the writing is a key element, the overall organization of instruction followed the process-centered writing, and, considering practical aspects of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two hours was determined as the length of instruction. For the explor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the actual instruction process by levels was presented, and the variables that should be considered by teacher and the purpose of team-based activities were clearly stated. The designed instruction is expected to helpful in the excellent linkage of Korean culture experience and Korean language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Korean capacity of foreign students and their understandings of Korean culture.

      • KCI등재

        학술적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의 방향 탐색 : 대학원 유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강의와 활동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민정호(Min J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대학원 유학생은 학술적 글쓰기를 어려워하고, 대학원에서 학업 부적응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술적 리터러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대학원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서 실제 유학생이 많이 재학 중인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여기서 발견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재구성 원리를 도출하고 교육과정을 재구성해 보았다. 이 원리는 다음과 같다. 대학원의 선수 강의, 전공 강의, 학위논문 강의가 학술적 리터러시를 단계적으로 강화하도록 연결할 것, 학술적 글쓰기 강의는 글쓰기 전문가가 진행하고, 전공 필수 강의에서 반영된 학술적 과제는 학술 담화규약을 중심으로 평가와 피드백을 제공할 것, 마지막으로 학술대회에 참석을 적극 권장하고, 이때 한국인 동료와의 협업을 통해서 대학원 유학생이 학술 담화규약을 자연스럽게 학습하도록 할 것 등이다. 본 연구는 교육 기관에서 학습자의 특수성을 반영해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다는 패러다임에 근거해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했다. 이와 같은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통해서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리터러시가 향상되고, 학위논문의 완성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Foreign graduate students usually have difficulties in academic writing and hope that curriculum includes academic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resolve such a problem, this study tried to reconstruct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to reinforce the academic literacy . To this end, it critically analyzed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s in which many foreign graduate students are actually registered and reconstructed it to solve problems that were found in the analysis, by considering following characteristics: prerequisite, major and thesis subjects should be connected for them to reinforce academic literacy step by step; the lecture on academic writing should be implemented by writing specialists an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and give feedback to academic tasks reflected in necessary major subjects, around academic discourse convention; finally, it is desirable to actively encourage participation in symposium and allow foreign graduate students to naturally learn the academic discourse conven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Korean peers. This paper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based on a recent argument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can reconstruct it by reflecting on learners peculiarity. Foreign graduate students academic literacy is expected to be enhanced and their theses would be successfully finished, based on such curriculum.

      • KCI등재

        학술적 글쓰기에서 대학원 유학생의 과제표상 교육 방안 탐색

        민정호(Min J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본 연구는 ‘과제표상’ 교육이 학술적 텍스트의 질적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이론적 검토를 통해 확인하고, 대학원 유학생을 위한 ‘한 차시’ 과제표상 수업을 설계했다. 이때 대학원 유학생의 학술적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것, 과제표상의 특징과 과제표상 유형에 따른 텍스트 유형도 함께 설명할 것, 학술적 과제와 학술적 글쓰기의 특징을 설명할 것, 마지막으로 설명할 때 예상 독자를 학술 담화공동체의 구성원으로 고려할 것 등을 원리를 반영했다. 수업은 먼저 학술적 과제와 학술적 글쓰기를 가르친 후에 1단락 글쓰기를 하고, 대학원 유학생의 과제표상 교육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과제표상과 장르 인식에 대한 자기 피드백을 한 후에 텍스트를 최종 수정하게 한다. 이 수업은 대학원의 학술적 글쓰기와 학위논문 중심의 수업에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수업은 유학생의 학습자 특수성과 학습 요구를 고려했다는 점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을 지향한다. 이 수업이 대학원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서 대학원 유학생이 학술적 과제를 적절하게 해석하고, 텍스트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a task representation instruction, on the premise that a ‘task representation’ instruction positively influences qualitative improvement in academic text. But in view of learner specificity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design principles, such as identifying foreign students’ perceptions of academic writing, explaining text types in addition to task representation types, explaining characteristics of academic task and academic writing and considering the audience as members of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when lastly explaining were added. The first stage of instruction is to teach about academic task and academic writing. It is followed by single paragraph writing and a task representation instruction including checking task representation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is implemented. Lastly, students are asked to modify texts after self feedback. The instruction designed in this study is oriented towards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meeting learners’ needs for learning and giving consideration to learner specificity of foreign student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task representation instruction will help foreign graduate students interpret academic tasks properly and improving texts qualit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