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의 감호권에 대한 사법적 개입의 기원 - 영국법을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1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14 No.2

        Many scholars see pre-1839 English child custody law as consisting of near-absolute paternal rights. These historians believe that the weakening of fathers’ rights began with the 1839 Custody of Infants Act, which created certain maternal custody rights. Other historians have noted that paternal custody was qualified even before 1839 by the Court of Chancery's application of the doctrine of parens patriae. This paper tells a different story and argues that the origin of incursions into the so-called ‘empire of the father’ was the 1660 Tenures Abolition Act, a statute that ironically seemed designed to strengthen fathers’ rights. The Tenures Abolition Act granted fathers the right to appoint guardians to their children by will. According to Blackstone, the effect of the Act was to extend the father’s empire ‘even after his death.’ But by involving courts in child custody -even as enforcers of fathers’ rights- the Tenures Abolition Act created a tradition of judicial intervention that would eventually undermine those rights. This paper traces the development whereby court supervision of testamentary guardians led to court supervision of fathers themselves, transforming the ‘empire of the father’ into the empire of the judge. For the purpose of screening the history of English law, this paper focused three factors; prevailing views of the history of English Child Custody Law(Ⅱ), the source of judicial power-the regulation of testamentary guardians(Ⅲ), the regulation of fathers(Ⅳ). The notion of Parental Responsibility which was adopted in English Children Act 1989 led to spread the change of ‘parental right’throughout the Global Society rapidily. It’s about time, I think, we gave serious thought to revise the notion of ‘parental right' in the Korean Civil Law.

      • KCI등재

        부실표시에 대한 일반규정도입필요성에 대한 연구 - 일본민법개정에서의 시도를 계기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9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23 No.1

        부실표시라는 영미법상의 제도는 우리에게 있어 생소한 제도이다. 물론 개별법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규정이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에 대한 규율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우리법과 마찬가지의 규율형태를 취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에서 전체법을 개선함에 있어 부실표시를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종국적으로 이는 무위로 돌아갔지만, 그 속에서 보여진 문제를 우리법에도 투영해 봄으로써 우리법의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부실표시에 대한 일반규정을 우리법에 반드시 두어야 할 정도로 우리에게 규율의 공백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이러한 규정을 둘 수 있다면 현대에 있어 중대한 문제인 잘못된 진술로 인한 상황에 있어 통일적이고 일반적인 규율을 가능하게 되므로 이러한 시도는 충분히 실익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기규정을 확장하는 개정이 가장 타당한 방식임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통일적인 규율체계 속에서 사기 이외의 경우에도 계약의 무효화를 근거지울 수 있도록 하고, 불법행위제도를 통해 손해배상책임이 인정되게 된다. 더 나아가 민법 제109조를 둘러싼 기존의 착오제도에도 기여하는 바가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Misrepresentation in the common law jurisdiction is an unfamiliar system for us. Of course we can not say that there are no regulations related to this in our specific laws, but we do not have this as a general system. However, in the case of Japan, which adopts the same legal system as ours,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adopt Misrepresentation while revising Japanese Civil Code as a whole. Ultimately, it went back to the dead, but we can seek to improve our law by projecting the problems seen in this attempt into our law. As a result, we do not find a remarkable gap in our legal system, but this would be beneficial to introduce a general provision as to Misrepresentation because it would enable an unified and general regulation in situations that are a serious problem arising from wrong statements. 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revision that extends the existing fraud rules is the most reasonable method in this paper. This makes it possible to avoid the contract in a unified manner even in cases other than fraud, and recognize liability for damages through existing Tort system. Furthermore, it can be found that there would be a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surrounding the Article 109 of the Civil Code regulating Mist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