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음파와 전기장 처리에 의한 하수슬러지 탈수성 향상

        모우종(Woo Jong Mo),한지선(Ji Sun Han),안창민(Chang Min Ahn),윤순욱(Soon Uk Yoon),석희정(Hee Jung Seok),김창균(Chang Gyun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1

        슬러지 처분비용은 하수처리장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경제적 요소이다. 더욱이, 2013년부터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대부분의 슬러지가 육상 처리 되어야 하기 때문에 슬러지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와 전기장 처리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탈수성 향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슬러지는 pilot-scale의 전처리 장치로 초음파와 전기장 단독처리 그리고 초음파 및 전기장 병합처리 되었으며, 처리 후 lab-scale 필터프레스 장치로 탈수되었다. 실험한 초음파 에너지 밀도 범위는 225~1,200 kJ/L였고 전기장 처리장치는 4.5~24 kJ/L였다. 초음파 단독처리와 초음파 및 전기장 병합처리 된 슬러지의 탈수 cake 함수율은 에너지 밀도 1,200 kJ/L일 때, 처리하지 않은 슬러지보다 각각 10~12% 감소하였으며 이 때 슬러지 함수율은 65~66%였다. 초음파 및 전기장 병합처리가 초음파 단독처리보다 탈수된 슬러지 cake의 함수율을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전기장 단독처리의 경우 에너지 밀도가 낮아 함수율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The sludge disposal is a major economic factor in the sewage treatment facility operation. Moreover, since the ocean dumping will be prohibited by Korean environmental law from 2013, sludge should be eliminated or sludge volumetric reduction should be performed urgently. In this study, improvement of the sewage sludge dewaterability was investigated by ultrasound and electric field treatment. Sludge was treated by a single or in combination of either the electric field or ultrasound on a pilot pretreatment facility, then it was dewatered by lab-scale filter press. The operating input energy of ultrasound device was varied from 225~1,200 kJ/L and electric field device was varied from 4.5~24 kJ/L. The water contents of dewatered sludge cake treated with ultrasound (1,200 kJ/L) and combination of ultrasound/electric field (1,224 kJ/L) were decreased 10~12% by comparing non treated sludge. At that time, water contents were 65~66%.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ultrasound/electric field was effective to reduce water content of dewatered sludge cake, however, water content was not changed by a single treatment of electric field because of low energy density.

      • 거대기포 교반장치를 이용한 연속회분식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소비량 및 탈질성능에 관한 연구

        신정훈 ( Shin Jung-hun ),모우종 ( Mo Woo-jong ),김명찬 ( Kim Myeong-chan ),최한나 ( Choi Han-na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국내 대부분 하수처리시설의 생물반응조는 균일한 미생물의 분포를 위해 기계적인 교반을 사용하거나 산기관에 의한 과폭기를 통해 교반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임펠러를 이용한 기계적 교반은 유체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높은 소비동력이 발생하며 산기관에 의한 교반은 충분한 용존산소에도 과도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상당한 전력소비량이 발생한다. 거대기포 교반장치는 수중의 용존산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간헐적으로 거대기포를 방출하여 유체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시 공공하수처리시설 내 위치한 시설용량 225㎥/d(반응조부피 75m3)의 Pilot-scale 연속회분식반응조(SBR, Sequencing Batch Reactor)에 거대기포 교반장치를 반응조 하부에 2대 설치하여 진행하였다. 반응조 운전조건은 유입(45분)-폭기(120분)-무산소(20분)-침전(20분)-유출(35분), 교환율 50%, HRT 8시간이었고, 거대기포 교반장치의 운전조건은 운전압력 2bar, 가동횟수 2회/분으로 SBR 반응조의 유입과 무산소 공정에서 가동되었다. 거대기포 교반장치가 설치된 처리용량 225㎥/d의 Pilot-scale 연속회분식반응조를 운영한 결과, 탈질율은 62.3%로 용량계산서 상의 탈질율 61.6% 이상의 값을 보였고, 방류수 T-N 농도는 8.8mg/L로 T-N 처리효율은 70.1%로 나타났다. 또한 임펠러 형식의 기계식 교반기(2.2kW)를 사용했을 때 교반기 가동에 사용되는 일일전력소비량은 9.0 KWh이며, 거대기포 교반장치를 가동했을 때 실제 사용된 일일전력소비량은 3.0kWh로 거대기포 교반장치를 사용했을 때 전력소비량 절감 효과는 66%로 나타났다.

      • 거대기포 교반장치를 이용한 연속회분식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소비량 및 탈질성능에 관한 연구

        신정훈 ( Shin Jung-hun ),모우종 ( Mo Woo-jong ),김명찬 ( Kim Myeong-chan ),최한나 ( Choi Han-na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국내 대부분 하수처리시설의 생물반응조는 균일한 미생물의 분포를 위해 기계적인 교반을 사용하거나 산기관에 의한 과폭기를 통해 교반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임펠러를 이용한 기계적 교반은 유체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높은 소비동력이 발생하며 산기관에 의한 교반은 충분한 용존산소에도 과도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상당한 전력소비량이 발생한다. 거대기포 교반장치는 수중의 용존산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간헐적으로 거대기포를 방출하여 유체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S시 공공하수처리시설 내 위치한 시설용량 225㎥/d(반응조부피 75m3)의 Pilot-scale 연속회분식반응조(SBR, Sequencing Batch Reactor)에 거대기포 교반장치를 반응조 하부에 2대 설치하여 진행하였다. 반응조 운전조건은 유입(45분)-폭기(120분)-무산소(20분)-침전(20분)-유출(35분), 교환율 50%, HRT 8시간이었고, 거대기포 교반장치의 운전조건은 운전압력 2bar, 가동횟수 2회/분으로 SBR 반응조의 유입과 무산소 공정에서 가동되었다. 거대기포 교반장치가 설치된 처리용량 225㎥/d의 Pilot-scale 연속회분식반응조를 운영한 결과, 탈질율은 62.3%로 용량계산서 상의 탈질율 61.6% 이상의 값을 보였고, 방류수 T-N 농도는 8.8mg/L로 T-N 처리효율은 70.1%로 나타났다. 또한 임펠러 형식의 기계식 교반기(2.2kW)를 사용했을 때 교반기 가동에 사용되는 일일전력소비량은 9.0 KWh이며, 거대기포 교반장치를 가동했을 때 실제 사용된 일일전력소비량은 3.0kWh로 거대기포 교반장치를 사용했을 때 전력소비량 절감 효과는 66%로 나타났다.

      • KCI등재

        호기성 그래뉼 슬러지를 이용한 하수고도처리기술(AGS-SBR)

        최한나 ( Han Na Choi ),모우종 ( Woo Jong Mo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21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7 No.1

        Aerobic granular sludge (AGS) can be classified as a type of self-immobilized microbial aggregates measuring more than 0.2 mm. It offers the option to simultaneously remove COD, N, and P that occur in different zones inside a granule. Also, AGS is characterized by high precipitability, treatability with high organic loading, and high tolerance to low temperature. In this study, a sequencing batch reactor inoculated with AGS (AGS-SBR) is a new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that was proven to grow AGS with integrated nutrient removal and low C/N ratio. A pilot plant, AGS-SBR with a capacity of 225 m<sup>3</sup>/d was installed at an S sewage treatment plant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effluent indicated that the value of BOD5 was 1.5 mg/L, CODMn was 11.4 mg/L, SS was 6.2 mg/L, T-N was 13.2 mg/L, and T-P was 0.197 mg/L, and all of these values reliably satisfied an effluent standard (I Area). In winter, the T-N treatment efficiency at a lower temperature of less than 11℃ also showed reliability to meet the effluent standard of the I Area (20 mg/L or less).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in AGS showed a higher preponderance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involved in denitrification and phosphorus accumulation compared with activated sludge. The power consumption and sludge disposal cost were reduced by 34.7% and 54.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domestic SBR type sewage treatment plant with a processing capacity of 1,000 m<sup>3</sup>/d or less.

      • KCI등재

        메탄올탈수소효소 저해시 메탄산화에 의한 메탄올 전환생성 특성

        유연선(Yeon Sun Yoo),한지선(Ji Sun Han),안창민(Chang Min Ahn),민동희(Dong Hee Min),모우종(Woo Jong Mo),윤순욱(Soon Uk Yoon),이종규(Jong Gyu Lee),이종연(Jong Yeon Lee),김창균(Chang Gyun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9

        본 연구에서는 메탄의 생물학적 메탄올 전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바이오가스 중의 메탄은 메탄산화균의 methane monooxygenase (MMO)의 생물학적 촉매반응에 의해 산화되었으며, 인산염, NaCl, NH₄Cl, EDTA와 같은 methanol dehydrogenase(MDH)의 활성 저해제를 이용하여 MDH의 활성도를 저해함으로써 메탄올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메탄산화균은 35℃, pH 7, 인공 바이오가스(CH₄ 50%, CO₂ 50%) / Air의 부피비가 0.4인 조건에서 메탄 산화 정도가 0.56 mmol로 최대로 나타났다. 인산염40 mM, NaCl 50 mM, NH₄Cl 40 mM, EDTA 150 μm 이하일 때 저해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메탄 산화율은 80% 이상을 달성하였다. 한편, 인산염 40 mM, NaCl 100 mM, NH₄Cl 40 mM, EDTA 50 μm 주입 시 각각 1.30, 0.67, 0.74, 1.30 mmol의 메탄이 산화되는 동시에 각각 0.71, 0.60, 0.66, 0.66 mmol의 메탄올이 최대로 생성되었다. 이때의 메탄올 전환율은 각각 54.7, 89.9, 89.6 및 47.8%였으며 최대 메탄올 생성 속도는 7.4 μmol/mg·h였다. 이로부터 대상 저해제로 MDH 활성도를 일반적으로 35% 저해 시에메탄올 생산량이 최대인 89.9%까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iologically convert methane into methanol. Methane contained in biogas was bio-catalytically oxidized by methane monooxygenase (MMO) of methanotrophs, while methanol conversion was observed by inhibiting methanol dehydrogenase (MDH) using MDH activity inhibitors such as phosphate, NaCl, NH₄Cl, and EDTA. The degree of methane oxidation by methanotrophs was the most highly accomplished as 0.56 mmol for the condition at 35℃ and pH 7 under 0.4 (v/v%) of biogas (CH₄ 50%, CO₂ 50%) / Air ratio. By the inhibition of 40 mM of phosphate, 50 mM of NaCl, 40 mM of NH₄Cl and 150 μm of EDTA, methane oxidation rate could achieve more than 80% regardless of type of inhibitors. In the meantime, addition of 40 mM of phosphate, 100 mM of NaCl, 40 mM of NH₄Cl and 50 μm of EDTA each led to generating the highest amount of methanol, i.e, 0.71, 0.60, 0.66, and 0.66 mmol when 1.3, 0.67, 0.74, and 1.3 mmol of methane was each concurrently consumed. At that time, methanol conversion rate was 54.7, 89.9, 89.6, and 47.8% respectively, and maximum methanol production rate was 7.4 μmol/mg·h. From this, it was decided that the methanol production could be maximized as 89.9% when MDH activity was specifically inhibited into the typical level of 35% for the inhibitor of conc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