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도화된 돌봄노동자의 역할 구성과 직업지위

        류임량(Ryu, Im-lyang) 한국여성연구소 2017 페미니즘 연구 Vol.17 No.2

        최근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노인돌봄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2008년에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었고 돌봄을 담당할 요양보호사라는 새로운 직업이 창출되었다. 이 글은 재가 요양보호사의 사례를 통해서 제도화된 돌봄직업이 어떤 역할과 직업지위를 부여받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정부는 요양보호사를 노인돌봄 전문인력으로서 상정하고 있지만 그에 적절한 역할이나 지위를 제공하고 있지 않았다.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을 언급하면서도 동시에 ‘효나누미’라는 모순적인 정체성을 부여하여 요양보호사의 돌봄기술과 능력을 비가시화하고 있다. 요양보호사를 중고령 여성을 위한 일자리 창출로 접근했고, 일자리의 질보다는 규모에 집중하면서 젠더화된 저임금 저숙련 일자리로 고착시키고 있다. 그리고 요양보호사에게 광범위한 업무와 역할을 부과했지만 이를 조정할 수 있는 지위를 보장하지 않으면서 직업지위를 정립하는데 어려움을 만들어냈다. 이런 제도적 지원의 미비로 인해 재가 요양보호사들은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 및 그 가족의 욕구와, 그들과의 관계에 따라서 활용가능한 인력자원, 유사가족, 여성 노인의 모성 역할 대리자 등 다중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이용자나 가족들은 요양보호사를 가사노동자의 또 다른 형태로 인식하고 있었고, 돌봄 기술이나 능력을 제대로 인정하지 않았다. 요양보호사의 노동에 대한 인정은 개별화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재가 요양보호사의 직업지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돌봄전문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고 이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제도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role and occupational status of in-home long-term care workers.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2008, and created a new care job called ‘yoyangbohosa’. The government defines these long-term care workers as a group of experts. At the same time, long-term care workers are thought of as carrying out the filial duty of the family instead of them, assigning a paradoxical identity to the profession. The government focused only on the number of the jobs they created, not the quality of the jobs. Therefore, long-term care jobs have remained low-income, low-skilled, and gendered.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in-home long-term care workers are considered not only as their fictive kin but also as their maids or assistants. Sometimes, care workers substitute for the role of female recipients as mothers. Care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underestimate the care workers’ value and they do not appreciate the workers’ skillful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nt the care workers authorities as an expert and support them in developing their skills.

      • KCI등재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전이(work-to-family spillover)에 대한 연령계층별 차이 연구

        류임량(Ryu Im-Lyang) 한국여성연구소 2009 페미니즘 연구 Vol.9 No.2

        이 논문은 기혼 취업 여성의 일-가족 전이(work-to-family spillover)가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일이 가족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인 전이와 부정적인 전이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여성들의 차이에 주목하여 세대별로 일-가족 전이의 정도를 밝히고 그 원인을 살펴보았다. 여성가족패널조사(2007)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취업여성 2,539명을 34세 이하, 35-44세, 45세 이상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이 가족에 미치는 긍정적인 전이가 부정적인 전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어릴수록 일이 가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부정적인 전이가 가장 높은 집단은 35-44세로 이 집단이 일-가족 양립의 문제와 관련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가족 긍정적인 전이의 결정 요인은 일 만족도, 결혼만족도, 자녀수, 본인의 가사노동시간,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노동시간이었으며, 부정적인 전이의 결정 요인은 노동시간, 일 만족도, 미취학아동 유무, 학력이었다. 노동조건과 관련되는 변수들이 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결혼만족도와 같은 가족 요인들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이 가족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가족 전이의 결정요인은 연령계층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work-to-family spillover among working mother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in 2007, this study explores both of the positive spillover and negative spillover from work to family. Also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working mothers according to age groups. The age groups are divided into under 35, 35-44, and over 45. The results show that positive spillover is bigger than negative spillover and the younger mothers perceive more positive spillover. On the other hand, the age group 35-44 is the group which recognizes negative spillover most. It indicates that this group experiences more difficulties managing paid work and family reconciliat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The determinants of positive spillover are work satisfaction, marriage satisfaction, the number of child, hours on chores both of wife and husband, work hours. Work- related variabl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but family variables such as marriage satisfaction also have significant effects. For negative spillover, significant factors are work hours, work satisfaction, having preschool child, education. The determinants of spillover are different among age groups.

      • KCI등재후보

        여성단체의 일-가족 양립 제도화를 위한 활동과 특성

        김경희(Kim Kyung-Hee),류임량(Ryu Im-Lyang) 한국여성연구소 2008 페미니즘 연구 Vol.8 No.2

        이 논문은 일-가족 양립의 제도화를 위한 여성단체의 활동을 분석하고 특성을 파악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1980년대 이후 여성단체들은 여성의 평생평등노동권을 전면에 내세우고 남녀 모두가 일과 가족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를 요구해 왔다.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 우리나라 여성단체가 취업여성의 일-가족간의 갈등을 줄이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문제제기하고 이슈화시켰으며 그러한 여성단체의 활동이 일-가족 영역관계를 변화시키는데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 1980년대 이후의 활동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단체의 일-가족 양립을 위한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몇 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가족 양립지원의 범위는 자녀 양육 지원뿐 아니라 가족 구성원의 보살핌과 요구, 다양한 고용형태까지 포괄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여성단체는 산전후 휴가제와 모성비용의 사회분담화 요구, 육아휴직제, 보육지원의 제도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가족구성원의 보살펌 및 고용형태의 변화에 대한 활동으로 확대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단체의 일-가족 양립 활동은 가사와 육아로 인한 여성의 취업 단절을 줄이고 여성의 평생평동노동권을 확보하기 위한 운동의 하나로 가사와 육아를 여성에게 전담시키는 성별분업에 기초한 성별화된 사회구조를 변화시키는 시도였다. 셋째, 여성단체의 이와 같은 활동은 모성보호비용과 보육의 사회분담화를 현실화하기 위함 것으로 탈가족화를 함의하고 있으며 일-가족 양립 문제를 전체 사회의 문제로 확장시켰다 넷째, 일-가족 양립의 제도화를 위한 여성단체의 활동은 시장노동과 돌봄노동의 상반된 요구를 조정하연서 궁극적으로는 성별분업에 기초한 젠더관계의 재구조화를 지향하는 것이었지만 일-가족 양립 제도화 과정에서 남성을 포섭하는 제도적 요구를 활성화하지 못하여 일-가족 분리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남성중심적인 일터를 가정하는 측면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실질적인 젠더관계의 재구조화의 실현으로 이어지지 못한 한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women organizations's activities for institutionalization of work and family articulation and to search for features of women organizations’s activities. Since 19805, womens organizations put women's lifelong right to work at the front and claimed for the institution which made both women and men combine work and family. This research is mainly for analyzing how Korean women organizations made an issue of working mothers' conflicts between work and family and how this acts changed work and family relation last 20 years. Here some points should be noted. First, the definition of support for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are not included only childcare support but a lot of institutions for care and needs of diverse family members and working patterns. However, the institutions which Korean women's organizations called for were restricted to maternity protection, public spending of maternity leave expenses, parental leave and family leave, institutionalization of child care. Second, women organizations' acts for work and family balance were one of movement which made women keep working and support for women's right to work. This movement was an attempt to change the gendered social system which based on gender segregation. Third, women's movements were asking for sharing the expense of maternity leave and childcare which led to defamilization. Forth, women's organizations pursued gender reconstruction but their acts were not enough to change in existing male roles so that practical gender reconstruction didn't accomplished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