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DIS 광합성유효복사흡수율과 WRF 기상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의 총일차 생산성 추정

        도나영 ( Na Young Do ),강신규 ( Sin Kyu Kang ),명수정 ( Soo Jeong Myeong ),천태훈 ( Tae Hun Chun ),이지혜 ( Ji Hye Lee ),이종범 ( Chong Bum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8 No.2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MODIS GPP 자료는 육상식생의 총일차생산성(GPP) 모니터링에 중요한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GPP 추정의 입력자료로 사용하는 DAO기상자료의 거친 공간해상도(1.25°×1°)와 FPAR 자료의 구름영향에 의한 신뢰도 저하 등은 지역 수준의 GPP 모니터링에 문제를 야기한다. 이연구에서는 북한지역을 대상으로 FPAR의 구름영향 제거하고 고해상도(3 km×3 km) WRF 기상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입력자료의 문제를 개선한 GPP를 추정한 후, 2000-2008년 간의 GPP 연간 변동특성 및 지역적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개선한 GPP는 2000년의 645gC m-2 y-1에서 2008년의 863 gC m-2 y-1까지 변화하였고, 혼효림지역이 1,076gC m-2 y-1으로 가장 큰 값을 보였다. NASA GPP (790gC m-2 y-1)에 비해 FPAR 개선 후 GPP가 증가하였고(861), WRF 자료 이용 시 감소(710), FPAR와 WRF 자료 이용 시다소 증가(809)하는 양상을 보였다. 개선효과는 북한에서 제일 큰 면적을 차지한 혼효림에서 가장 뚜렷하였다(+10.2%). 한편 WRF 기상자료가 DAO에 비해 지형적 영향을 보다 잘 반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개선한 GPP의 공간이질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피복유형별 연간변동성을 분석한 결과 개선한 GPP는 NASA GPP와 상이한 연간변화를 보였다. 위 결과들을 종합하면, 북한 등의 지역수준의 GPP 모니터링을 목적으로할 경우, 입력자료의 개선에 의한 MODIS GPP를 재산출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NASA MODIS GPP provides a useful tool to monitor global terrestrial vegetation productivity. Two major problems of NASA GPP in regional applications are coarse spatial resolution (1.25˚×1˚) of DAO meteorological data and cloud contamination of MODIS FPAR product. In this study, we improved the NASA GPP by using enhanced input data of high spatial resolution (3 km×3km) WRF meteorological data and cloud-corrected FPAR over the North Korea. The improved GPP was utiliz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GPP interannual variation and spatial patterns from 2000 to 2008. The GPP varied from 645 to 863 gC m-2 y-1 in 2000 and 2008, respectively. Mixed forest showed the highest GPP (1,076gC m-2 y-1). Compared to NASA GPP (790gC m-2 y-1), FPAR enhancement increased GPP (861) but utilization of WRF data decreased GPP (710). Enhancements of both FPAR and meteorological input resulted in GPP increase (809) and the improvement was the greatest for mixed forest regions (+10.2%). The improved GPP showed better spatial heterogeneity reflecting local topography due to high resolution WRF data. It is remarkable that the improved and NASA GPPs showed distinctly different interannual variations with each other. Our study indicates improvement of NASA GPP by enhancing input variables is necessary to monitor region-scale terrestrial vegetation productivity.

      • KCI등재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s of Lake Surface Area of Orog Lake in Gobi, Mongolia During 2000-2010

        양희재,이은혜,도나영,고동욱,강신규 대한원격탐사학회 201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8 No.3

        Terminal lak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arid and semi-arid Gobi of Mongolia, and serves as important water resource for local people and livestock. However, such lakes are subject to great fluctuations in its size depending on climatic conditions and human water utilization. The Orog Lake is one such example that has shown remarkable fluctuation in recent yea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emporal changes of Orog Lake surface area by using 16-day MODIS 250 m NDVI products from 2000 to 2010.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limate variability represented by monthly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Our results show that the Orog Lake gradually shrank for the period from 2000 to 2010, but with a significant range of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The lake area showed considerable seasonal variations, as it expanded in spring and fall, primarily due to snow melt and summer precipitation, respectively. Extreme drought period from 2000 to 2002 triggered the substantial reduction in lake area, leading to dry-up in year 2005, 2006, 2007, and 2009. After dry-up once occurred in 2005, the lake repeated reappearance and disappearance depending on seasonal and annual precipitation. Our findings implicate that the ground water fluctuated around the lake bottom level since 2005. This suggests the highly vulnerable nature of Orog lake, which greatly depends on future precipitation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