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깻잎과 참깻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비교분석

        곽영은 ( Young Eun Kwak ),기서하 ( Seo Ha Ki ),노은경 ( Eun Kyoung Noh ),신하늘 ( Ha Neul Shin ),한영주 ( Young Ju Han ),이유나 ( Yu Na Lee ),주지형 ( Jih Yeung Ju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3

        들깻잎은 독특한 향미가 있어 다양한 형태로 빈번히 식용되고 있는 반면 참깻잎은 특별한 향미가 없어 그 기호성이 낮아 거의 식용되지 않는 폐자원이다. 들깻잎의 경우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참깻잎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식품으로 이용되는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그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들깻잎과 참깻잎의 항산화 성분함량 및 활성을 비교하여, 참깻잎의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식물성 식품에 널리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들깻잎과 참깻잎 추출물에서 측정한 결과, 참깻잎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들깻잎의 함량의 약 1.5-1.6배 수준이었으며(p<0.05), 참깻잎의 ABTS radical 및 DPPH radical 소거활성 또한 들깻잎 활성의 약 1.7-2배 수준이었다(p<0.01). 또한 참깻잎은 들깻잎보다 대장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참깻잎의 항암성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성 및 관련 작용기전을 규명하고, 나아가 참깻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참깻잎의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 등과 같은 참깻잎의 식품학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앞으로 종합적으로 수행된다면, 이제까지 폐자원으로 여겨졌던 참깻잎의 새로운 자원화를 통한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on) and sesame (Seasamum indicum L.) leaf extracts. The total polyphenol levels of sesame leaf (634.7 ± 1.2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 dried leaf) were higher than those of perilla leaf (408.7 ± 4.6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 dried leaf; p<0.001). The total flavonoid levels of sesame leaf (166.7 ± 17.3 mg quercetin equivalent/100 g dried leaf)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perilla leaf (108.2 ± 3.7 mg quercetin equivalent/100 g dried leaf; p<0.05). ABTS radical- an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sesame leaf extracts (78.9% and 18.2%,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perilla leaf extracts (46.0% and 9.0%, respectively; p<0.01). Both perilla and sesame leaf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growth of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However,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sesame leaf extracts were more pronounced than those of perilla leaf extracts (p<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same leaf extracts have higher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than perilla leaf extracts. More studies are needed in order to enhance the sensory value of sesame leaf and to develop sesame leaf as health/functional food ingred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