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참여 및 참여권에 대한 고찰

        나원정(Na, Won Jeong),장민영(Jang, Min Young),이승연(Lee, Seung Yeo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참여’와 ‘참여권’을 주제로 한 국내 및 국외 문헌들을 바탕으로 유아의 참여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아가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에 대해 의견을 표현하고 존중받도록 하는 참여는 유아의 권리를 증진하는 방안이 될 뿐만 아니라 유아의 발달과 역량을 강화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토대를 제공하기 때문에 유아교육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참여 및 참여권은 가장 보장되지 않고 있는 권리이므로, 유아의 참여를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보다 공고한 이론적 토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유아의 참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은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졌다. 첫째, 역사적 맥락과 개념의 측면에서 보면, 유아의 참여에 대한 관점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수동적인 소비자로서의 참여로부터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주체로서의 참여, 더 나아가 유능한 민주시민으로서 행사하는 실질적인 참여로 변화되어왔다. 둘째, 참여의 조건으로는 결과에 대한 영향, 의사결정 과정, 동등한 권한과 책임이 포함되어야 하며, 유아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요소로는 성인의 지원과 도움, 일상적이고 지역적인 이슈가 필요하다. 셋째, 참여의 단계 혹은 과정의 측면에서는 유아중심의, 유아주도적인 참여와 성인의 지원이 가장 높은 단계이나, 유아의 연령과 발달 정도, 상황이나 맥락을 고려한 접근이 요구된다. 넷째, 유아의 참여가 실제로 의미있게 이루어졌는지 평가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참여가 유아 개인, 유아와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 집단 및 사회에 대해 미친 영향이나 이로 인한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유아의 능동적이고 실질적인 참여 및 참여권을 증진시키고 보장해주기 위해서는 앞으로 유아교사뿐아니라 유아와 관련된 모든 성인의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theoretically based on the literature on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and their rights to participate. Participation is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ecause it is not only a way of promoting young children’s rights but also strengthens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capabilitie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becoming democratic citizens. Thus, it is right time to have a solid theoretical base to promote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actices. Four key categories were found in this review. First, from a historical context, perspectives on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have changed with time: from participating as a passive consumer to participating as a subject who can exercise his/her rights, and further to participating as a competent social actor in a democratic society. Second, to be considered as participation, having an influence on the results, taking par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sharing equal power and responsibility with adults should be included; adults’ support and help and everyday and local issues are necessary as requisites to promote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Third, in terms of the stages or processes of participation, child-centered/child-initiated participation and adults’ support form the highest level; yet, circumstances and contexts as well as young children’s ages and developme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urth, to evaluate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fairly,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changes and effects of the participation on the child him/herself, on the peoples who are in relationships with the child, and on the groups and society. To ensure and promote young children’s active and substantive participation and their rights to participate, further efforts by all people related to the child as well as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crucial.

      • KCI등재

        유아교사-어머니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상호인식

        김순환(Kim Soon Hwan),김하진(Kim Ha Jin),나원정(Na Won Jeo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어머니 관계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어머니 유형별 어려움(발생빈도 인식, 스트 레스 정도)과 어려움의 차이를 교사변인과 부모변인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 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영유아를 담당하는 교사 32명과 이들 교사의 학급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 머니 61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용,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는 극성형 어머니유형에 대해 어머니는 방임형 교사유형에 대해 어려움을 빈번하게 인식하였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꼈다. 변인별로 첫째, 교사 변인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을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 경력이 2년 이 상 5년 미만과 10년 이상의 교사 집단이 보다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측면에서는 보육교사 양성원을 졸업한 교사가 전문대학 및 대학교 이상을 졸업한 교사보다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연령이나 결혼여부는 교사의 발생빈도인식과 스트레 스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어려움을 알아본 결 과,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교육기관 경험이 세 군데 이상일수록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 났다.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은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어머니가 직업이 있는 경우 교사와의 관 계에서 어려움을 보다 자주,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상호어려움에 있어서는 유아교사가 어머니보다 어려움을 보다 빈번하게 인식하였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꼈다. 교사와 어머니의 관계에 나타난 어려움의 경우, 특정 교사 및 어머니 유형별 교사-어머니 관계에서 어려움을 더 빈번하게 또는 스트레스를 더 많이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iculties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mothers face in a dyad relationship, the difference in their mutual perceptions and details concerning the problems. In this regard we looked into the mutual difficultie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mothers engaged in a dyad relationship with diverse personal variables. The respondents were 61 mother-early childhood educator pairs from two kindergartens and one day-care center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Thirty two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and to solicit two mothers in their classes, the first two in alphabetic orders of children per class, to participat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parate questionnaires for each group. The research was measur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about Parents(QTP) by Prakke, Peet, & Wolf(2007)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difficulties Dut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ce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interpreted then modified to fit the actual circumstances of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term ‘parents’ was modified to ‘mothers’. Then we newly developed a questionnaire for mothers based on the modified Korean QT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arly childhood educator variables, day-care center teachers felt greater difficulty facing mothers compared with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felt more difficulties than those who had less than two years of work experience. Those who studied at Caregiver Training Centers felt more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than those who studied at Colleges or Universities. However, the teacher's age or marital status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Second, in terms of mother variables, when the age of the child was younger, and when the child has experienced more than three institutes, the mother felt mor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Mother's age or academic background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but working mothers felt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more often and more strongly than stay at home mothers. Third, in terms of mutual difficulties,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felt difficulties more often and more strongly than the moth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difficulties that mothers and teachers perceive in their relationship generally. As for teachers they did not only perceive difficulties with mothers in general, but also felt the difficulties accordingly with types of problematic mother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s we found that teachers felt much more difficulties than mothers, methods to resolve the teachers’ problems should come first to improve and support the relationship. And as we found that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felt more difficulties, support towards novice teachers should not stop, and persistently be given even to teachers who have career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