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연구 -글로벌 미술담론의 변화와 한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유재길 ( Jae Kil Yoo ),김택용 ( Taek Yong K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오늘날 비엔날레는 동시대 미술의 현 지점을 보여주며, 과거 담론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국제미술의 현장으로서 비엔날레는 새로운 장르와 양식, 시의적 담론들과 이슈, 전 세계 작가들의 국가적, 민족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베니스비엔날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양한 담론을 바탕으로 다면적 코드를 전시개념에 수용하고 새로운 이념들을 전시개념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관객과 예술의 새로운 관계성의 전시를 보여줌으로써 비엔날레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특별전이 보여준 전시개념과 구조의 획기적인 변화와는 달리, 여전히 문화패권주의적 성향을 보여주는 국가관의 전시경향과 서구사상의 미적지식을 바탕으로 한 큐레이팅 방식은 서구적 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점으로 지적되곤 한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글로벌리즘의 문화 정치적 도구로서의 비엔날레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관이 개관된 1995년 장 클레르(Jean Clair)의 45회 비엔날레부터 최근 번바움의 53회 전시를 통해 한국관이 동시대 미술에 어떠한 방식으로 개입하고 미술의 맥락을 생산하고 있는지 주목하였다. 한국현대미술이 어떻게 동시대 미술현장에 개입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선 우선 베니스비엔날레 그 이면에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지층들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베니스비엔날레에 대한 거시적 조망을 통해 글로벌 미술담론과 한국관의 상호관계를 살피는 과정과 같다. The current Biennale shows a present point of the contemporary arts and also it is seeking alternative for the past discourse. As a field of international arts, Biennale is in charge of the national arena of competition among the artists all over the world for the new genre and style as well as timely discourse and issues. At the beginning of the 1990s, Biennale accepted a many-sided subject and reflected new concepts into the exhibition based on a various discourse of postmodernism. Also, Biennale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as it showed the exhibition of the new relationship with audience in arts. On the contrary to the innovative change on special exhibit, Biennale is still pointed out its limitations. Since it still has problems with the exhibition of an outlook on the nation reflecting on the cultural supremacy and the way of curating based on the aesthetic knowledge of the Western thought. In this respect, we need to look into the Biennale with new aspect as cultural and political tool in today`s global era. In this research, we paid significant attention to Korean Pavilion about how it involved in the contemporary fine arts and produced the art context from the first opening of the Korean pavilion on 45th Exhibition (by Jean Clair, 1995) to the 53rd Exhibition (by Daniel Birnbaum, 2009). First, we need to examine the diversity of aspects that lie behind the Biennale in order to how Korean arts could be involved in the contemporary fine arts. Accordingly, herein we rep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avilion and global arts discourse through the macro view of the Venice Bienna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