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먹거리 운동 조직과 농민 생활의 변화

        김태완(Tae Wahn Kim),김철규(Chul Kyoo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6 農村社會 Vol.26 No.1

        이 연구는 지역먹거리 운동의 조직화라고 할 수 있는 로컬푸드 직매장이 참여 지역농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 지역먹거리조직의 성공 사례로 많이 거론되고 있는 완주로컬푸드협동조합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역먹거리에 관한 기존의 논의는 주로 사업의 성공 여부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하지만 지역먹거리는 먹거리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농민의 삶과 지역 사회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 역시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역먹거리 직매장이 참여 지역농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분석방법은 참여 농민의 삶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 심층면접을 채택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면접 대상은 완주로컬푸드협동조합 조합원 44명이다. 연구 결과, 지역농민의 생산물을 판매로 이어주는 완주로컬푸드협동조합은 소규모 고령 농민들의 삶에 여러 가지 변화를 초래했다. 예컨대 소량판매를 가능하게 하였고, 심리적 자존감을 높였으며, 소득의 증가에도 도움을 주었다. 또한 지역 사회에서의 관계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는데, 상호작용이 증가했고, 소비자들에 대한 민감성 역시 높아졌다. 결과적으로 지역먹거리 사업은 고령의 소농들에게 경제적·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먹거리 사업으로 인해 귀농자와 전업농민이 증가하면서, 농촌사회의 유지에도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attempt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local food and its effects on local community through small farmers’ life experiences. Many scholars in the field have argued that local food provides safe food to consumers, enhances social relationship between farmers and consumers, and vitalizes local economy. However,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researches on the effect of local food to farmers and rural community. We attempt to fill this gap by carrying out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ting farmers of Wanju local food coop. Wanju local food co-op provides easily accessible distribution channel for small (and often elderly) farmers to sell small amount of farm products in small packages. Our research found that small farmers, especially old-aged ones, were able to earn cash through local food shops. Such economic gains were important for small farmers’ household economy as well as for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nhanced their pride as farmers. This article is one of few empirical researches on how local food affects small farmers and more researches are needed in order to attain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local food.

      • KCI등재

        농어촌 지역의 저밀도 특성을 고려한 의료시설 접근성 측정방법 연구

        김태완(Kim, Tae Wahn) 한국농촌사회학회 2021 農村社會 Vol.31 No.2

        본 연구는 농어촌 지역의 저밀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의료시설 접근성 측정방법을 제안하고, 농어촌과 도시 지역의 접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접근성 측정 시 고려해야 할 농어촌 지역의 특징 세 가지를 검토하고 방법론에 적용하였다. 첫째, 생활권 내 의료시설이 없을 가능성도 적지 않은 농어촌 지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넓은 접근성 범위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농어촌 지역의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실제 이동 경로가 간단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접근성에 이동과정을 고려하여야 한다. 셋째, 도시와 농어촌을 함께 비교할 때 인구 밀도 등 도시와 현저하게 다른 농어촌의 특성으로 인해 접근성 측정 결과의 해석이 편향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점들을 접근성 측정 방법에 반영하여 공간분석(GIS) 방법으로 거주지에서 의료시설까지 최단 경로 거리를 측정할 때 공간 기준을 적용하여 농어촌의 특성이 고려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통해 접근성 측정 시, 지역은 상위 행정구역인 군·도농복합시·일반시·특광역시 그리고 하위 행정구역인 읍·면·동을 교차하여 구분하였으며 의료시설은 등급과 진료과목으로 나누었다. 분석 결과, 지역에 따라 의료시설 접근성 범위가 상당히 넓게 분포하며 도시 지역과 농어촌 지역의 접근성이 상당히 큰 차이를 보였다. 1차 의료시설보다 2차 의료시설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전문진료과목이 있는 의료시설은 일반의 진료시설과 다른 접근성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도시 지역과 구분되는 농어촌 지역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접근성 측정 방법론을 제안하고, 상위 행정구역과 교차하여 읍·면·동 지역의 접근성을 분석하여 지리적 특징을 좀더 면밀히 밝혔다는데 있다. 연구결과가 향후 농어촌 지역의 특징을 반영하여 의료시설 접근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for measuring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that can reflect the low density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nd compared the accessibility of rural and urban areas. Thre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to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accessibility were reviewed and applied to the methodology. First,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flect a wide range of accessibility to reflect the low density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which are likely to have no medical facilities in residential living areas. Second, the actual movement path may not be simple due to the topography of rural areas, so the movement path should be considered for accessibility. Third, when comparing urban and rural areas together, the interpretation of accessibility measurement results should not be bias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tha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urban areas such as population density. As an accessibility measurement method, when measuring the shortest path distance from a residence to medical facilities through the GIS analysis method, the possibility of misinterpreted analysis results was minimized,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popul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When measuring accessibility through the proposed method, the region was divided into the district crossing the upper administrative districts, Gun, Provincial-Agricultural Complex, General City, and Special Metropolitan City, and the lower administrative districts, Eup, Myeon, and Dong. And medical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classes and depart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ange of accessibility to medical facilities was distributed quite widely depending on the d, and the accessibility of urban and rural areas differed considerably. There was a greater difference in secondary medical facilities than in primary medical facilities, and medical facilities with specialized medical subjects showed different accessibility trends from general medical facil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ccessibility measurement methodology th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separated from urban areas, and to more closely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by analyzing the accessibility of eup, myeon, and dong areas crossing the upper administrative districts.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result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access to medical facilities in rural area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