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스프린트 사이클링 경주력의 예측을 위한 현장 기반의 측정 변인에 관한 연구

        성봉주(SungBong-Ju),김정훈(KimJung-Hoon)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3

        이 연구는 단거리 사이클 선수 16명에게 현장에서 간편하게 측정이 가능한 수직점프, 웨이트 트레이닝 종목의 1RM 그리고 10sec, 30sec, 60sec 페달링 기능을 측정하여, 사이클 스프린트 경주력의 지표인 200m, 500m, 및 1km 독주 기록과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현장 기반의 측정변인은 페달링 동작에 필요한 주동근의 동원 여부를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그 결과 하지근력의 간접적인 지표인 수직점프의 높이는 3가지 사이클 기록과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못하였으나, 웨이트트레이닝 종목 중에서 Leg Curl 1RM이 1km 독주 기록과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R<sup>2</sup>=-.536, p<.05). 또한 30sec 최대페달링파워는 1km 독주 기록과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으며(R<sup>2</sup>=-.510, p<.05), 30sec 최대페달링회전수는 200m, 500m, 및 1km 독주 기록과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R<sup>2</sup>=-.532, p<.05; R<sup>2</sup>=-.548, p<.05; R<sup>2</sup>=-.766, p<.01). Leg Curl 1RM이 1km 독주 기록과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결과에 근거한다면, 피험자의 경기력 수준에서 Downstroke 페달링을 위한 근기능이 갖춰진 상태에서는 추가적으로 Upstroke 페달링을 위한 당기는 근육의 근력이 중요하며, 기록과 페달링 기능관련 변인과의 상관관계에 기초한다면, 스프린트 경주력을 위하여 30sec 동안 발현되는 최대페달링파워 및 최대페달링회전수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뜻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rrelate 16 cyclists’ vertical jump height(VJH), 1RM of weight training for prime movers and peak pedaling power (PPP) and peak pedaling cadence (PPC) for 10sec, 30sec and 60sec with time trials of 200m, 500m and 1km. As a result, VJH as an indirect index of lower limb’s muscular strength was not associated with any time trails. However, leg curl 1RM was correlated with 1km time trial(R<sup>2</sup>=-.536, p<.05), and 30sec PPP and 30sec PPC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1km (R<sup>2</sup>=-.510, p<.05) and 200m, 500m and 1km time trials, respectively (R<sup>2</sup>=-.532, p<.05; R<sup>2</sup>=-.548, p<.05; (R<sup>2</sup>=-.766, p<.01). Taken together,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Leg Curl and 1km time trial, all the subjects recruited in this study have basic muscular strength for downstroke pedaling, but muscular function for upstroke pedaling is additionally needed. In addition, based on correlation between time trial and pedaling power related variables, PPP and PPC for 30-sec pedaling trial are essential for sprint performance among competitive cyclists.

      • KCI우수등재

        인라인 롤러 스피드 스케이팅의 경주력 향상 요인에 관한 연구

        박현주(ParkHyun-ju),김정훈(KimJung-ho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2

        본 연구는 인라인 롤러 스피드 스케이팅의 경주력 향상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등부 상급생 및 일반부 남자 선수 7명을 대상으로 실험실 내에서 신체조성, 등속성 근기능 및 무산소성 페달링파워를 그리고 트랙 현장에서는 1,000-m 기록을 측정한 후 변인간의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등속성 장비로 확인한 허리관절 및 슬관절의 신근력 및 굴근력의 Peak Torque(PT) 그리고 윈게이트 테스트의 최대페달링파워 및 평균페달링파워 등은 1,000-m 기록과의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못하였다. 반면에 좌우측 슬관절의 굴근력 차이를 뜻하는 Deficit of Flexion(DFlex) 그리고 윈게이트 테스트의 파워 지구력의 간접 지표인 최소페달링파워(RMPP) 및 피로지수를 의미하는 Power Drop(PD) 등이 1,000-m 기록과 유의성이 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됐다.(r=.831, r=-.781, r=.826, p<.05). 그러므로, 허리관절 및 슬관절의 신근력 및 굴근력의 최대치 그리고 무산소성 기능의 최대페달링파워 보다는 오히려 좌우의 슬관절 굴근력이 차이가 없을수록, 최소페달링파워가 높을수록, 페달링파워의 피로지수가 낮을수록, 1,000-m 경주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적용된 중거리 성격이 강한 1,000-m 경주력은 최대근력 또는 최대페달링파워보다는 근력의 좌우밸런스 유지능력과 파워지구력과 같은 지속주행에 필요한 체력 요인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ortant variables with the highest capability to predict performance of inline roller speed skating at the elite level of high school and semi-professional team skaters. Seven men (age 19.88±1.21yrs) were recruited and assessed for body composition,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of hip and knee joint and anaerobic pedaling power conducted in our laboratory. Upon the completion of the testing, on-track skat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during 1,000-m time trial with standing star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determine relationships between laboratory testing variables and on-track performance. As a result, 1,000-m record were moderately correlated to deficit of flexion (DFlex)(r=.831, p=.020) as an indicative of muscular strength balance in knee joint, relative value of minimal pedaling power (RMPP)(r=-.781, p=.038) and power drop (PD)(r=.826, p=.022) as an index of anaerobic power endurance. Therefore, the less the strength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knee flexor, the greater the minimal pedaling power and the less the fatigue level in pedaling power, the better the 1,000-m time trial.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to develop targeted and effective strength and conditioning programs that will improve on-track inline skating performance, especially middle and long distance events.

      • KCI우수등재

        유소년 야구선수를 위한 일반준비기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윤동일(YounDong-il),김정훈(KimJung-ho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4

        이 연구는 유소년 야구선수를 위한 일반준비기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관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주기화 원리를 이용한 복합트레이닝의 형태로 개발된 훈련프로그램은 상체를 위한 밴드트레이닝과 야구 특이적인 기술 및 체력훈련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훈련프로그램을 4주간 적용한 결과, 성장의 정도는 매우 작지만 유의한 결과를 보인 신장(p<.01)을 제외한 모든 신체조성에 변화는 없었다. 주측과 비주측의 악력의 변화는 없었으며, 사후 검사 결과 약 12% 정도 증가된 배근력은 유의성에 매우 근접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p=.140). 또한 슬관절을 기준으로 하는 등속성 근력의 변화는 관찰되지 못하였으며, 회전근계의 기능을 파악하기 위한 견관절을 기준으로 하는 외회전력의 증가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p<.05 또는 p.01), 내회전력의 변화는 보여주지 못하였다. 주측과 비주측의 근력차이를 판단하는 악력과 견관절의 회전력과 관련된 근력평형지수를 관찰하였는데, 사후 검사결과에서 주측과 비주측 견관절의 외회전력의 근력평형지수는 유의하게 그 차이가 좁혀지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심박수 등과 같은 심혈기관계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차이는 없었으나, 구속과 베이스러닝기록은 사후 검사결과 각각 5% 및 4%가 향상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일반준비기 훈련프로그램은 특수준비기로 진행하기 전단계의 컨디셔닝 및 부상예방에 효과적이며, 특수준비기에서 적용되는 강한 강도의 훈련을 위한 몸만들기 과정으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eneral preparation period on performance predictors among youth baseball players. Based on principles of general preparation period, training program during 4 weeks consisted of band training for upper extremity, and baseball-specific physical and technical training. As a result of application of this periodic training program, body composition was not changed after 4 weeks of general preparation period, except for height which showed very small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Hand grip strength also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raining. Back strength was very closed to significance (p=.140) and thereby increased by 12% post training. Isokinetic knee strength post training were not different from pre-training. To identify functional improvement of rotator cuff muscles, we measured isokinetic strength of internal and external rotation in shoulder complex. As a result, 4 weeks of training program improved isokinetic strength of external rotation in both sides(p<.05 or p<.01), but not in that of internal rotation. In addition, symmetry index of hand grip strength and rotational strength in shoulder complex was also investigated and that of external rotational strength post training was substantially decreased suggesting that training regimen was very effective to minimize strength difference between non-dominant and dominant side. There was no difference pre-to-post comparison in cardiovascular function (i.e., VO<sub>2</sub>max and HRmax), but throwing velocity and base running time were increased by 5% and decreased by 4%,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 degree of this improvement can significantly but posistively affect baseball performance. Taken together, the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may be effective to lead to next training regimen such as special preparation period and appropriate to apply for conditioning program to prevent injury.

      • KCI우수등재

        Maximal Minute Power Test에 의한 엘리트 사이클 선수의 단계별 운동부하설정에 관한 연구

        성봉주(SungBong-Ju),고병구(KoByoung-Goo),김정훈(KimJung-Hoon)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사이클 선수를 대상으로 실시한 Maximal Minute Power Test(MMPT)에서 발생하는 페달링파워(Pedaling Power, PP) 및 지구력 관련 생리학적 변인을 이용하여 훈련프로그램을 위한 단계별 운동부하를 디지털 방식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그 결과, VO<sub>2</sub>max는 62.0±7.42ml/kg/min, 운동지속시간(Exercise Time, ET)는 531.86±76.21sec, 최대페달링파워(Peak Pedaling Power, PPP)는 380.0±34.06Watts 그리고 기능적역치파워(Functional Threshold Power, FTP)는 301.87±29.96watts로 관찰되었다.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VO<sub>2</sub>max는 ET(R<sup>2</sup>=.633, p<.01), 상대치 PPP(R<sup>2</sup>=.538, p<.05), 상대치 FTP(R<sup>2</sup>=.658, p<.01)와 유의하게 상관성을 나타났으며, ET는 PPP(R<sup>2</sup>=.775, p<.01)와 FTP(R<sup>2</sup>=.773, p<.01)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또한 PPP가 높아질수록 FTP도 동반되어 높아지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R<sup>2</sup>=.883, p<.01). 이러한 유산소성 지구력 관련 측정변인의 결과에 근거하여 운동부하 설정을 6가지 구간별로 구분했을 때, 동적회복, 지구력, 템포, 젖산역치, VO<sub>2</sub>max 및 무산소성 기능을 위한 운동부하 설정구간은 페달링파워를 기준으로 각각 <166Watts, 169±17.0∼226±22.4Watts, 230±22.8∼272±27.0Watts, 275±27.3∼312±36.7Watts, 320±31.8∼362±36.0Watts 및 365±36.3∼453±45.0Watts 등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사이클 선수의 유산소성 지구력 향상을 위하여 FTP, PPP를 향상시키는 PP에 근거한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gitally establish a specific stepwise exercise load on cycling training program by using variables related to pedaling power (PP) generated from Maximal Minute Power Test (MMPT) performed on elite cyclists. As a result of GXT, VO<sub>2</sub>max was 62.0±7.42 ml/kg/min, Exercise Time (ET) was 531.86±76.21 sec, Peak Pedaling Power (PPP) was 380.0±34.06 watts and Functional Threshold Power ( FTP) was observed at 301.87±29.96 watts. VO<sub>2</sub>max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T (R<sup>2</sup> = .633, p <.01), relative PPP (R<sup>2</sup> = .538, p <.05), and relative FTP (R<sup>2</sup> = .658, p <.05). 01), and E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PP (R<sup>2</sup> = .775, p <.01) and FTP (R<sup>2</sup> = .773, p <.01) The higher the PPP, the higher the correlation with FTP (R<sup>2</sup> = .883, p <.01). Based on these findings, exercise intensity zones for active recovery, endurance, tempo, lactate threshold, VO2max, and anaerobic capacity were <166 watts, 169±17.0∼226±22.4 watts, 230±22.8∼272±27.0 watts, 275±27.3∼312±36.7 watts, 320±31.8∼362±36.0 watts and 365±36.3∼453±45.0 watts. As a result of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training program based on PP based exercise to improve FTP and PPP for enduranc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