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연고성 소재를 활용한 지역축제에 관한 연구

        김영만 ( Young Mann Kim ),박상천 ( Sang Chun Park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 Vol.0 No.58

        3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instruction style and characteristic of non-connected material in regional festival. To this end, the author selected 66 festivals which are classified as successful regional festivals. The study investigated introduction background of material for festival and identified 14 regional festivals with material that is not originated from a region. And the author analyzed introduction backgrounds of material for festival such as ① use of Korean unique material, ② regional festival connected to a certain material like natural thing etc. to strengthen local image, ③ expansion of cultural and artistic event which was led by private at first, ④ use of sensitivity of era as material, ⑤ strengthening of enjoyment factor etc. Based on this, the study suggested 5 style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raditional material’, ‘natural thing’, ‘culture and the arts’ were used as non-connected material by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festivals. And it was identified that non-connected material was divided according to style such as urban style, mountain village style, rural community style, and sea village. And it was emphasized that in the case cultural and artistic event was led by private at first expanded to regional festival, it took some time until it was established as a festival; festival based on non-connected material is being actively introduced recently. On the other hand, it was explored that regional festival is a ground to reorganize regional order and the festival has a structure where a new regional identity can be introduced, formed, and established through festival. And it was also found through examples of established regional festival of non-connected material that non-connected material of festival can create regional identity.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can contribute to broadening academic horizon and suggesting new model for development of festival through study on festival of non-connected material that has not received interest as an object of study.

      • KCI등재

        일반논문 :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무궁화의 활용 방안 연구

        김영만 ( Young Mann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2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국가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무궁화를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국가브랜드가 국가 경쟁력의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어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세계 각국의 노력이 치열하다. 이에 국가브랜드의 개념적 접근을 통해 국가브랜드 구축에서 국가의 문화정체성이 중요하고 문화적 요소가 핵심적 가치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관점에서 `국가문화브랜드` 개념을 새로이 제시하고, 국가브랜드 평가지표에서 문화적 요소들을 추출하여 국가문화브랜드 영역으로 8개 기본영역을 설정하였다. 이 영역들은 문화를 통한 국가브랜드 가치를 제고하는 데 있어서 우선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서 국가 정체성을 원천으로 하는 국가 이미지와도 맥락을 같이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접근성과 수용성, 그리고 문화콘텐츠와 같은 문화산업과 접목될 경우 높은 확산성을 가질 수 있어 활용 가치가 높다고 판단하였다. 무궁화는 국내적으로 우리의 대표적 문화 원형질로서 상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세계인들의 호감적 정서와 더불어 전 세계에 걸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세계화를 위한 기반이 조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궁화는 생명체인 꽃으로 탈이데올로기·탈정치적 성격, 그리고 아름다움이라는 보편성과 다양한 이야기 소재를 갖고 있어 문화콘텐츠로 개발이 용이하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국가브랜드로서 무궁화의 유용성을 기저로 국가문화브랜드 기반구축 추진체계 모형과 8개 기본영역별로 관련 사업을 탐구하여 국가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문화적 요소화로 무궁화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rsue a plan for utilizing rose of Sharon to enhance our country`s national brand value. National brand is being recognized as the origin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us, an effort in each country of the world to reinforce value of national brand is fierce. In implementing national brand through concept-based approach to national brand, the nation`s cultural identity is important. The cultural element could be confirmed to function as the core value. Accordingly, a concept of `National Cultural Brand` was newly suggested. The cultural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the evaluation index of national brand. Then, 8 basic spheres were suggested as the national cultural brand sphere. These spheres are those that will need to be preferentially considered in reinforcing value of national brand through culture. And, these spheres were judged to be high in the application-based value not only because of having the same context even as national image, which has the national identity as the origin, but also because of having accessibility, acceptance, and high pervasiveness when being integrated with cultural industry like cultural contents. The rose of Sharon is securing symbolism as our typical cultural protoplasm domestically, and is evenly distributed internationally over the whole world along with favorable emotion to the global people, thereby having been able to be confirmed to be formed foundation for globalization. Also, the rose of Sharon is a flower as living creature, thereby having de-ideological and de-political character, and having universality called beauty, and diverse story materials. So, the development into cultural content could be confirmed to be easy. And, it inquired into a model of a driving system, which implement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cultural brand, based on usefulness in the rose of Sharon as this national brand, and into a relevant project by 8 basic spheres. Thus, a plan for utilizing the rose of Sharon was suggested as cultural element for enhancing value of national brand.

      • 독립군과 무궁화 사료 탐구

        김영만(Kim Young Man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5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4

        본 연구는 일제 강점기에 독립군이 불렀던 군가와 시가에 나오는 무궁화를 조사하여 새로이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집필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와 관련한 한국, 북한, 중국 측의 자료가 수록된 문헌을 전수 조사하여 58개 작품에서 무궁화가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작품 중 문헌에 독립군 군가나 시가로 명기돼 있거나 작품 내용이 독립군과 관련된 것으로 확연한 작품, 또 만주 지역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필사본이나 만주·연변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를 선별기준으로 하여 37개 작품을 독립군이 불렀던 곡으로 판단하고 소개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조사한 대부분의 문헌에서 독립군의 군가와 시가 전체 작품의 약 10% 범위 내에서 무궁화가 명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무궁화가 일제 강점기에 독립군 등 애국지사들에게 널리 애창되었다는 것은 물론 독립군의 가슴에 무궁화가 깊이 각인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에 새로이 발굴된 독립군 군가와 시가 속의 무궁화는 학술 차원의 l차 발굴 자료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다양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Mugunghwa from songs of independence and poetry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erefore, Mugunghwa is confirmed in 58 pieces of work from research of literature that contains materials of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Among these works, only 37 works that sung by independence army is introduced as below reasons. It is specified in songs of independence or poetry. It is clear work that related content by independence army. It is data that collected in the Manchuria and Yanbian, or manuscripts that based on Manchuria. On the other hand , Mugunghwa has stated in approximately 10% of the total work of songs of independence and poetry from most of the literature surveyed in this study. Through this, it could see that Mugunghwa has been sing widely to patriots such as independence army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lso Mugunghwa has been carved on heart of independence army deeply. Consequently, Mugunghwa that has been newly excavated in songs of independence has a meaning as the primary excavation material of academic level, also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of various research.

      • 무궁화의 문헌 고찰

        김영만(Kim, Young-Mann),김정명(Kim, Jung-Myung)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1 문화예술콘텐츠 Vol.- No.7

        무궁화는 우리 민족의 시원과 함께해 오고 있는 꽃으로 그 유구한 시간만큼 우리 민족과의 관계도 각별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는 옛 문헌에 나타난 무궁화를 시대별로 일별하여 무궁화와 우리 민족과의 관계 등 그 역사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옛 문헌을 통해 무궁화는 이미 2천 5백 년 이전부터 우리 강역에 피어 있었고, 우리 선조들은 무궁화를 신성하고 존귀한 꽃으로 여겼으며, 필요한 곳에는 식재도 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신라시대에 이미 무궁화가 우리나라로 국내외에 인식되어 국서 등에 근화향(槿花鄕), 즉 ‘무궁화 나라’라고 명기하였다. 그런가 하면 조선시대에는 홍단심계통의 무궁화가 널리 보급되어 있었고, 상대적으로 백단심계 무궁화는 보기 힘든 꽃이었으나 백단심계 무궁화가 보다 귀하게 여겨진 것을 문헌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일제의 침탈로 무궁화가 민족의 이름으로 수난을 겪었지만 광복구국운동의 표상으로 부각되어 국민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나라꽃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무궁화는 ‘신의 꽃’, ‘나라의 꽃’, ‘희망의 꽃’, ‘백성의 꽃’등으로 자리매김하며 우리 민족과 관계를 가져온 것으로 판단된다. Mugunghwa seems to be the flower which has been closely connected to the Korean history and culture by and large, that being so the relation between the Korean people and the flower would be considered distinctive. The aim of the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endemic relation between Mugunghwa and Korean ethnic group by tracking the historical documents referring to the national flower. Mugunghwa firstly appeared alongside the rivers of the country over 2,500 years ago according to the historical literature, the Korean ancestors considered the flower as a sacred and noble symbol, and planted them as occasion demands. Mugunghwa had already been regarded as the national flower in the Shilla era, so it is written 'Geunhwahyang', in other words 'the nation of Mugunghwa' in the credential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 'Baek-Tanshim' breed was regarded more precious in the Joseon Dynasty since Hibiscus syriacus 'Hong-Tanshim' was a nationwide-spreaded breed while Hibiscus syriacus 'Baek-Tanshim' was rarely seen. And even though Mugunghwa underwent a terrifying ordeal in Japanese Colonial Era, it soon emerged as symbol of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Korean Peninsula and then generally recognized as the national flower. Therefore as it's been concerned, Mugunghwa has successfully been establishing itself as 'Heavenly Flower'. 'the Flower of Hope', 'the National Flower', and 'the Flower for People', and been an intimate ethnic symbol.

      • KCI등재

        무궁화 축제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김영만 ( Young Mann Kim ),박상천 ( Sang Chun Park ) 한국언어문화학회 2008 한국언어문화 Vol.0 No.36

        Festivals have a sociocultural function of promoting social integration and solidifying the existing order. This is in correspondence with the purpose fulfilled by the nation`s symbol for the sake of the country`s perpetuity. The national flower of Korea is the rose of Sharon. The Festival of Rose of Sharon is the one and only festival which is themed with the nation`s symbol. Although the festival has little history so far and its conditions do not meet the standard of a festival, it is decided that such business is essential both in terms of our cultural identity and national dimension. The development scheme for the festival of Rose of Sharon, the national flower, is as follows. The purpose of holding the festival should be oriented to consumers not suppliers, and the body of the festival should be a voluntary private organiza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based on a specific regional area and provide spectacles as well as programs to visitors such as a hill of Rose of Sharon in a massive scale that go beyond their daily experience. The adequate period to hold the festival is considered to be around the time of Liberation Day, in the period of which flowers blossom and social interests are high on national affection. However, the Arbor Day can also be a consideration to facilitate more people involvement. In order to draw out voluntary participation, which is regarded as a critical factor in festivals, some illusionary outcomes different from reality should be acquired through the play of festival, and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nature of the festival, that is, its role as a social integration of a community.

      •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 포맷에서의 스토리텔링 구조에 관한 연구

        김영만(Kim Young-man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8 문화예술콘텐츠 Vol.- No.2

        최근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세계 포맷시장이 확대되고 있어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과 스토리텔링 전략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예능 프로그램에서 출연자들의 캐릭터와 그 상호관계는 향유자들에게 재미와 즐거움을 주는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는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국내 방송사별 대표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캐릭터와 캐릭터 상호 간의 스토리텔링 구조를 비교하여 파악해 보았는데 이들은 모두 변별되는 시간구조를 갖고 있었으며, 출연자에게 개별적으로 성격화된 캐릭터를 공개 부여하고 있었는데 그 범위와 강도는 다르게 운영되고 있었다. 그리고 캐릭터 상호 간의 스토리텔링 구조도 프로그램 별로 의도된 전략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렇게 특성에 따라 파악된 운영구조는 향후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매뉴얼화하여 포맷패키지에 포함시킬 경우 비대사 형태인 리얼리티 쇼 포맷시장에서 보다 구체화된 성공전략을 제시할 수 있어 상품가치를 높이고 구매를 유도하고 촉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market of format based on reality TV show program has been expanding all over the world, the format of reality entertainment program and strategy for storytelling are to be concentrated. Especially the performer and their mutual relation in entertainment program are very important in the way of that they play an core role to give fun and pleasure to viewer. The storytelling structure of characters and their mutual relation in the representative reality entertainment program by national broadcaster have been researched in this article. The result is that it has each own distinctive timetable and it sets openly the typical characteristic for each performers, the range and intensity of which are differently operated. And the structure of storytelling between characters is operated strategically by program. The structure of operation captured by its characteristic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format of future entertainment program. In case of completing the manual and including it into format package, the detailed strategy for success can be presented in the market of reality show format as the one of non including lines. Also, it is expected to induce and promote the purchase as well as to increase the value of product.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나라꽃 무궁화 선양 사례와 발전방안 연구

        김영만(KIM YOUNG MAN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08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

        국가상징이란 국제사회에 한 국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리기 위해 자기 나라를 잘 알릴 수 있는 내용을 그림, 문자도형 등으로 나타낸 공식적 징표를 말한다. 국가상징은 오랜 세월동안 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그 나라의 역사ㆍ문화ㆍ사상이 스며들어 자연스럽게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져 만들어진 것으로써 최고의 영속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국민통합 기능과 문화의 지속성을 보장함으로써 국가의 영속성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국가상징을 선양하는 일은 우리의 문화정체성 측면이나 국가적 차원에서 이 시대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미래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어린이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가상징 교육은 그들에게 국가정체성을 확립시켜주고, 올바른 국가관을 갖게 해 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최근 우리 국가상징의 하나인 국화(國花) 무궁화 선양 활동에 있어 온라인 게임, 캐릭터 등을 활용한 무궁화 선양운동 사례는 국민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유형의 선양 방안이다. 무궁화 키우기 게임, 무궁화 캐릭터 등과 같은 문화콘텐츠는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접근성이 용이 할 뿐 아니라, 무궁화를 친근한 이미지로 포지셔닝(Positioning) 하는 데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이런 방안은 광범위한 대상을 상대로 한 선양활동이 가능하고, 파급효과가 크며 경제성도 매우 높다. 또 OSMU 측면에서 활용범위와 효용성이 크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나라꽃 무궁화 선양운동은 매우 유용한 방안으로 평가할만하다. 나아가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선양운동은 다른 국가상징, 우리 것 선양활동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앞으로 이러한 유형의 선양활동은 더욱 장려되고 활성화 되어야 한다. In enhancement activities of Mugunghwa, one out of the national symbols of Korea, an enhancement campaign case of Mugunhwa with online games and characters is worthy of coming into the spotlight in the side of a new-type enhancement plan. It is evaluated that culture contents as Mugunghwa breeding games and Mugunghwa characters contribute largely to securing Mugunghwa’s position as a familiar image as well as being easy to approach by leading children and juveniles’ curiosity and interest. Also, such a plan makes enhancement activities for immense objects possible. Also, it has a lot of ripple effects and a very high economical efficiency. In the side of OSMU, it has a broad utility scope and a lot of benefits. Therefore, the enhancement campaign of Mugunghwa, the national flower of Korea, with culture contents is worthy of being evaluated to be a very useful pla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enhancement campaign with culture contents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enhancement activities of the other national symbols of Korea and Korean traditional things. Therefore, enhancement activities of the same kind as above should be more encouraged and revitalized in the future.

      • 한류 활성화를 위한 ‘문화브랜드’와 ‘문화혼종화’에 대한 연구

        김영만(Kim Young Man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2 문화예술콘텐츠 Vol.- No.8

        본 연구는 한류 활성화를 모색해보는 연구이다. 한류에 있어 지속적인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는 근원적 문제가 ‘한류작품을 중심으로 한 선형적 구조’와 ‘문화활성자의 지속적인 확장성의 확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문화브랜드 전략을 제시하고 문화브랜드의 OSMU 특성을 통해 다양한 문화활성자를 만들어 선형적 구조를 개선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브랜드를 더욱 견고하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문화활성자 생성으로 확산 추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한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반한류와 같은 ‘역(㊀)문화활성자에 대한 대처’와 ‘문화유인자로서의 콘텐츠 질의 강화’도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는데, 문화혼종화 방안은 역(㊀)문화활성자를 최소화하는 데 유용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제는 한국적인 것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전 지구적 보편성을 갖는, ‘세계적인 것의 발굴’에도 보다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편성을 바탕으로 킬러콘텐츠를 개발하고, 나아가 한국의 국가적 이미지와 세계적 가치를 갖는 문화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킬러트렌드를 창출하는 것도 한류 활성화와 확대를 위해 긴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KCI등재

        무궁화 메카도시의 지향가치

        김영만(Kim Young-Mann)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9

        본 연구는 국가상징 도시로 처음으로 조성되는 무궁화 메카도시가 지향해야 할 가치에 관한 연구이다. 무궁화 메카도시는 ‘국가적으로 무궁화의 집적화를 통해 무궁화의 국내 확대?보급 거점지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지역적으로는 특성화와 명소화를 이뤄가는 도시’라는 개념을 가지며, 대내외적으로 국가차원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확장해갈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강원도 홍천군은 공모를 통해 무궁화 메카도시로 선정되었는데 지역에서 일제강점기에 무궁화로 애국운동을 펼쳤던 남궁 억 선생과 군민들이 선생의 뜻을 기리고 이어오면서 확립된 지역 문화정체성이 선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홍천군이 그간 추진해왔던 다양한 사업들이 지역 차원에 머무르고 있으며, 특히 무궁화 메카도시와 관련하여 대외사업으로 추진된 무궁화 축제에 나타난 양상을 통해 ① 무궁화 메카도시로서 비전의 재정립, ② 탈지역주의와 세계화지향, ③ 지역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하고 변별성을 가진 콘텐츠 개발, ④ 외부 전문가의 참여 등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무궁화와 관련하여 최근 ‘국가 브랜드, 국민 친화형, 문화 중심, 콘텐츠화, 민간 주도’라는 새로운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참여 확대를 위해 홍천군이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메카도시로서의 역할 수행을 통해 그 위상과 정체성이 강화?확대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무궁화의 SWOT 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통해 확인한 ‘세계화, 향유자 눈높이 맞추기, 상품과 콘텐츠 개발’의 지향가치를 무궁화 메카도시에 적용하여 ‘세계적인 무궁화 명품도시’, ‘국내는 물론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는 무궁화 도시’, ‘무궁화와 관련한 다양한 상품과 콘텐츠를 만나고 즐길 수 있는 도시’라는 지향가치를 추출하고, 무궁화 메카도시가 ‘세계적 명소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is a study of the values to be upheld by Mugunghwa Mecca City, the country’s first state symbol city. Mugunghwa Mecca City will “serve both a state function of a base city from which to disseminate the national flower nationally, as well as a local function in being a city that is distinctive and highly-recognized”. It will be important for strengthening the state identity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Hongcheon-gun in Gangwon province was selected through a competition as the site for Mugunghwa Mecca City. The decision was based on the region’s cultural identity as a people who continue the spirit of Nam, Gung-ok, who used the national flower to lead patriotic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the region’s various projects have been limited to its own locale, and it has been recognized through the Mugunghwa Festival highlighted by the Mugunghwa Mecca City project that there is an urgent necessity for: ① re-establishment of Mugunghwa Mecca City’s vision for the future ② de-localization and globalization ③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istinctive contents as a base for the regional identity and ④ participation by experts outside the region. Recently, moreover, the national flower is becoming more recognized as a “state brand, a favorite with the people, a center for culture, a source for diversity, and popular leadership”. These concepts must be used actively in order to increase the scope of participation, and it is judged that Mecca City will serve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image and identity of the national flower. Also, using the relation between the national flower and SWOT to apply “globalization, increased standards, development of products and contents” to the values of Mugunghwa Mecca City, the city will become a “famous city worldwide for its products”, “a city loved not only in Korea but by the world”, “a place for enjoyable consumption” and a city known worldwide. It is confirmed that this is the value that Mugunghwa Mecca City must pursue.

      • 약재·먹거리로서 무궁화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김영만(Kim Young Mann)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6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7

        본고는 나라꽂 무궁화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약재·먹거리로서 무궁화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집필됐다. 이를 위해 우선 무궁화의 약용성을 우리 한의서인 《향약집성방》, 《동의보감》은 물론, 중국의 《본초강목》 등과 같은 옛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무궁화의 약성 효용에 관한 기록이 전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무궁화는 꽃·잎·열매·껍질·가지·뿌리 등 모든 부위가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는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무궁화는 식용은 물론 약용으로도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현대 의학에서도 무궁화가 항산화 능력을 가진 사포나린, 노화를 방지하는 신물질 등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이 밝혀지고 이러한 유용한 성분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특허와 상품으로도 출원·출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무궁화는 약재·먹거리로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상품으로 부가가치 창출도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옛 문헌을 통해 무궁화의 약용성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를 가지며, 또한 약재·먹거리를 중심으로 경제적 가치를 포함한 활용성을 탐구함으로써 국민 정서적, 생활 속의 확산 방안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study the applicability of Rose of Sharon as medicine and food to reconsider the national interest in Rose of Sharon, the national flower of Korea. For this, the nature of medicine of Rose of Sharon has been found not only from the references of Korean medicine, 《Hyangyakjipseongbang》 and 《Dongeuibogam》, but also from the Chinese references such as 《Bonchogangmok》 to confirm the records about medicinal effects of Rose of Sharon. Moreover, from old times, flower, leaf, fruit, peel, branch, root, and all other parts of Rose of Sharon were known to be used for medicinal purposes. Therefore, Rose of Sharon was confirmed to have much applicability not only as food but also as medicine. In modern medical science, it was found that Rose of Sharon contains useful components such as saponarin with antioxidant and new substances of anti-aging. Based on these useful components, Rose of Sharon is used in various fields and patents and products. These features showed that Rose of Sharon was usable as food and medicine and that Rose of Sharon may be used in various goods for creation of value added. This study is valuable for studying old references to determine the nature of medicine of Rose of Sharon. Furthermore, centered on food and medicine, this study has determined the applicability including economic value to expect its contribution to be extended within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