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개인의 복지태도가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미치는 영향

        김도영(Do-Young Gim) 한국보건복지학회 2018 보건과 복지 Vol.20 No.2

        본 연구는 대표성 있는 전국 단위자료를 사용하여 의료보장의 공적 역할강화에 대한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의 동의를 끌어낼 수 있는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 8차년도 복지인식 부가자료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 성인 4,185명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처음 인구학적 배경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시행하였고, 다음으로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인구학적 배경과 사회경제적 지위 그리고 복지태도가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학적 배경과 사회경제적 지위는 일부 변수만이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 동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일관성 있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전반적인 복지태도에 있어서는 친복지적 성향이지만 공적 의료보장을 강화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적 의료보장 강화정책의 국민적 동의를 끌어내기 위한 정책적 과제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onsent to the strengthening of the public role of health insurance policy using representative national data, To provide basic data for policy. For the analysis, welfare recognition data of the 8th year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was used and 4,185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irst, x²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nsent of the strengthening public health insurance policy according to demographic background and socioeconomic status. Next, the impact of demographic background, socioeconomic status and welfare attitude on the consent of strengthening of public health insurance policy was analyzed through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demographic background and socioeconomic status did not show a consistent trend although only some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ent of strengthening public health insurance policy. Also, although the overall welfare attitude has pro-welfare oriented, it often appears that th not agree to strengthening public health insurance poli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 suggested policy tasks to draw public consent of strengthening public health insurance policy.

      • KCI등재후보

        소득수준별 건강상태에 따른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격차 분석

        김도영 ( Do Young Gi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지역과 세계 Vol.36 No.1

        본 연구는 2007년과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소득수준별 건강상태에 따른 보건의료이용의 형평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Le Grand지수를 산출한 결과 건강상태를 반영한 보건의료이용에서 고소득층에 유리한 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그러나 2007년에 비하여 최근 2010년에는 소득계층 간 불평등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여전히 국민들의 보건의료이용에 있어서 각자의 소득수준은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저소득층은 좋지 않은 건강상태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의료보장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취약한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와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가 필수적인데, 재원마련의 사회적 합의도출을 위해서는 건강보험을 통한 소득 재분배가 우리가 지향하는 복지국가의 시작임을 국민들이 공감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같은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해선 정부와 정치권의 적절한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to equity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 according to health status between income classes by obtaining the Le Grand Index, which directly reflects health status as health care utilization demand,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07 and 2010. The major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oncentration index (CI) was obtained for health care utilization. The CI was negative (-) in the variables of health care utilization including the amount of outpatient care, number of hospitalizations, and total hospitalization costs except for total outpatient care costs from 2007 to 2010, which shows the concentration of health care utilization in the low income class. On the contrary, total outpatient care costs were positive (+) in every year during the period, findings which corresponded with the analysis result of health care utilization CI according to gender in each year. Gender differences did not have much impact on health care utilization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 sign and absolute value of CI. Secondly, CI was also obtained for health status. CI was negative (-) in all the measurement indexes of health status throughout the period, which indicates that poor health status was concentrated in the low income class. However, the concentration was weaker in 2010 than in 2007. When gender was considered, women exhibited poorer health status than men in most measurement indexes of health status in each year. However, gender differences seemed to have no great influence on health status as there was no big gap between CI analyzed according to the subjects as a whole and CI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Finally, the Le Grand Index (HILG) was positive (+) in every year during the period except for the number of outpatient care/subjective health statuses,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ubjective health statuses, and total hospitalization costs/subjective health statuses. The index was favorable to the high income class in most of the categories in every year during the period, but its absolute value was relatively greater in 2007 than in 2010, when the gap was narrowed down. The CI of health care utilization, CI of health status, and Le Grand Index (HILG) results according to income levels show that there remains inequity favorable to the high income class in health care utilization reflecting health status and that inequity between the income classes was alleviated in the latest year of 2010 compared to 2007. The reality can be improved by reinforcing health insurance security further, reducing the number of non-reimbursable items, and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public expenditure in national health expenditure. The top priority for those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social consensus on financing, whose first step will be an agreement among people that income redistribution through health insurance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welfare state the nation strives to become. The government and politics are desperately required to play proper roles to help the nation reach a consensus.

      • KCI등재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도영(Gim Do 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소득수준, 교육수준, 경제활동 형태를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설정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요인들이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건강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은 갑자기 불거진 문제가 아니지만 사회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리사회에서 발생하는 건강불평등 현상은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발생되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건강수준의 격차를 줄이고 국민건강수준의 향상을 위해서는 보건의료 차원의 정책만이 아니라 사회계층별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불평등 해소를 위한 사회적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level and medical service use by utilizing the data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fter setting the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and form of economic activity as the representative indicators to measure socioeconomic status and analyzing resulting differences in health level and medical service use, the study identified socioeconomic status as a factor influencing health level and medical service use. The phenomenon of health inequality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has not been newly confirmed, but the fact that it has continued on without any changes until recently raises a need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the reality. The phenomenon of health inequality in our society takes place as social structural issues, which implies that there is a definite need for social interventions to resolve inequality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the social classes as well as policies at the level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in order to reduce the gap in health level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and improve the level of nation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