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自然科 敎育의 更新을 위한 提言

        金基融 仁川敎育大學校 1995 論文集 Vol.29 No.1

        Since 1945 to 1955 up to now, there were many attempts to improve science education in primary school in Korea. Science Curriculum reformation and teachers retraining programs were carried on one hand, and pilot studies of various primary school science programs which were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were run by the teachers colleges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is little effect in teachers motivated interest in new science and changes in science classes. In this country, there many teachers who are misunderstanding that teaching science means to simply follow science text book in disregarding objectives of grade level and subject content. This indicates that it is hard to overcome cultural gap or difference between our tradition in science teaching and modern science teaching behavior of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some proposals for improving science curriculum building and teaching behavior of teachers in primary schools in Korea. As a conclusion, some proposals are constructed as follows: 1. A system of primary school scienc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expert personnel of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profession. 2. The autonomous climate must be settled through communication or conference which are brought from research or survey in the field of science teaching in primary schools. 3. A series of standard reference books-history of primary education, history of prim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its practices in Korea, primary education curriculum theories in foreign countries, commentary of prim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for teachers, etc must be prepared to improve teachers understanding for curriculum building and teaching philosophy of teachers.

      • 敎育大學 敎育成果의 極大化方案에 關한 一硏究

        沈璡求,金基融 仁川敎育大學校 1990 論文集 Vol.24 No.1

        本 硏究는 硏究者가 이제까지 敎育大學 敎育改善과 有關한 部分的인 硏究들을 해왔다. 그러나 아직 더 硏究해야 할 部分도 있고 또 이미 硏究한 것도 時間이 經過하고 보니 補完硏究의 必要도 생겼다. 그리하여 아직 解決되지 않았는 問題에 대하여는 새로 硏究를 하고 補完硏究가 必要한 것은 補完硏究를 하여 敎育大學 敎育의 全過程을 體系的으로 改善할 方案을 完成시켜 提示할 必要가 있어 本 硏究를 하게 되었다. 本 硏究의 目的은 敎育大學 敎育成果의 極大化方案을 模索하는데 있었고, 本 硏究의目的을 達成하기 위한 硏究內容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敎育大學 敎育의 目的과 目標를 明瞭하게 設定한다. 둘째, 敎育大學 敎育課程의 改善方案을 模索해 낸다. 셋째, 敎育大學 敎育課程 運營의 改善方案을 模索해 낸다. 넷째, 敎育大學 敎育評價方法의 改善方案을 模索해 낸다. 다섯째, 바람직한 敎師態度의 形成方案을 模索해 낸다. 첫째의 敎育大學 敎育의 目的 및 目標의 明瞭化 問題는 文獻硏究를 하였고, 둘째의 敎育大學 敎育課程의 改善方案은 現職 平敎師의 役割과 職務에 대한 實態調査와 資質分析 結果를 基礎資源으로 삼고 敎育大學 敎育課程構成의 五大原理 곧 ① 敎育大學 敎育課程은 初等敎師의 役割과 職務를 成功的으로 遂行할 수 있는 資質을 기를 수 있게 構成되어야 한다는 原理, ② 敎育課程에 관한 原理, ③ 專功課程에 관한 原理, ④ 深化課程에 관한 原理, ⑤ 敎育實習에 관한 原理에 맞게 構成해내었으며, 셋째의 敎育大學 敎育課程 運營의 改善方案은 먼저 敎育大學 敎育實態를 敎育大學을 卒業하고 敎育經歷 7個月 末滿의 新任敎師를 對象으로 調査하여 敎育大學 敎育課程 運營上 問題點들을 抽出해내어 그 問題點들을 解決해내는 方便을 擇했고, 넷째의 敎育大學 敎育評價方法은 絶對基準評價理論에 符合되게 摸索해내었으며, 다섯째의 바람직한 敎師態度 形成方案 硏究는實驗硏究를 했다. 이렇게 硏究하여 얻어진 結果는 다음의 結論과 같았다.

      • 自然科 敎育의 改善을 위한 先行條件의 考察(Ⅱ) : 自然科 敎科書와 지도서를 中心으로

        金基融 仁川敎育大學校 1994 論文集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series of guide lines for improving quality of text materials for both teachers and children in primary school science. In Korea, science test books or children and teacher's guides are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ose authorized written materials are decisive influence on science teaching in the classes and teachers understanding on curriculum building. This means that whole things related to teach children science in classes depend much upon the science text books and teacher's guides, especially for primary schools. This study has reviewe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teacher's guides and science text books for children since 1924, and found out the facts that teachers guides and science text books are discribed by arbitrary rules not acceptable to science. This results teacher's guides and science text books are not fully acceptable to both teachers and children needs and interest. A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 first, a list of items to be required in match with the nature and intension of teacher's guides, and second, a few criteria to be satisfied as the scientific explanation, conformation and acceptability in science text books writings.

      • 現行 自然科 指導內容 補强을 爲한 檢討硏究

        林暎得,金基融 仁川敎育大學校 1986 論文集 Vol.20 No.2

        本 硏究의 目的은 現行 自然科 敎育課程의 學習내容을 아동들의 實態에 비추어 分析하고 發見된 결합을 修正. 補完하는 事例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自然科 敎育課程의 組織과 그 指導方法ㅇ르 現實에 맞게 再構成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各 學年별 문제점 및 이에 대한 補完.修正 대책은 다음과 같다. 2학년 1학기 공기와 물 單元 中'물총놀이'에서의 방법과 材料가 적절하지 못하여 물총의 기능을 發揮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좀더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실험함이 좋다. 곤충 單元에 나오는 곤충명이 교과서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데, 적어도 敎師用 指針書에는 수록하는 것이 좋다. 3학년, "연못의 생물"單元의 물옥잠은 잘못된 것으로, 부레옥잠으로 바로 잡아주는 것이 좋다. 4학년, "열과 온도" 單元 中 '물을 가열할 때의 온도변화'는 앞에서 제시한 <실험 방법 3>과 같이 構成함이 타당하다. "작은 생물" 단원 중에서 다루어지는 하루살이 幼蟲은 채집에도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飼育에도 어려운 점이 있으므로 採集 및 飼育上의 問題를 補完할 必要가 있다. 지렁이의 토양 수분 반응은 보다 구체적인 실험을 통하여 실험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플라나리아의 採集이나 飼育上의 問題는 별로 없으나 中.高等學敎와의 連繫性을 고려한다면 再生實驗 부분만은 中學校 과정으로 넘기는 것이 좋다.초파리의 지도 時期는 6月로 되어있으나, 초파리의 대 발생기는 8月과 9月 초임을 고려한다면, 8월 말에 指導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合理的이다. '해캄의 증식 實驗'에서는 定量的으로 다룰 수있는 方法이 거의 確立되어 있지 않고, 햇빛을 받아 증식되는 現象을 수조나 시험관에서는 거의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개구리밥의 증식 실험에서 보다 보완하되 해캄의 증식 실험은 생략하는 것이 좋다. 5學年,"날씨의 變化" 單元 中'공기의 압력이 作用하는 方向'을 學習하는 實驗에는 공기에 의한 壓力의 方向만 强調하는 實驗만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을 실체로서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實驗이 부가되어야 한다. "용해 단원" 중 '기체의 용해'에서는 사이더로 기체가 물에 녹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다음의 학습을 위해서 사이더에서 나오는 기체의 성분을 확인하는 실험도 첨가하느 것이 타당하다. 또, 용액의 진하기를 확인하는 실험은 실험 방법 4(본문 참조)로 대처함이 합리적이다. 6學年의 "산과 염기의 성질" 단원 중 '산과 금속의 反應'에서는 묽은 염산에 아연 조각을 넣을때 일어나는 기체의 成分에 대해서는 언급을하지 않는데,다음의 學習(6-2)을 위해서 이에 대해 취급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연소" 단원 중 '촛불 관찰'에서는 탈 때 불꽃이 생기는 事例로서 實驗 方法 1,2 (본문 참조)를 追加하는 것이 타당하다.

      • 통합과학 교육의 개선방안

        김기융 仁川敎育大學校 1980 論文集 Vol.15 No.-

        This study aimed to formulate a series of strategies leading to an integration of primary education and science teaching as a whole. To find a common ground of primary school science in primary education was reviewed the objectives of the first level of education stated in education law corresponding to the objectives of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since 1955. It was revealed the problems of current practices in science teaching in the schools. Based on the evidences including class observations and surveies done by various educators, a series of guidlines concerning to the improvement of teacher's literacy in science and teaching methods were drown. One of the main emphasises was to develop an idea of integrated approach in primary schools instead of separated subject matter approach. Isolated science teaching from other subjects especially Korean language hinders an integrating nature of primary education and also violates in the light of modern theories of learning and cogo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A reasonable approach was recommended as a start of integrated science teaching that suggests of using children's daily language in science classes instead of using scientific terminologies made by adults. This means that children are able to make-use their language meaningful to themselves to explain, describing things or events whatever they observe and experiment. This approach will leads children to the assimilation of scientific principles and methods as well. Lastly, this study formulated a series of strategies for improving primary education an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as follow: A. More concentrated efforts must be paid for the foundation of an unique nature of primary education at governmental level. B. Strong emphasis and support should be laid on the integrated science approach based on the ground of generality of primary education. C. An appealable approach into integrated science teaching for children will be one that scientific concepts and principles are fused in common language of children instead of using standardized terms in science classes. D. More materials including background readings and experiment will be developed for teachers to use them in appropriate situation. E. More support and encouragement should be given to carry out the function of science education centres at teachers colleges. F. To improve the teaching skills of teachers and their background, more cooperative, functional, and horizontal body must be organized including specialists in umbrella of the provincial board of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centre at teachers colleges. G. Integrated science programmes should be developed for inservice and preservice train-ing at the teachers colle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