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잡환경에서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비정상 움직임 검출

        김규성(Gyuseong Kim),박대용(Daeyong Park),변혜란(Hyeran Byun)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8 No.5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방대한 감시 영상은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처리를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혼잡 환경의 영상을 대상으로 영상 내 객체들의 반복적인 움직임을 분석하여 비정상 행위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차량의 역주행, 과속, 차선위반 등 지역적 정보만으로 비정상 여부가 판단 가능한 비정상 움직임 외에도 차량의 신호위반 등과 같이 장면의 전체 상황을 고려해야 판단할 수 있는 비정상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지역적 확률 모델과 전역적 확률 모델을 구성하였다. 또한 통행량이나 환경의 다양한 변화들을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감시 환경의 변화를 학습하고 검출하였다. 야외 도로 영상과 AVSS 2007, PETS 2009 벤치마크등 실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정상 위치, 방향, 속도, 상황 등 다양한 비정상 이벤트를 검출하였고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방법과 비교를 통해 검출 정확도 및 실용성 측면에서 우수성을 나타내였다.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is propose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bnormal events by analyzing surveillance video frames in crowded environment. Especially, we focus on detecting abnormally moving motions. To detect abnormal events in crowded environment, low-level features of moving objects are extracted from video frames in optical-flow form. These features are used to get motion correlation model which is used in abnormal event detection phase. There are two steps in abnormal event detection phase. The first detection step is based on local model which is made with local information such as velocities, directions and positions and the second step is based on gobal model which is made with global information.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practicality and sufficient accuracy through many experiments which use many public benchmark video sequences and compare with LDA based methods.

      • 『파리외방전교회연보』를 통해 본 인천 지역 천주교의 모습

        김규성(Kim Gyuseo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1 누리와 말씀 Vol.50 No.1

        본 논문은 『파리외방전교회연보』에 나온 인천 지역 천주교의 모습에 대해 파악하였다. 파리외방전교회 본부는 선교 지역의 대목구장이 보낸 보고서를 바탕으로 『파리외방전교회연보』를 만들었다. 이 잡지에는 조선 천주교에 대한 보고서도 있으며 그 안에 인천 지역 천주교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 이 보고서를 통해 인천 지역 천주교에 대한 파리외방전교회 출신 주교들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다. 1889년부터 1933년까지 발행된 『파리외방전교회연보』에 나온 한국 관련보고서 중에서 인천 지역에 대한 언급이 나온 보고서는 35건이다. 대목구장 주교가 본부에 보낸 보고서 중 인천 지역 관련 보고는 당시 제물포 본당 주임 신부가 보낸 보고서를 직접 혹은 간접 인용하여 만든 것이다. 특히 강조할 필요가 있는 부분은 직접 인용하였다. 대목구장이 파리외방전교회 본부에 보낸 보고서 중 인천 지역 천주교에 대한 내용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교세 증감과 신자 수 보고이다. 그 다음으로 고아원, 무료 진료소 등 사회복지 사업에 대한 보고가 나온다. 이어서 학교 운영에 대한 보고가 나온다. 또한 본당 사목에서 나온 특이 사항과 고충에 대한 보고도 있다. 이 안에서 드러난 파리외방전교회 출신 주교들의 인천 지역 천주교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인천 지역이 개항장이며 상업 도시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주목하면서 그 세속적인 특징이 선교에 어려움을 줄 수도 있지만 국제적이며 개방적인 성격이 있다는 면에서 선교의 거점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사회복지 사업과 교육 사업이 그 운영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선교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This thesis investigated on the Appearance of Incheon Catholic Church through Compte Rendu de la Société M.E.P. The Headquarter of la Société M.E.P. created Compte Rendu de la Société M.E.P. based on the report sent by the pastor of the mission area. In this magazine, there is a report on Catholicism in Korea, and there is also a story about Catholicism in the Incheon. Through this repor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french bishops toward Catholicism in the Incheon. Among the reports related to Korea in the magazine published from 1889 to 1933, 35 reports mention the Incheon Catholic. Among the reports sent to the headquarters by the bishop of vicariate apostolic, the reports related to the Incheon area were made by directly or indirectly citing the report sent by the priest at the time of the Chemulpo parish. In particular, the parts that need to be emphasized are directly quoted. The content of Catholicism in the Incheon can be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among the reports of the bishop of vicariate apostolic. First, it reports the increase in church membership and the number of believers. There are also reports on social welfare projects such as orphanages and free clinics. Finally, there are reports of specific issues and difficulties arising from parish pastoral care. French bishops showed the following perceptions of Catholicism in the Incheon. Noting that Inche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treaty port and a commercial city, the secular characteristics may make mission difficult, but in terms of its international and open character, it was recognized that it could be a base for missions. It was recognized that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projects wer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local missions despite the difficulties in their operation.

      • 1920-30년대 조선천주교회사 관련 통사 및 순교자 전기 연구

        김규성(Kim Gyuseo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8 누리와 말씀 Vol.- No.42

        본 논문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발간된 조선천주교회사 통사 및 순교자 전기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이 책들의 배경과 의미 및 교회사적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로네가 1920년대에 쓴 순교자 전기는 󰡔1925년 시복된 1838-1846년 프랑스와 조선의 순교자들(Martyrs Français et Coréens, 1838-1846/beatifies en 1925)과 첫 조선인 사제 김 안드레아(Le Premier prêtre Coréen) 그리고 외방전교 회의 순교 복자(Les Bienheureux martyrs de la Société des Missions étrangères)이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조선 천주교회사 통사는 조선의 천주교(Le Catholicisme en Corée)와 조선천주공교회약사이다. 이 중 전자는 프랑스어본이고, 후자는 한글본이다. 프랑스어로 나온 조선천주교회사 관련 서적들은 프랑스 교회 신자들의 선교열 고취와 재복음화의 의도를 담고 있다. 조선의 천주교는 조선 교회 발전의 세 가지 장애 요인으로 조상 제사 문제, 서구의 물질주의, 개신교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겨내는 굳은 신앙심을 가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한편 조선천주공교회약사는 한글로 간행된 첫 조선천주교회사 개설서라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순교자들의 영광을 부각시킴으로써 조선 천주교 신자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었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 교회사 관련 서적들은 박해 시대 이후의 교회사까지 정리하였으며, 순교자들의 이야기를 체계적으로 서술하였다. 하지만 개선주의적 특징을 드러내었으며, 민감한 사건에 대해 축소하거나 숨겼다는 한계도 있다. This thesis study Korean Catholic History Book and Martyr Biography published in the 1920s and 1930s. This researche deal with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se books and the church s private influence. These martyr biographies writing by A. Launay in the 1920s are as follows. They are Martyrs Français et Coréens, 1838-1846/beatifies en 1925 , Le Premier prêtre Coréen and Les Bienheureux martyrs de la Société des Missions étrangères. At the same time, Korean Catholic Histroy books are as follows. They are Le Catholicisme en Corée and Korean Catholic Short History. Of these, the former is french and the latter is korean. The books on the Catholic Church in the french language contain the intent of the missionary rehabilitation of the church believers in France. Le Catholicisme en Corée presented ancestor sacrifice, materialism, and protestantism as three obstacles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hurch. And it emphasized the need to have a firm belief in overcoming this. On the other hand, Korean Catholic Short History has the value of being the first Korean Catholic History book published in the Korean alphabet. In addition, it has the significance of giving pride to Korean Catholics by highlighting the glory of martyrs.

      • 1830년대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가 본 조선 신자들의 신앙 생활

        김규성(Gyuseong Kim)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2 누리와 말씀 Vol.52 No.1

        본 논문은 1830년대에 조선에 진출한 첫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인 앵베르주교, 모방 신부, 샤스탕 신부가 관찰한 조선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와 더불어 그들이 가진 조선 신자들에 대한 인식도 다루었다. 선교사들이 관찰한 조선 신자들의 신앙 생활은 그들이 쓴 서한 안에 드러나 있다. 우선 더 자유로운 신앙 생활을 하기 위해 재산을 처분하고 산속에 들어간 모습과 더불어 자발적으로 신심단체를 조직하여 활동한 모습이 나와 있다. 다음으로 신자들의 교리서 및 신심서 독서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아이들에 대한 교리교육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 나와 있다. 그리고 성사에 대한 열망과 인식이 뚜렷했다는 점과 신앙 생활을 이어가기 어려웠던 조선 사회에서 나름대로 적응하는 방법을 고민했다는 점이 드러나 있다. 당시 조선에 진출한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들의 사목 방침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현지 문화의 이해와 더불어 그 안에서 신앙이 어긋나지 않은 점을 분별하여 수용하려는 방침이 있다. 이어서 현지인 사제를 양성하여 교회를 자립시키려는 방침이 있다. 앵베르 주교를 비롯한 조선 진출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들은 이 사목 방침을 기초로 삼고 활동하면서 조선 신자들의 신앙 생활을 관찰하고 묘사하였다. 그런데 그들이 묘사한 부분에는 조선 신자들에 대한 인식이 담겨 있다. 그 인식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박해라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신앙을 지켜나가는 모습에 대해 높이 평가하며 조선 선교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보는 인식이다. 둘째로 오랫 동안 성직자 없이 신앙 생활을 한 조선 신자들의 미숙한 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선교사로서 가진 인식이다. 이는 조선인 사제 양성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ligious life of Korean believers observed by Bishop Imbert, Father Mosa, and Father Shastang, who were the first missionaries of the Paris Foreign Missionary Society to enter Joseon in the 1830s. In addition, they dealt with their perceptions of Chosun believers. The religious life of Korean believers observed by the missionaries is revealed in the letters they wrote. First of all, in order to lead a more free religious life, he sold his property and went into the mountains, as well as voluntarily organizing and working with a religious group. Next, it is revealed that the reading of catechisms and devotional books of believers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and catechesis for children is also being actively carried out. It is also revealed that he had a clear desire and awareness for the sacraments and that he thought about how to adapt in his own way in Joseon society, where it was difficult to continue a religious life. The pastoral policy of the missionaries of the Paris Foreign Missionary Church who entered Korea at that time wa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a policy of understanding the local culture and discriminating and accepting the points that do not contradict the beliefs within it. Next, there is a policy to train local priests to make the church self-reliant. The missionaries of the Paris Foreign Missionary Church in Joseon, including Bishop Imvers, observed and described the religious life of Korean believers while operating based on this pastoral policy. However, the part they describe contains their awareness of the Chosun believers. This perception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it is a positive view of the possibility of missionary work in Joseon by highly appreciating the way they keep their faith despite the difficult circumstances of persecution. Second, it is the perception as missionaries that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 inexperience of the Korean believers who have lived a religious life without a priest for a long time. This is highly likely to have led to the necessity of training Korean priests.

      • 병인박해에 대한 조선 천주교회 신자들의 경험과 기억

        김규성(Kim Gyuseong)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6 누리와 말씀 Vol.- No.40

        본 논문의 목적은 박순집의 증언을 중심으로 하여 조선 천주교회 신자들이 가졌던 병인박해의 체험과 기억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병인박해 시복 재판과 그 과정에서 나온 자료들에 대해 살펴본 후에 시복 재판 증인 중 독자적 증언록을 남긴 박순집의 증언 안에 담긴 박해의 체험과 기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병인박해 순교자들에 관한 교구 수속 작업은 1899년 6월 19일부터 이듬해 11월 30일까지 총 135회차에 걸쳐 개정되었다. 29위 순교자에 대한 100명의 증인들의 증언을 모두 취합하여 총 9권 분량으로 만든 수속 자료들은 1901년에 교황청으로 발송되었다. 그런데 시복 재판 증인 중 한 사람의 명의로 편찬한 증언 자료가 있으니 그것은 바로 『박순집 증언록』이다. 박순집은 교구 시복 재판 13-23회차의 증언을 하였다. 그리고 시복 재판 때 증언하지 않은 순교자들에 대한 증언도 하였다. 이 증언록 중에서 자신이 직접 증언한 부분은 교구 시복 재판 기록, 『치명일기』의 내용과 일부 겹치며 다른 사람의 증언을 편집한 부분은 『병인치명사적』의 부분과 상당수 겹친다. 그가 증언한 순교자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시복 재판에 오른 이들 중 그가 직접 순교를 목격한 이들, 그의 친인척 순교자들, 그가 목격했거나 전해 들었던 다른 순교자들이다. 박순집의 증언 안에서 드러난 박해의 경험과 기억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순교자들의 마지막을 목격한 경험, 순교자들의 유해를 수습하고 안장한 경험, 그의 가족과 친인척의 순교 사실을 접한 경험 등이다. 그리고 그의 증언 안에 드러난 병인박해를 겪은 생존 신자의 경험과 기억이 가지는 특징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신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순교를 영광스러운 기억으로 마음에 담고 있었을 것이다. 또한 순교자 유해를 수습 안장하는 과정에서 순교자 유해를 공경하며 여기서 초자연적인 기적이 일어날 것이라는 믿음이 생겼다. 이러한 영광스러운 기억들이 있는 반면에 심적 혹은 경제적으로 처절한 고통도 동반한 어려운 기억 및 경험도 컸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point of experiences and memories of Joseon Catholic Church faithfus in Byung-In persecution focusing on Park, Soon-Jip’s witness. After examining the documents of Byung-In persecution canonization trial and its process, look into Park, Soon-Jip’s witness which was the unique testimony of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in Byung-In persecution. The diocesan trial process of Byung-In persecutors was held 135 times from June 19th, 1899 to November 30th, 1900. The 9 book volumes of documents of 100 people’s witnesses on 29 persecutors were sent to Roman Curia in 1901. Among them, there was one volume of witness under one name, which was “Park, Soon-Jip witness”. Park, Soon-Jip has witnessed during the 13th-23rd canonization trial. And he witnessed about the untold persecutors in canonization trial. His own witness in this book, diocese canonization trial documents, and “Chi-Myung(mortal) diary” are partly coincided, other people’s edited witness are mostly coincided with “Byung-In Chi-Myung Sa Jeok(mortal documents)”. The scope of persecution that Park witnessed are followed; eyewitness of those who are in the canonization trial, his relative martyrs and the martyrs who he witnessed with his own eyes or heard from other people. It can be divided into 3; those persecution experiences and memories revealed in Park, Soon-Jip’s witness are; 1) Experiences of eyewitness of the last scene of martyrs(execution). 2) Experiences of burying martyr’s dead body. 3) His own experiences of dealing with his family and relatives martyrdom. An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s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those who has faced and left from Byung-In persecution are; from faith point of view- 1) He would perceive martyrdom as a glorious memory in his heart. 2) during his burying of martyr’s corpse, he would respect martyr’s remains and got to have a faith that supernatural miracle could come from there. Besides than such glorious memories, experiences and memories of mental or economical sufferings and pains would be accompanied.

      • [논단 6] 인천교구 관할지역 관련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에 대한 사료 연구 : 다블뤼의 기록과 여타 기록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김규성 인천가톨릭대학교 2013 누리와 말씀 Vol.- No.34

        본 논문의 목적은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 중 인천교구 관할지역과 관련된 이들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달레의『한국천주교회사』에 바탕이 된 다블뤼의『조선 순교사 비망기』와『조선 순교자 약전』을 분석하고 다른 기해 병오박해 관련 기록들과도 비교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다블뤼의 기록에 나온 인천지역 관련 순교자들은 모두 6명으로 김성임 마르타, 이군겸 야고보, 장 아나스타시아, 심조이 바르바라, 우술임 수산나, 민극가 스테파노 등이 이에 속한다. 김성임은 부평 출신으로 나오며, 우술임은 인천에서 신앙생활을 한 것으로 나오며, 다른 이들은 인천 출신으로 나온다. 동시대 자료들과 비교해 볼 때 이들의 출신 지역에 대한 언급이 없는 자료들이 더 많다. 김성임이 부평 출신이라는 언급이『기해일기』,『기해 병오박해 순교자 목격 증언록(이하 순교자 증언록)』,『조선 순교사와 순교자들에 대한 보고서』에 있으며 민극가가 인천 지역에서 활동했다는 언급이『순교자 증언록』과 관찬 기록에 나와 있다.『순교자 증언록』에는 이호영 베드로와 이 아가타 자매가 인천 지역 출신이라는 증언과 최경환 프란치스코가 부평에서 거주하였다는 증언이 나와 있다. 이는 다블뤼의 기록에는 없는 내용이다. 또한 관찬 기록에서는 장 아나스타시아로 추정되는 인물이 배교했다는 상반된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료 분석 작업을 통해 기해 병오박해 때에 인천 지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순교자들이 결코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순교한 장소는 서울이나 다른 지역이었으나 출신지와 활동 장소는 인천 지역인 순교자들이 10명 정도로 추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를 이루었다는 이야기가 없으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도 미미하다. 민극가만이 이 지역에서 교리교사로서 열심히 활동하였다는 언급만이 있다. 비록 그 원형을 상세히 알 수는 없지만 민극가의 활동을 보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가 존재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rtyrs who are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Firstly, analyze “Korean Martyrs Memorandum” and “Sketch of Korean Martyrs” written by Daveluy, those were the foundation of Dallet’s “Korean Church History”, then move to other relative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rchives for comparison. According to Daveluy’s documentation, there are 6 martyrs in the region of Incheon; Kim Sung-Im Martha, Lee Kun-Kyum James, Jang Anastasia, Sim Joi Barbara, Woo Sul-Im Susanna and Min Kuk-Ga Stephano. Kim Sung-Im was from Bu-Pyung and Woo Sul-Im has practiced her faith in Incheon, and the others were from Incheon. Comparing other records in that period, there aren’t many records which mention their birth places. In “Ki-Hae Diary”,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eyewitness testimony-(hereafter ‘Martyrs testimony’)”, “Korean Martyrs history and the record” mentioned that Kim Sung-Im was from Bu-Pyung. The article that Min Kuk-Ga acted in the region of Incheon is written at “Martyrs testimony” and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In “Martyrs testimony”, there’s a testimony that Lee Ho-Young Peter and Lee Agatha sisters were from the region of Incheon and Choi Kyung-Hwan Francisco lived in Bu-Pyung. These are not written in Daveluy’s record. In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there is a conflicting record that a person presumed Jang Anastasia became an apostate. Through examining those record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martyrs who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irectly and indirectly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lthough execution places were either Seoul or other places, but estimated there were 10 martyrs whose birth places and/or acting places were the region of Incheon. But there was no record that they had faith community in Incheon area, only small records about their roles are shown. There was a reference that Min Kuk-Ga actively practiced his faith as a catechist only. Even though there was no detail record, but presumed that there was a faith community in the region of Incheon through Min Kuk-Ga’s activity.

      • 척사윤음 불역본 연구

        김규성 인천가톨릭대학교 2018 누리와 말씀 Vol.- No.43

        본 논문은 척사윤음의 불역본에 대해 다루었다. 척사윤음의 원문과 프랑스 어 번역본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점에 대한 서지적 분석을 하였다. 이어서 이 문헌이 순교자 시복 자료에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었는지 파악하였다. 달레는 신유척사반교문을 번역하면서 주석을 달았다. 달레는 이러한 주석 을 통하여 유럽의 독자들의 이해를 도우며, 그들에게 생소한 중국이나 조선의 상황에 대해서 제대로 전달해 주려고 하였다. 그러나 원문과 다른 번역이나 해석이 나왔으며 일부 원문은 축약하거나 생략하여 번역을 하였다. 이는 단순 한 착오로 이해 부족을 이유로 삼을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조선 천주교 가 박해받는 부분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도 있었을 것이다. 뮈텔은 3종의 척사윤음을 프랑스어로 번역하면서 주석을 통하여 해당 용어 에 대한 부연 설명을 하였다. 뮈텔의 번역본과 원문을 대조해 보면 거의 일치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달레의 불역본에 비하여 매우 정확한 것으로 평가 받을 수 있다. 이렇게 비교적 정확한 번역이 나오게 된 데에는 뮈텔이 조선에 장기간 체류하면서 조선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 며, 그의 한문 실력이 탁월하였다는 점도 들 수 있다. 척사윤음은 박해자 측의 입장이 명확하게 드러난 자료이기 때문에 교회 측 은 순교자 시복작업에 이 자료를 활용하였다. 천주교를 박해한 조선 정부 측에 서 천주교 신앙에 대한 분명한 증오심을 갖고 있었음을 확실히 증명한 자료로 활용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This thesis study on French Translation of Cheoksa-Yunum(척사윤음). A bibliographical analysis was mad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texts of Cheoksa-Yunum(척사윤음) and the French translations. We then look at how this document was reflected and influenced by the document of martyr's beatification. Dallet commented while translating Sinyou-Cheoksa-Bangyomun(신유척 사반교문). Through these comments, he helped to understand the European readers and to give them a good idea of the unfamiliar situation of China and Korea. However, some interpretations and translations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ext, and others texts were abbreviated or omitted. This may be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due to a simple error, but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 was to emphasize the part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that was persecuted. Mutel translated the three types of Cheoksa-Yunum(척사윤음) in French and commented on them in annotations. It can be seen that his translations and original texts are almost identical. It can be evaluated as very accurate compared to the irregular pattern of the Dallet. The reason for this relatively accurate translation was that Mutel had a long knowledg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while staying in Korea for a long time, and his talent in the Chinese language was excellent. Since this document clearly shows the position of the persecutors, the church has used this data for precedures of martyr's beatification. It was intended to use as evidence that the Korean government persecuting Catholicism had a clear hatred of the Catholic faith.

      • '파리외방전교회지'에 나온 만주국 시기 가톨릭 교회 상황에 대한 연구

        김규성 인천가톨릭대학교 2023 누리와 말씀 Vol.54 No.1

        la Société des Mission Etrangère de Paris began to take charge of the Manchurian mission field in earnest when the Manchurian Vicariate was established in 1838, and tried to make this area a base for Korean missions. After 100 years, the Manchurian Vicariate was divided into several mission areas and transferred jurisdiction to other missions. However, they continued their activities in the Vicariate Apostolic of Moukden, the Vicariate Apostolic of Kirin. They continued to report on the internal situation of Catholicism during the Manchukuo perio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anchukuo government, and provided articles for Annales des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First of all, the overall trend of the Catholic Church in Manchuria was reported. Reports on church power statistics in the Manchuria region, reports on the activities of the head of the Vicar Apolstolic, and the process of division of missionary fields in Manchuria are presented. There was also a report about the bandit threat, which was the biggest concern at the time. Subsequently, articles about the activities of the Catholic Church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Kirin and Moukden vicarages appeared. The establishment and events of the parish in the vicariate, the recent status of clergy belonging to the vicariate, and the activities of the religious order came out. There was also an article about pastoral care of Korean believers who emigrated to Manchuria. There were also reports on the situation within the Catholic Church as well as the process of negotiations and the arrangement of relations with the Manchukuo government. At the time, the government of Manchukuo, like other religions, was using a dual policy of guaranteeing freedom of religion and state control over the Catholic Church. la Société des Mission Etrangère de Paris, which had been active in the mission field in Manchuria for more than 100 years, had no choice but to keep an eye on this situation. Annales des Missions Étrangères de Paris reports on the fact that Bishop Gaspe was granted the position of representing the Catholic Church in Manchukuo by the Congregation for Propagation of the Holy See, and that he subsequently negotiated with the Manchukuo government and held the Manchukuo Bishops' Conferenc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atholic Church in Manchukuo tried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the Manchukuo government, and la Société des Mission Etrangère de Paris not only did not deviate greatly from such a policy, but also actively cooperated. 파리 외방 전교회는 1838년 만주대목구가 설정되면서 본격적으로 만주 선교지를 관할하기 시작하였으며 이 지역을 조선 선교를 위한 거점으로 삼으려 하였다. 100년이 지난 후 만주대목구는 여러 선교지로 분할되고 다른 선교회에 관할권을 이양하였다. 하지만 그들이 담당한 봉천대목구와 길림대목구에서 활동을 지속하였다.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사들은 만주국 시기 천주교 내부의 상황과 만주국 정부와의 관계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고하며 󰡔파리외방전교회지󰡕에 기사를 제공하였다. 우선 만주 지역 가톨릭 교회의 전체 동향에 대해 보도하였다. 만주 지역의 교세 통계 보고, 대목구장의 활동 보고, 만주 선교지 분할 과정이 나와 있다. 당시 만주 선교지의 가장 큰 근심거리였던 비적 위협에 대한 보도도 올라왔다. 이어서 길림대목구와 봉천대목구 관할 가톨릭 교회의 활동상에 대한 기사가 나왔다. 대목구 내 본당 설립과 행사를 비롯하여 대목구 소속 성직자 근황, 수도회 활동이 나왔다. 그리고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 신자 사목에 대한 기사도 나왔다. 가톨릭 교회 내부의 상황 뿐만 아니라 만주국 정부와의 관계 정리와 교섭 과정에 대한 보도도 있었다. 당시 만주국 정부는 다른 종교와 마찬가지로 가톨릭 교회에 대해서도 신앙의 자유 보장과 국가적 통제라는 이중적인 정책을 쓰고 있었다. 만주 선교지에서 100년 이상 활동했던 파리 외방 전교회는 이러한 상황을 주시할 수밖에 없었다. 󰡔파리외방전교회지󰡕에는 이러한 상황에서 가스페 주교가 교황청 포교성성으로부터 만주국 가톨릭 교회를 대표하는 지위를 부여받은 사실과 이후 만주국 정부와 교섭을 하고 만주국 주교회의를 개최한 것에 대한 보도가 나온다. 이를 통해 만주국 내 가톨릭 교회는 만주국 정부와 우호 관계를 유지하려 하였고 파리외방전교회 역시 그러한 정책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매우 적극적으로 협조하는 입장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