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빈이 본 율법의 제3용법: 멜랑흐톤과의 공통점이자 차이점

        권경철 ( Gwon Gyeong-cheol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7 역사신학 논총 Vol.31 No.-

        율법의 제3용법은 루터가 아닌 멜랑흐톤에 의해서 그 개념이 정립되었다.멜랑흐톤 의 1534년판 골로새서 주석을 보면,율법 에는 세가지 목적이 있다고 하는데, 그 목적 중의 하나가 성도들을 위한 용법, 즉 율법의 제3용법이다. 그래서 율법에 복종하는 삶과 그리스도인의 자유가 상충되지 않고 공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생각은 멜랑흐톤의 1535년판 Loci communes에서도 계승되고 발전되었고, 결국 칼빈에게까지 계승되었다. 하지만 칼빈은 단순히 멜랑흐톤의 모방자가 아니었다.칼빈은 제3용법이야말로 율법의 으뜸되는 용법이라고 함으로써 멜랑흐톤과의 견해 차이를 보이게 된다.율법의 이러한 용법을 통해서 성도들은 날마다 하나님의 뜻을 알아가고 성화의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 칼빈의 생각이다. 이러한 견해차이의 이면에는 자유파에 대한 칼빈의 경계심이 자리잡고 있었다.칼빈 이 보기에는 율법의 제3용법이야말로 부도덕하고 광신적인 자유파들의 오류에 대한 해독제였다. The concept of the third use of the law is formulated not by Luther, but by Melanchthon. In his 1534 commentary on Colossians, Melanchthon describes three purposes of the law, one of which is the third use, the use for the saints. In doing so, Christian liberty is qualified by obedience to the law. Melanchthon also reiterates and develops this idea in his 1535 Loci communes. It is clear that Calvin inherits the third use from Melanchthon. Nevertheless, he is not just an imitator of Melanchthon. Calvin parts ways with Melanchthon when he regards the third use as the chief use of the law. Through this use, Calvin argues, the saints get to know God's will everyday and pursue sanctification. Calvin's shift indicates his concern about the libertines. For Calvin, the cure for the immoral and enthusiastic libertines is none other than the third use of the law.

      • KCI등재

        사무엘 러더포드의 『법과 왕』에 나타난 언약신학

        권경철(Gyeong Cheol Gwon)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9 갱신과 부흥 Vol.23 No.-

        사무엘 러더포드(Samuel Rutherford, 1600-1661)는 누구 못지않게 언약신학을 정치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적용한 신학자이다. 그의 정치적 언약신학은 1644년에 출판된 『법과 왕』에 잘 나타난다. 이 책에 제시되는 언약신학은 불링거, 칼빈, 베자, 프랑스 개신교의 저항사상, 알투시우스, 그리고 스코틀랜드 언약신학의 전통에다가, 영국내전이라는 시대상황이 맞물리면서 형성되었다. 러더포드는 『법과 왕』에서 자연법을 인정하며 자신의 논지를 뒷받침하는 증거로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 그의 자연법 이해는 멜랑흐톤과 칼빈의 그것과 일치한다. 또한 러더포드는 베자 등이 제시한 프랑스 개신교의 저항사상을 수용하여 요긴하게 활용하였다. 국왕언약, 국가언약, 엄숙동맹으로 이어지는 스코틀랜드 언약신학의 발전도 그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찰스왕과 로드 주교의 고위 성직자 제도는 그의 언약신학을 과격화시켰다. 그러므로 우리는 러더포드 언약신학 의 근원을 불링거와 알투시우스에게서만 찾는 환원주의적 경향을 지양해야 한다. Samuel Rutherford(1660-1661) was a theologian who applied covenant theology to the area of politics more actively than many others. The political aspect of his covenant theology was evident in Lex , Rex , which was published in 1644. The covenant theology presented in the book was shaped by various factors: Bullinger, Calvin, the resistance theory of Beza and the Huguenots, Althusius, the Scottish covenant theology, and the English Civil War. Rutherford’s concept of the law of nature, which was used as a piece of evidence in support of his thesis, was in line with Melanchthon’s and Calvin’s understanding. Moreover, Rutherford accepted the resistance theory of Beza and the French Protestants and made use of it. A series of covenants signed by the Scots, including the King’s Covenant, the Scottish National Covenant, and the Solemn League and Covenant, also influenced him greatly. Finally, his covenant theology was radicalized when King Charles and Archbishop Laud tried to imposed the prelacy on Scotland. Seen in this light, we need to beware of the reductionist tendency that finds the source of Rutherford’s covenant theology solely from Bullinger and Althusius.

      • KCI등재

        루터의 칭의론과 이슬람 비평: 시편 117편과 118편 주석을 중심으로

        권경철 ( Gwon Gyeong-cheol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8 역사신학 논총 Vol.32 No.-

        루터에 관한 연구가 많이 있지만, 루터가 이슬람을 비판한 것에 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 나마 있는 연구들도 학자들 간에서로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데이비드 최는 루터의 이슬람 비평이 목회적이었다고 하는 반면, 아담 프란시스코는 루터의 이슬람 비평이 신학적이고 변증적이었다고 한다. 에만의 경우, 루터의 이슬람 비판이 네 단계로 진화해갔다고 생각하며, 그라프튼은 루터가 1542년 전에는 목회적인 이슬람 비판을 주로 했고, 그 이후로는 신학적인 이슬람 비판에 신경을 썼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루터가 목회적인 이슬람 비평으로부터 신학적인 비평으로 옮아갔다는 주장을 거부한다. 왜냐하면 1530년에 시편 117편과 시편 118편 주석을 쓰면서, 루터는 복음의 핵심이며 신학과 목회의 중심이 되는 칭의론 교리를 이슬람이 거부한다고 비판한다. 루터가 보기에 기독교의 진수는 하나님의 은혜이고, 이슬람교도와 유대인 및 로마 가톨릭 교도들은 이 은혜를 거부하고 행위로 말미암아 의로움을 얻으려는 잘못된 사람들이다. 기독교와 다른 유사종교들, 즉 유대교와 이슬람과 가톨릭간의 대조에서 우리는 루터가 자신을 바울과 동일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복음의 재발견을 사도바울의 회심에 비견함으로써, 이신칭의가 없는 기독교는 기독교가 아니며 이슬람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주장한 것이다. 이신칭의론이 루터 신학과 목회의 중심에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루터의 이슬람 비평에 있어서도 목회적인 비평과 신학적인 비평을 분리할 수 없으며, 루터가 어느 순간부터 목회적인 태도를 벗어나 신학적인 이슬람 비판으로 옮아갔다는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 Despite a spate of research on Luther, not enoug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Reformer's critique of Islam. There are only three book-length studies on the subject. To make matters worse, there is no scholarly consensus on the exact nature of Luther's critique on Islam. David Choi focuses solely on Luther's pastoral reaction to Islam, while Adam Francisco emphasizes a theological and apologetic aspect of Luther's approach. Ehmann describes four possible phases of Luther's criticism and Grafton suggests that a theological shift of Luther's criticism takes place in 1542. In this article, I will argue that an alleged turn from pastoral critique of Islam to theological is implausible, because in 1530, in his commentaries on Psalms 117 and 118, Luther accuses Islam of its disregard for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which lies at the center of his theology as well as pastoral ministry. The essence of Christianity is God's grace, but for the Muslims, Jews, and Catholics, their work is of primary importance. This contract reflects Luther's rediscovery of the Gospel of grace. Under Rome, Luther resembled Saul and Muslims, who boasted about their works-righteousness and persecuted Christians. It was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that made Paul and Luther Christian. Because of Luther's Pauline identity and the centrality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n Luther's thoughts on everything including Islam, we should neither separate Luther's pastoral concern from his theological interest nor pinpoint a moment of his alleged turn from pastoral critique of Islam to apologetic reaction to it.

      • KCI등재

        그리스도의 구약 언약 보증에 대한 프랑수아 투레티니(1623-1687)의 견해 : 투레티니와 레이데커의 견해에 나타난 양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권경철(Gyeong Cheol Gwon)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6 No.-

        17세기 이탈리아계 제네바 신학자 프랑수아 투레티니(1623-1687)는 개신교 스콜라주의의 금자탑이라고 할 수 있는 『논박신학강요』를 후대에 남겼다. 그가 그 책에서 다루는 주제들 중에는 그리스도의 구약 언약 보증과 구약 성도의 지위를 놓고 벌어진 요하네스 코케이우스(1603-1669)와 히스베르투스 푸치우스(1589-1676) 사이의 논쟁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이 부분을 그다지 주목하지 않아왔기에, 이 논문에서 필자는 투레티니가 멜키오르 레이데커(1642-1721)의 푸치우스주의에 어느 정도까지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투레티니가 레이데커를 지지한다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이 공백을 메우려고 한다. 필자는 투레티니는 『논박신학강요』 제2권에 수록된 주제12번의 질문9-10번과 레이데커의 Vis veritatis를 비교하면서, 레이데커와 투레티니가 공통적으로 그리스도의 보증은 구약에서나 신약에서나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투레티니와 레이데커에 따르면, 택한 백성의 죄악은 약속의 보증이신 그리스도의 공로로 인해 구약에서나 신약에서나 완전하게 사함받는 것이다. 하지만 투레티니는 레이데커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도, 레이데커가 익명의 코케이우스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한 부분만큼은 그대로 차용하지 않는다.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투레티니는 레이데커와 다른 주장을 하지 않고 푸치우스주의의 울타리안에 머무르면서도, 좀 더 부드러운 태도로 코케이우스주의자들에게 다가간다. 따라서, 투레티니는 전투적이지 않고, 유화적인 태도로 코케이우스주의자들을 대한 푸치우스주의자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투레티니의 입장이 레이데커로 대표되는 푸치우스주의자들의 그것과 다른 것처럼 묘사하는 반 아셀트의 입장은 어느 정도 수정이 필요하고, 투레티니의 부드러운 태도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은 채 그를 푸치우스주의자라고만 단순화해서 묘사하는 것 역시도 수정이 필요할 것이다. The Italian-Genevan theologian in the seventeenth century, François Turrettini(1623-1687) bequeathed the paragon of Reformed Scholasticism, 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 One of the topics he investigated was the debate over Christ’s suretyship and the saints’ status under the Old Testament between Johannes Cocceius(1603-1669) and Gisbertus Voetius(1589-1676). Up to this point, his take on the debate has largely been overlooked in the academic circle. In order to fill this scholarly gap, I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urrettini had been affected by the Voetianism of Melchior Leydekker(1642-1721) and prove that Turrettini aligns himself with Leydekker. By comparing Turrettini’s Institutes of Elenctic Theology, Book 2, twelfth topic, questions 9-10 with Leydekker’s Vis veritatis, I show that both of them share the belief that Christ’s suretyship in the Old Testament is identical to what it is in the New. Thanks to Christ, the surety for God’s promise, the sins of the elect must be fully forgiven in the Old Testament as well as in the New. Nevertheless, Turrettini does not follow Leydekker when it comes to Leydekker’s bitter criticism directed at the anonymous Cocceian. Turrettini takes a conciliatory gesture towards the Cocceians inasmuch as he stays in the Voetian camp. Seen in this light, Turrettini can be regarded as the Voetian theologian whose attitude toward the Cocceians is non-militant and conciliatory. Hence, both Van Asselt’s argument, which distinguishes Turrettini’s position from that of the Voetians, whose champion was Leydekker, and overly simplified description of Turrettini as one of the Voetians while omitting the details of his conciliatory gestures, should be somewhat revi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