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악 관련 특수분야 교원연수에 관한 연구

        곽은아(Eun Ah Kwak)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1 No.31

        2007 개정 교육과정으로 음악 교과서 내의 국악의 비중이 늘어났고, 굿거리, 자진모리, 메기고 받는 방식 등 국악의 기본적인 이론 뿐 아니라 시김새, 정간보, 육자배기조, 창극, 시조 등과 같은 국악의 전문적인 개념까지 음악 교과과정에 포함되었다. 대부분의 현직음악교사들은 교원양성과정에서 국악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하거나, 서양음악을 전공하여 제7차 음악교과 개정에 따라 국악수업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제대로 된 국악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는 현직음악교사들의 국악 재교육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특수분야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연구한 자료는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제시한 2011년도 특수분야 직무연수이며, 이를 '지역청·본청·직속기관', ‘초등학교’, ‘서울교육연수원(외부기관)’, ‘교육연구정보교육원’의 네 가지 기관으로 나누어 각 기관의 국악관련연수 과목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지역청·본청·직속기관’ 특수분야 직무연수의 전체 연수과정은 총 86개 과목 이었고 그 중 국악관련연수는 1과목이었다. 하지만 해당 국악관련과목은 유지원 교사 대상의 연수이고, 본고의 연구범위인 서울시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직무연수와는 무관하여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둘 째, ‘초등학교’의 특수분야 직무연수는 총 16개 과목으로 그 중 국악관련연수 과목은 1개가 개설되어 전체 연수과목의 약 6.26%의 비율을 차지했다. 해당 국악관련과목은 ‘서울연은초등학교’에서 개설한 ‘교사 단소 장구 직무연수’로 이수시간은 30시간, 계획인원은 총 40명으로 구성되어 음악교사들에게 단소와 장구를 효율적으로 교육시키기 위해서는 계획인원조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셋 째, ‘서울교육연수원(외부기관)’의 특수분야 직무연수는 총 150개 과목이었다. 그 중 음악관련연수는 총 45개 과목이고, 국악관련연수는 총 16개 과목으로 서울교육연수원(외부기관) 의 음악관련연수 중 약 35.55%를 차지했다. 이는 총 29개 과목이 개설되어 약 64.44%를 차지한 서양음악관련연수에 비해 그 비율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서울교육연수원(외부기관)의 국악관련연수는 총 5개 연수기관에서 담당하고 있었으며, 이수시간은 대부분이 30시간으로 배정되었고, 계획인원의 구성은 각 연수과목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수시간과 계획인원구성을 비교하였을 때 대부분의 국악연수과목들이 이수시간에 비해 계획인원이 많아 연수에 참여하는 음악교사들이 질 높은 연수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넷 째, ‘교육연구정보교육원’의 특수분야 직무연수는 총 379개 과목이었다. 그 중 음악관련연수는 총 43개 과목이고, 음악관련연수 중 국악관련연수는 총 28개 과목으로 약 65.11%를, 서양음악관련연수는 총 15개 과목으로 약 34.88%를 차지했다. 서양음악관련연수에 비해 국악관련연수의 비율이 높았으나 이는 ‘서울초등풍물교육연구회’와 같은 국악특화연수기관에서 국악관련연수의 상당부분을 개설하였기 때문이다. 앞으로 ‘서울초등음악교과연구회’나 ‘서울중등음악교과연구회’ 와 같은 초·중·고등학교 음악교과연구기관에서도 국악관련연수를 적극적으로 개설하여 현직음악교사들의 국악 재교육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서울초등음악교과연구회’나 ‘서울중등음악교과연구회’와 같은 초·중·고등학교 음악교과 연구기관에서 국악관련연수 과목이 거의 개설되지 않아 여전히 음악관련연수가 서양음악 중심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교육연구정보교육원’의 국악관련연수 과목을 살펴본 결과 ‘서울초등풍물교육연구회’의 음악 교육과정 감상 영역의 사물놀이 지도법 등 교사가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과목이 많아 그 실효성에 있어서는 높이 평가할 만하다. 2011년도 특수분야 연수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현직음악교사들의 효율적인 국악 재교육을 하려면 국악관련연수 과목의 증설과 각 과목의 계획인원 조절을 통해 국악관련연수의 환경을 개선하고, 국악특화연수기관 이외 음악 연구기관에서의 국악관련연수 개설을 통해 현직음악교사들이 국악과 서양음악을 균형 있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현장에 바로 투입 될 수 있는 실효성 높은 국악관련 연수 과목을 증설하여, 현직음악교사들의 국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뿐 아니라 국악 교수법의 실력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an amendment of music textbooks in 2007, the ratio of Korean music in the textbook has been increased, and not only basic theories of Korean music, such as gutgeori, jajinmori and call and response, but also special theories, such as sigimsde, jeongganbo, yookjabaegijo, changgeukand sijo, are included. Malt of current music teachers, however, have not had proper training about Korean music during their teacher training, or major in western music. Even though Korean music classes have been increased followed by the 7<SUP>th</SUP> amendment of the music curriculum, therefore, Korean music has not been taught in the real classroom settings. This study has divided 2011 workshops for the special fielddesignated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to 4 categories-'district office, main office and directly owned organizations', 'elementary school', 'Seou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and 'Seoul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 and shown the Korea music related training subjects of each institute. The conclusion to be drawn here is following. First, in the special field workshops of 'district office, main office and directly owned organizations', there is I Korean music related workshop out of 86 in totals. The workshop is, however, excluded from this study since it is aimed at kindergarten teachers, therefore, irrelevant to the range of the study -workshops fur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Second, in the special field workshops of 'elementary school', there is 1 Korean music related workshop out of 16 in totals and comprises 6.26%. It is 'danso and janggu workshop for teachers' at Seoul Yeoneun elementary school. Since it Comprises 30 hours of training for 40 people, it needs to adjust the number of people in order to give a lecture effectively to the music teachers. Third, in the special field workshops of 'Seou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there are 150 courses. Among them, there are 45 of music related workshops and 16 of Korean music related workshops -comprises 35.33%. It can be mentioned that it is given much less weight comparing to 64.44% of the western music related workshop which has 29 courses in totals. The Korean music related workshop of 'Seou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was managed by 5 institutes. Most of them require 30 hours of course study, and participants’ number is varied according to each course. As comparing to course hours and the number of person, it implies that music teachers are hardly be able to have a quality workshop since there are too many participants in comparison with course hours. Lastly, in the special field workshops of 'Seoul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there are 379 courses. Among them, there are 43 of music related workshops and 28 of Korean music related workshops-r comprises 65.11%-, while there are 15 of western music related workshops and comprises 34.88%. Although the percentage of Korean music courses is higher than that of western music, it is because institutes specialized in Korean music, such as ‘Seoul cbodeung pungmul gyoyook yeongubon’, offer a large amount of Korean music courses. It is also worth to mention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research institutes, such as 'Seoul chodeung eumak gyogwa yeonguhoi' or 'Seoul joongdeun eumak gyogwa yeonguhoi', offer more Korean music courses in order to give more chances of Korean music training to music teachers. Proceeding from what has been said above, it should be concluded with followings for the effective Koreanmusic training of current music teachers: (1)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Korean music related workshop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Korean music courses and adjust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2) to give balanced training between Korean music and western music through offering Korean music related workshops at music research institute except Korean music s

      • KCI등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석·박사학위논문 연구현황과 과제

        곽은아 ( Eun Ah Kwak ),김희선 ( Hee-Sun Kim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3

        이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의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현황과 과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4년 설립된 국악과/한국음악과는 1978년 석사학위과정을, 1988년 대학 국악과 최초로 국악실기 박사학위과정을 개설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1976년부터 2021년 8월까지 발표된 378편의 석·박사학위논문이다. 석사학위논문은 1970-1980년대 고악보 연구, 정악기악(영산회상, 여민락, 취타 등), 정악성악(가곡, 십이가사), 가야금 산조, 대금산조 연구를 시작으로 1990년대 이후 줄풍류, 의궤 연구, 다양한 악기의 산조, 판소리, 가야금 병창, 민요, 잡가, 시나위, 봉장취, 연희 등으로 연구대상이 확장되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창작곡 연구는 황병기 가야금 창작곡 분석연구를 시작으로 점차 다양한 작곡가의 창작곡, 창작곡을 위한 연주법 등으로 연구대상과 연구주제가 확장되었다. 1990년대부터 국악학계 전반의 흐름을 담은 고음반, 북한음악 악곡분석, 근현대 음악사 등의 연구와 시대적 흐름에 따른 실용적이며 현장 중심 연구인 마이킹, 국악정책 등도 발표되었다. 이러한 연구대상과 주제는 각각 101편, 126편으로 가장 많은 졸업생을 배출한 2000년대와 2010년대에도 지속되었다. 박사학위논문은 2002년 최초의 국악실기 박사학위논문 발표 이후 2021년 8월까지 48편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박사학위논문은 석사학위논문에 비해 포괄적인 대상과 주제로 확장되었으나 주요 연구방법은 선율, 조, 악장, 장단 등 음악내적구조 분석, 고악보 수록악곡비교를 통한 형성과정 고찰, 단일 악곡분석, 악기 간 선율비교, 성악과 기악반주선율비교 등으로 석사학위논문과 유사하다. 실기전공 최초의 석·박사학위과정 개설이라는 앞서가는 행보를 보여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는 기악과 성악 분야에서 최초의 학위논문이 다수 발표되고 창작음악 연구에서 두드러지는 성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실기전공 중심의 연구의 한계를 넘어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주제와 확장된 연구시각을 확보하는 일은 중요한 미래의 과제라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of research for M.A. theses and Ph.D. dissertation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its prospects. Established in 1974 within the College of Music,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egan its M.A. degree program in 1978. The Department changed its name from Gugak-gwa (department of traditional music) to Hangukeumak-gwa (department of Korean music) in 1980, and its first Ph.D. degree program for majors in musical instruments or voice was established in 1988; most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written by musicians rather than musicologists. This paper analyzes 378 theses and dissertations from 1976 to 2021. Research topics of early M.A. theses included old notation, analysis of individual pieces of court and literati music such as Yeongsanhoesang, Jongmyojeryeak, Yeomillak, Boheoja, the gagok classical song cycle, the twelve surviving gasa, and folk music such as gayageum sanjo, pansori, minyo folk songs, and gayageum byeongchang. Early analyses of individual contemporary compositions for traditional instruments have expanded to studies of composers, playing techniques for new compositions and playing techniques. From the 1990s, new topics including North Korean music, modern music history, recording techniques, traditional music-related policy, and others have appeared, paralleling changes in society. Major research methodologies are comparison, analysis of musical elements, and melodic analysis among various instruments in musical pieces. Since the first Ph.D. dissertation in 2002, a total of 48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the subjects and topics broader and expanded compared to M.A. theses. As the first M.A. and Ph.D. degree program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Korean Music at Ewha Womans University, numerous thesis and dissertation “firsts” in several major fields in instruments and voice were published; these were major achievements for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maller numbers majoring in Korean musicology than instruments and voice majors, expansion of research topics and perspectives remains as imperative in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 KCI등재

        일 상급종합병원 암환자 고객경험관리

        원영화 ( Won Young Hwa ),김지혜 ( Kim Ji Hye ),정은희 ( Jung Eun Hee ),곽은아 ( Kwak Eun Ah ),양윤정 ( Yang Yun Jung ),신순자 ( Shin Soon Ja ),김연희 ( Kim Yeon Hee ),김정혜 ( Kim Jeong Hye )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on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intent to revisit the hospital and also to identify empathy ability of oncology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376 cancer patients and 190 oncology nurses from a tertiary hospital in Korea. Cancer patients'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intent to continue using the hospital were measured and empathy of oncology nurses was measured using Empathy Construct Rating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sup>2</sup> test,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intent to continue using the hospital were higher in patients who received the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program than those who did not. Oncology nurses' ability to empathize was high. Clinical career, participate in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and education level together explained 20% of variance in empathy ability of oncology nurses.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confirm that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affects patient satisfaction with nursing service and intent to continue using the hospital.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reaffirm the empathy ability of the oncology nurses and to identify the related various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