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행 노인복지법의 규범적 타당성 관점에서의 비판적 분석

        강이근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present welfare law for the aged was cri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norm validity to see how normative it is when judging from the Constitutional ideas of Korea. An improvement plan to consider the norm validity of the present welfare law for the aged is expected to be found, with use of a frame of reference called content systematization among systems of social welfare law through a documentary survey, by analyzing and discussing realization of rights as a fundamental social right, recognition of a subject of rights, and the nature of rights to clarify them; qualifications and limits of people who are eligible to receive senior welfare; requirements, types, and levels of senior welfare remuneration; principles of a nation's responsibilities-mandatory and non-mandatory provisions and a financial burden; scope and scales of legal protection of human rights for the aged; etc.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from this study. First, with regard to the nature of rights-the fundamental social rights-it is considered that the welfare law for the aged, as a social welfare service law, should be legally bound to give shape to the ideology and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as a law subordinate to the constitution and secure the governmental performance of obligations and the right of the people, and the old who will benefit from the welfare law for the aged should be recognized as a subject of rights and the individual rights should be clearly defined to fully ensure the ideology of the constitution that secures the rights of the people. Second, with regard to qualifications and scope of people who can benefit from the senior welfare, the criterion of the aged which is indirectly defined in the present welfare law for the aged needs to be defined in the provisions, and a discussion should be followed on whether the age of 65 is a valid criterion to decide the old, give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it has turned into an aging society and is changing into a super aged society. Although it may not be easily discussed because this criterion is in connection with the age criterion for pensioners defined in other laws, now is the time to socially make it into public opinion. Third, the senior welfare wage needs to be diversified to make up for the increased average life span and the aging society together with the wage increase to truly secure their lives, and, especially, governmental preparation for policies and strengthening of systems as well as individual preparation is required to secure the old age income since it is expected that the old will have more trouble in earning money. Fourth, non-mandatory provisions that read 'may', 'should make an effort to(encourage)', and others should be changed into a mandatory provision that reads 'must'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and 'the principle of the financial burden' which will oblige the nation and the local government to bear expenses should be secured. Fifth, the human rights for the aged should be legally secured. Declarations, plans, principles, and goals alone may not be sufficient enough to achieve an actual goal. Although people need to change the way they understand the human rights of the aged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pecified legal human right that secures the international principles for the human rights of the aged and the human right provisions set forth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본 연구는 현행 노인복지법이 우리나라 헌법의 이념에 비추어 어느 정도의 규범성을 담보하고 있는가에 관하여 규범적 타당성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방법을 통한 사회복지법제 체계 중 내용적 체계화라는 준거 틀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사회적 기본권으로서의 권리실현과 권리주체 인정 및 권리의 명확화를 위한 권리성, 노인복지대상자의 자격요건과 범위, 노인복지 급여의 요건․종류 및 수준, 국가의 책임성인 임의규정․강행규정 및 재정부담 원칙, 노인인권의 법적 보장의 범위와 척도 등에 관한 분석과 논의를 통하여 현행 노인복지법의 규범적 타당성을 제고하는 개선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본권으로서의 권리성에 관하여는 사회복지서비스법인 노인복지법은 헌법의 하위법률로서 헌법의 이념과 정신을 구체화해야 하고 국가의 의무이행과 국민의 권리를 보장해야 할 법적 의무를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하며 노인복지법에서 사회적 기본권으로서의 권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노인복지법의 대상자인 노인들을 권리의 주체로 인정하고 개인의 권리를 명확하게 규정하여 국민의 기본권 보장이라는 헌법의 이념을 보다 충실하게 담보하여야 한다. 둘째, 노인복지 대상자의 자격요건과 범위는 현행 노인복지법에 간접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노인의 기준을 조문에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여 초 고령사회로 치닫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 비추어 65세라는 연령이 노인의 기준으로서 과연 타당한 것인가에 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물론 이 문제는 타 법령에 규정된 연금 수급에 관한 연령기준과 맞물려 있음으로 해서 쉽게 논할 사안은 아니지만, 이젠 사회적 공론화가 필요한 시점에 왔다고 본다. 셋째, 노인복지 급여에 관하여는, 고령화 사회의 진행과 함께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급여종류의 다양화와 함께 실질적인 보장을 위한 급여수준의 향상을 필요로 하며, 특히 노년기 소득마련의 어려움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개인적 준비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정책마련과 제도강화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국가의 책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할 수 있다’ ‘노력(조장)하여야 한다’ 등으로 되어 있는 임의규정 조항을 ‘하여야 한다’는 강행규정으로 전환하여야 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을 부담한다는 ‘재정부담 원칙’을 확보하여야 한다. 다섯째, 노인인권의 보장은 무엇보다도 법적인 보장이 담보되어야 한다. 선언이나 계획, 원칙, 강령만으로는 실효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노인인권에 관한 인식의 전환이 우선 전제되어야 하겠지만 고령자의 인권보장을 위한 국제적인 원칙과 우리나라 헌법에 보장된 인권조항을 담보하는 구체화 된 법적인 인권보장의 측면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