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조의 변이 양상

        강명혜(Kang Myeoung-Hye) 한국시조학회 2006 시조학논총 Vol.24 No.-

        시조는 발생초기부터 당대의 역사 시대적 배경에 따라 그 틀과 내용이 조금씩 변하면서 융통성있고 유연하게 적응해 왔다. 이런 점이 당대의 시대적 배경이나 사상, 실태 등을 반영해서 당시의 독자들의 공감대를 이끌어낼 수 있었으며, 그러면서도 시조를 시조답게 하는 시조성만은 그대로 고수해 왔기에 ‘시조’라는 장르가 현재까지도 생존할 수 있었다. 어느 시대나 어떤 배경에서나 어떤 상황에서도 3장이라는 정형성은 지켜졌으며, 3, 3조나 3, 4조를 유지했고, 또 종장의 첫 구 3자도 고수했다. 이러한 시조성은 시대적인 간극에도 불구하고 ‘시조’라는 공분모 안에 모두 수렴시킬 수 있는 동인을 마련했다. 한국시가에 있어서 시조는, 공적 기능에서 사적 기능으로 변모가 이루어진 최초의 양식으로서, 그 변이과정을 살펴본 결과, 고려말~조선조의 평시조는 그 당시 조류에 부합해서 시조 텍스트를 載道之器로 보아 이중적인 의미의 채색, 상징성 부여, 다채로운 문장 수식 등은 나타나지 않지만, 明天道ㆍ正人倫를 지향하는 성현의 가르침을 溫柔敦厚하게 나타내고자 노력했다. 주제는 주로 그 당시 상황과 부합되는, 송축, 절의, 정쟁, 훈민, 한정, 강호도가, 안빈낙도, 애정 등이었다. 조선조 후기에 오면서는 辭說時調가 활성화하기 시작한다. 사림파의 득세와 兩亂, 실학의 도입 등으로 조선조 후기에는 인식의 변화를 겪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가 시가 양식에도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사설시조는 당대의 봉건주의 파괴, 유교적 모랄에 대한 반발, 근대적 특성 보유, 남녀평등 사상, 지배층에 대한 고발 및 저항정신 등이 주축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저항적ㆍ리얼리즘적ㆍ현실지향적인 성향을 띠며, 특히 고발문학, 저항문학의 지반을 형성하는 장르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무엇보다도 잡다한 일상사에 대한 상세한 묘사와 현실 생활에 대한 깊은 관심, 그에 대한 사실적, 구체적 표현은 사실주의 정신의 매개항이 된다는 점에서 근대성이 반영되어 있다고 보았다. 1905년 이후 신문에, 형식이나 내용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존의 평시조나 사설시조에서 변이된 형태를 취하는 일군의 시조가 등장했다. 변이된 형태는 시조 텍스트의 형식과 내용뿐만이 아니라, 수용적 측면에서도 일어났다. 이때부터 시조는 ‘읊고 부르는 형태’에서 주로 ‘읽는 기록물’로 인식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변이된 시조 형태란, 당대의 시대를 풍자하는 “흥, 내지 흐응”이 삽입된 것, 종장의 어미가 생략된 것 등을 말한다. 이러한 형식은 긴박한 상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기는 하지만, 고시조의 틀, 즉 율격이나 자수에서 많이 이탈되어서인지, 그 생명은 길지 못했다. 그러다가 192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해서 시조부흥운동이 일어나면서부터 시조 창작은 다시 활기를 띠게 되는데 시조부흥운동은 최남선에 의해 주도되었다. 詩作 초기에는 서구지향의 시와 시조들 병행해서 쓰던 육당 최남선이, “朝鮮國民文學으로서의 時調”라는 글을 통해 시조의 중요성과, 소중함을 언급하면서 시조부흥 운동을 선도한다. 그는 시조집, “백팔번뇌”도 출간하는데, 그의 전 시조집을 관통하는 것은 ‘조국 사랑’이라는 일 주제였다. 결국 육당은 고시조를 민족정신의 일환으로 보고, 시조양식을 채택하여 그 당시의 역사 사회적인 상황에 부합되는 주제를 표출한다. 결국 육당도 시조 텍스트를 載道之器로 여겼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의 시조는 現代性과 時調性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는 어려움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전자에만 치중한다면 자유시와의 변별성이 문제가 되며, 후자를 고수하려니 고루하고, 시적 묘미가 없다는 비난을 감수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많은 작가들에 의해 평시조가 지속되고 있다는 것은 시조가 지니는 원형성에 대한 매력을 감지해서일 것이라고 보았다. 그들 중 특히 선정주의 작품에 주목했는데, 그 이유는 여러 가지이지만 특히 근대의식, 사회비판정신, 고발의식, 사실주의 정신 구현, 서민의식, 산문체ㆍ일상어 지향 등, 사설시조의 특징 및 성향을 잘 구현, 반영하면서 그 맥을 잇고 있고 있다는 점 때문이었다. 이렇듯이 현대의 시조 작가들은 우리의 고시가 형식을 다양하게 선택해서 다양한 주제를 표출하고 있었다. 여기서 추정할 수 있는 사실은 이러한 시조의 유연성은 앞으로 시조의 생명을 항구적으로 할 것이라는 것, 그리고 역사 시대적 변화와 상황 하에서 다시 새로운 양상을 취할 가능성을 보인다는 것, 그리고 이 ‘시조’는 한국인의 ‘영원한 정형시 장르’로 남을 것이라는 사실이었다. Korean verse has flexibly changed its form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imes. This fact arouses reader sympathy because it has reflected ideas, historical aspects and realities of the times. However, korean verse has kept its own characteristics in some ways, allowing it to exist today. It holds its form as 3 verses of three by three or four meter and three letters of the last of three verses. It makes every different version which has specific aspects of each times in the same 'sip' area. 'Sip' in Korean poems, is the first form that has been changed from formal to private functionally. As a result of that common verses in the Goryeo to Joseon eras were going with the stream of the times. Verse was the plate for justice so that there was no double meaning, symbols, or technical sentences. It had to show the idea of Myungchundo Jwonginryun. The theme was commonly fitted within certain areas, such as blessings, fidelity, devotion, etc. Around the end of the Joseon era, there was activation of private verses - a form of sijo with no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the first two verses. Some ideas had been changed because Sarimpa gained power, domestic conflict, and the introduction of practical science. These things had an effect on the form of Sijo. After all, it shows the ideas of collapsing feudalism, resistance of confucian ideas, equality of the sexes, and opposition to the group who rule the government. Thus Sasul Sijo seems to have the tendency of resistance to reality. It was a specialty of realism poetry. It explained our life in detail and reflected real life by being an intermediary of realism. This met and represented the demand of a reader's expectations. After 1905, there was new form of sijo that is very different, in form and content, from the previous versions. It was even different in areas of what people accepted. They started to think sijo was not the form of lyrical verse that is once was. It became a 'record of reading'. The form changed to "hung or huhung" that satirized the times and the ending of a word in the last verse. Although this form could deliver the tension in statement, it was too far from the original form. Therefore, it didn't last long, and its position got smaller because of the free verse that had western influence and was emerging in the times. In the middle of 1920, there was a movement of Sijo revival. It was lead by Choinamsun. He wrote poems and Sijo which were effected by western ideas in his early works. Although he worked with that, he took the lead in the movement of Sijo revival. He published the collection of Sijo 「Baekpalbunnwoi」 that has one major theme-patriotic sentiment. He thought an ancient poem was a part of racial characteristics so that he expressed the main theme which represented the times and situations of his era. Modern Sijo is difficult. Sijo has to have modern and Korean verse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If it considers a modern aspect too much, it could not be distinguished from sijo and free verse. If it overly leans toward Sijo, it would seem to be too conservative which it then could be said to have no real charm of a poem. In spite of these problems, it is written constantly, because it has its own specialty. It has been focused on some works because they reflect awareness of modern times, the democratic idea, and realism. Overall, the authors of Modern Sijo express various themes by using different forms. The more what we can guess in this work, Sijo will exist permanently because of its flexibility. Furthermore, one special characteristic-flexibility of the korean verse will make it last forever and it will be a genre in Korean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