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의 해체적 사유가 내포된 가변적 신체 이미지 연구

        강덕봉 ( Kang Duck B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동시대 미술에 나타나는 신체 이미지는 그것의 일부 혹은 전체를 ‘취사선택’하여, 가변성을 전면에 드러냄으로써 현대인들의 모호한 정체성을 가시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체이미지의 가변성과 들뢰즈의 해체적 사유와의 상관성을 재인식하며, 이를 새롭게 문제 제기하여 표본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왜냐하면, 해체적 사유를 중심으로 동일성의 철학을 비판한 들뢰즈의 신체론은 인간 존재의 본질과 실존의 양가적 속성에 대해 진술하고 있는 표본작가들의 가변적 신체 이미지를 고찰함에 있어 기초적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지에 따라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했다. 첫째, 가변적 신체의 개념을 규정하고, 미술사적으로 그 사례를 살펴보았다. 둘째, 들뢰즈의 해체적 사유가 내포된 신체론을 고찰하여 작품 분석의 해석적 근거를 논의했다. 셋째, 가변적 신체 이미지를 전면에 제시하여 현대인들의 비가시적인 정체성에 대해 개인적 진술을 펼치고 있는 자비에 베이앙과 채프먼 형제의 작품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그들이 제시한 가변적 신체 이미지가 타자성과 주체성의 경계가 와해된 동시대의 사회문화적 담론을 ‘잠재성’이 충만한 지표적 기호로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정된 물리적 실체에서 벗어나 비물질화되고, 탈형식화되어 다양한 담론을 표출시킴으로써 관람자의 능동적인 지각 체험을 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현대조각에 나타나는 가변적 신체 이미지는 들뢰즈의 ‘기관 없는 신체’와 ‘욕망하는 기계’처럼 의미의 생성체로 전환되어 부재하면서도 현존하는 동시대인들의 유동적인 자아를 강조함으로써 세상에 대한 진실을 투영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body image that appears in contemporary art usually reveal the variability of the body by selectively showing all or part of it so as to visualize the vague identity of modern people. This study is intended not only to re-recogni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ility of bodily images and Deleuze's deconstructive reasoning, but also to raise new issues so as to analyze the artworks of various artists. This is because the theory of the body from Deleuze, who criticized the philosophy of identity based on his deconstructive reasoning, has provided the basic clues for examining a sample of variable body images created by the various artists who are describing the true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e ambivalent properties of existence. Based on such an argument, this study consists of 3 main sections. The first section defines the concept of a variable body and reviews relevant cases in the history of art. In the second section, Deleuze's theory of the body, which contains his deconstructive reasoning, is examined to discuss the interpretative grounds for the analysis of artworks. In the last section, artworks from Xavier Veilhan and the Chapman brothers (Jake and Dinos Chapman) who have been talking about the invisible identity of modern people by presenting variable body images, is discussed. Through this, the researcher has confirmed that those variable bodily images created by the aforementioned artists are presenting the contemporary socio-cultural discourses,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otherness and identity has been broken, as indexical symbols containing potentiality. The researcher has also confirmed that these images, which have deviated from fixed physical entities and have been dematerialized, are generating various discourses in order to let visitors have an experience of active perception. As a result, the variable body images appearing in modern sculpture have been converted into a generator of meanings, like Deleuze's 'corps-sans-organes' or 'la machine desirante', emphasizing the flexible self of contemporary people who are not only absent, but also present in the world to reflect the truth of the world.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인체 조각에 나타나는 비정형 신체 이미지 연구

        강덕봉 ( Kang Duck B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비정형(Formless)’ 개념을 바탕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인체 조각에 나타나는 비정형 신체 이미지를 연구한 논문이다. 서구의 형이상학 속에서 ‘정형’의 예술론 세계를 드러내야 했던 억압된 신체에서, 사회적 담론을 반영하는 창작의 주체로 ‘형상전이(Transfiguration)’한 비정형 신체에 대한 고찰로 논지를 이끈다. 작품 해석의 근거가 되는 조르주 바타유의 비정형 개념을 알아보고, 이브-알랭 부아와 로잘린드 E. 크라우스의 「비정형: 사용자안내서」에 나오는 비정형의 4가지 작동 기제들을 바탕으로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인체 조각에 나타나는 비정형신체 이미지를 탐구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비정형’은 고의적인 왜곡이나 변형으로 인해, 그것의 형태와 형식이 정해지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미술사에서 ‘비정형’은 20세기 초 조르주 바타유가 초현실주의의 미학을 정의하기 위해서 제시한 개념이다. 그것은 정형화된 시각언어를 거부하고, 사물의 형태를 해체하여 예술의 상징적 내용과 형식적 질서의 전복을 목적으로 한다. ‘비정형’은 모더니즘의 ‘주체성’과 ‘순수성’의 퇴조 이후, ‘모호함’과 ‘불투명성’의 양상이 드러나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등장하면서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그리고 1996년 파리의 퐁피두센터에서 열린 <비정형: 사용자 가이드>전의 전시도록에서 부아와 크라우스에 의해 ‘저급 유물론’, ‘수평성’, ‘펄스’, ‘엔트로피’라는 주요 표제어를 바탕으로 다양한 현대미술의 동향과 흐름을 분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확장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대 인체 조각에서 해체와 파편화를 통해 비형식주의 또는 비재현적으로 등장하는 신체 이미지와 비정형의 연관성에 주목하였다. 그중에서 ‘저급유물론’을 바탕으로 개인적 자아와 사회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키키 스미스의 저급한 신체와 인체 조각들을 수직축으로부터 수평적 구도로 연출해 ‘시각의 수평성’을 초래한 안토니 곰리의 작품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펄스’적 요소를 바탕으로 시각영역에 신체적 감각을 도입해 ‘시간성’과 ‘육체성’을 회복한 스텔락의 융합된 신체와 기존의 의미체계를 전복시키는 ‘엔트로피’ 전략을 통해 인간의 욕망과 금기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하는 채프먼 형제의 변형된 신체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현대 인체 조각에서 비정형 신체 이미지가 변화하는 사회적 시각을 반영하고, 인간 자의식을 드러내는 예술적 매체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음을 살펴봄으로써, 현대 인체 조각에서 신체 이미지의 해석 가능성을 넓히는 발판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formless body images presented in figurative sculptures since postmodernism based on the concept of formlessness. The paper is primarily informed by a series of observations on formless bodies that have been transfigured to subjects of creativity representing prevailing social discourses from oppressed bodies used to express ‘formulaic’ art amid Western Metaphysics. The main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formlessness as defined by Georges Bataille that provides the basis for interpretation of art works and to explore the formless body images demonstrated in figurative sculptures since the emergence of postmodernism, based on the four elements of formlessness outlined in 「 Formless: A User’s Guide」 by Yve-Alain Bois and Rosalind E. Krauss. Generally, ‘formlessness’ means having no definite form or shape due to intentional distortion or transformation. A study of art history suggests that ‘formlessness’ is a concept introduced by Georges Bataille in the early 20th century to define the surrealist art. Its aim is to reject formulaic visual languages and deconstruct the form of an object so that they can destroy symbolic meanings and the order of arts. ‘Formlessness’ was brought into spotlight again as modernism defined by subjectivity and purity gave way to postmodernism characterized by ambiguity and opaqueness. And it was the catalogue of an exhibition called 「 Formless: A User’s Guide」 held in the Centre Pompidou in Paris that the formlessness evolved into a new paradigm that analyzes a wide array of trends and movements of modern arts based on key words such as Base Materialism, Horizontality, Pulse, and Entropy by Yve-Alain Bois and Rosalind E. Krauss. This has brought the attention of the author of this paper to a link between the formlessness and the non-formalistic or non-representational body images presented in modern figurative sculptures through deconstruction and fragmentation. The study particularly focused on observations on the visceral representations of human bodies by Kiki Smith that depict personal self-awareness and social identity based on Base Materialism and works by Antony Gormley who created Visual Horizontality by forming a horizontal line with figurative sculptures representing verticality. The study also analyzes the integrated bodies created by Stelarc who restored the elements of time and body by introducing bodily senses into visual areas based on Pulse element and the transformed bodies created by the Chapman brothers who relied on Entropy strategy designed to destroy the framework of conventional meanings to make one rethink about desire and taboo. Based on the observations described above, the study intends to explore formless body images presented in modern figurative sculptures that reflect changing social perspectives and evolve into artistic media used to reveal human self-consciousness, which can allow more room for possible interpretations of body images presented in modern figurative sculptures.

      • KCI등재

        1960년대 이후 인체 조각에 나타나는 매체로서의 신체 연구

        고경호 ( Ko Kyung Ho ),강덕봉 ( Kang Duck B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1960년대 이후 매체(media)로서 부상한 `신체`에 대한 인체 조각을 연구한 논문이다. 현대 인체 조각에서 관람자와 소통을 `매개(mediate)`하는 상호작용적 매체로 변용된 신체에 대한 고찰로 논지를 이끈다. 매체의 개념을 이해하고, 인체 조각에서 매체의 확장과 신체의 활용을 통해 현대 인체 조각에 나타나는 매체로서의 신체를 탐구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과거로부터 조각에서 사용되는 매체는 견고성이 보장되는 재료를 바탕으로 고정된 물리적 실체(實體)를 드러내기 위한 수단이었다. 그러나 20세기 초부터 본격적으로 확장된 매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매체의 독립성과 자율성이 주목받으면서 전통적으로 이어져 오던 매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1960년대를 기점으로 매체는 비물질화(非物質化, Non-materialization) 되고, 탈 형식적으로 드러나면서 소통을 매개하는 상호작용적 요소로 부상했다. 이러한 경향은 20세기 이후 인체 조각에서 인간 존재를 둘러싼 문제를 표출하는 확장된 매체로 드러난다. 그것은 신체적 표현성을 극대화하며 인간의 `몸`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인체 조각에 나타난 `신체`를 단순한 오브제(objet)가 아니라, 실제 시간과 공간 속에서 관람자와의 인지적 소통을 매개하는 상호작용적 요소로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주체와 객체라는 이원론적 신체 담론을 와해시키고 등장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신체` 담론을 주목하였다. 그중에서 신체를 통해 객관적 세계가 아니라 구체적인 삶의 세계를 지각하는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관람자에게 `인지적 경험`을 유도하는 `매체`로서의 신체 역할을 고찰하였다. 이를 근거로 1960년대 이후 인체 조각에서 `신체`를 작품의 직접적인 매체로 활용하여, 표현의 소재였던 신체를 동시대인을 대변하는 체화(體化)된 신체로 변모시킨 표본 작가들의 작품들과 그 의미를 짚어봄으로써 동시대 인체 조각의 지평을 확장하는 발판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figurative sculpture with regards to the body which has emerged as a medium since the 1960s. The point of the argument i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body appropriated as an interactive medium to mediate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The study purports to identify the concepts of a medium and explore into the body in contemporary figurative sculpture in respect to its expansion and the engagement of the body. A medium of sculpture in the past used to serve as a means to realize a fixed physical entity through materials with solid nature.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owever, the expansion of media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relevant conventional perceptions, along with the newly underscored qualities of being independent and autonomous. By the 1960s, a medium, turning into being non-material and anti-formal, arose as an interactive element mediating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This tendency is specified into an expansion of media embodying issues encompassing human existence in figurative sculpture since the twentieth century. And it takes the expressional possibilities employing physical qualities into the maximum and leads into continued researches towards the body. In this respect, the study focuses on the body in contemporary figurative sculpture, which is characteristic of its interactivity, and mediates percep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in the actual time and space, rather than as a mere object. The researcher gave attention to discourses on the body of Postmodernism having surfaced with the collapse of subject and object dualism. Particularly phenomenology by Maurice Merleau-Ponty, which perceives through the body the actual and specific world, instead of an objective one, is employed to examine the role of the body as a medium that helps mediate perceptional experience with the viewer.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ampled a few artists who brought a change to the role of the body, from a conventional material for expression to the embodied body which speaks for one`s contemporaries since the 1960s. The illumination of their works and relevant implications will hopefully serve as a basis to expand the level of contemporary figurative sculp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