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고대 유교문헌과 강증산 전승의 술 문화

        고남식 동아시아고대학회 2016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4

        술은 예로부터 신성한 의미로 사용되어졌다. 술을 뜻하는 ‘酒’자는 일반적으로술을 올려 드리는 제사를 의미하며, 종교문화와의 관계는 긴밀하다. 세계 수 많은민족들은 오랜 세월 동안 음식 문화를 자체적으로 만들어 왔고 그 가운데 술 문화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동아시아 종교문화에서 신과 관련해서 술을 보면 무엇보다도 그것은 祭儀와 연관된 면으로 나타난다. 제례에서 술이 사용되는이유는 술의 신비한 속성에 기인한다. 인간들에게 술에 대해서 크게 경계하기 위해서 쓰여진 「주고」의 글에서 술은 하늘의 명으로 큰 제사에 사용하고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인간과 관련해서 술은 개인수양과 밀접하다. 술은 구성원간의 화합을 이루는 것이지만 여기에는 개인수양을 전제로 하는 술의 의미와 역할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개인수양과 관련해서 보면 정치 지도자의술에 대한 경계가 중요하게 대두된다. 술에 대한 위정자의 책임이 큰 것이며, 결국스스로 中正한 德으로 음주에 임하여 모범을 보이고 이를 토대로 관리들을 잘 통솔해야한다는 것이 된다. 아울러 개인 수양의 관점에서 음주가 개인의 덕을 평가하는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강증산의 종교문화는 증산이 9년간 보여 주었던 종교적 행적인 「천지공사(1901-1909)」로서 표출되었으며, 이 「천지공사」는 대부분이 祭儀的 형태를 갖고있다. 자신의 종교적 행적에 관련된 신을 降神해서 의도한 목적을 이루어 나가는데 음식을 준비하고 의례적 행위를 하였는데 신을 대접하고 문제를 풀기위해 소통하는 의미로 술이 사용되어졌다. 증산의 천지공사라는 종교문화에서 신들을 대접하는 차원에서 술이 사용되어진 것처럼 사람에 대해서도 술은 중요한 음식물로서자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0세기 초 한국에서 자생한 강증산 종교문화에서 술은 신을 대접하는 중요한 음식물로서 자리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 종교문화에서 술이 제의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음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아울러 인간에 대해서도 음주는 개인이 지켜야만 될 도덕적 의미가 강조되며 일상적 생활과 같이 하며종교성을 갖고 인간생활에 가까이 닿아 있다. From old times, liquor was used for a sacred meaning. The Chinese word 酒 meaning liquor generally indicates a ceremony that serves liquor to ancestors and has close connection with religion. Many people of different nationalities have made their own food culture and among them is liquor that takes an significant part of it. In East Asia religious culture, liquors shown in relation to gods are mostly used for ritual ceremonies. Liquor is used for ritual because of its mysterious attributes. In the book 『Jugo』, which was written to warn people about liquor, says the liquor was made to be used for major ceremonies to serve the heavenly order. For humans, liquor can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personal selfcultivation. In human society, although liquor is used for making harmony between members, it has a meaning and role for self-cultivation. In regard with this, a politician needs a self-disciplined attitude for liquor. The political leader has a great responsibility for liquor and therefore has to be the example in keeping a self disciplined manner with a well balanced virtue when drinking, and based on this practice, he has to successfully lead all the executives. In addition, one’s drinking manner becomes greatly important factor for evaluating his virtue. Religious culture of Kang Jeung-san is shown through 「Cheonjigonsa(Reord ering of the Universe, 1901-1909)」, the religious work that Jeung-san carried out for nine years. Most of the works of Cheonjigongsa are performed in the form of rituals. For His religious work, foods were prepared and ritual practice was performed to bring certain gods who could accomplish His intended purpose. Here the liquor was served to gods to communicate and solve problems with them. As liquor was used to treat gods in the religious culture called Cheonjigongsa, it also became an important food for human beings. In the religious culture of Kang Jeung-san that was born in Korea during early 20th century, liquor takes an important position as the food for treating gods. This culture corresponds with the existing religious culture where liquor is used for rituals. Along with this, liquor is closely related to humans’ daily life as they put emphasis on the morality of one’s drinking manner.

      • KCI등재

        원효(元曉)의 화쟁(和諍)사상과 강증산(姜甑山)의 해원상생(解冤相生)사상 비교 -화(和), 일심(一心), 해(解)와 관련하여-

        고남식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0

        Wonhyo was famous as a Buddhist high priest during the Silla dynasty. Wonhyo saw disputes as a problem in Silla’s Buddhist society, and devoted his entire life to solving them, immersing himself in finding the logic of reconciliation. Kang Jeungsan declared himself a Maitreya from a Buddhist perspective. Kang Jeung-san accepted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insisted on new ideas. He identified contemporary problems in the resentment of Danju, which was created in the pre-history. Accordingly, Kang Jeung-san mentioned issues beyond doctrinal disputes, but Wonhyo (who insisted on reconciliation) and Kang Jeung-san (who emphasized resentment) followed the same trajectory. Wonhyo’s Wonyunghoetong (圓融會通) is a claim that transcends times and corresponds to Kang Jeung-san’s idea that all human quarrels disappear only when mutual resolution is achieved. Wonhyo said that the basis for reconciliation was one mind(一心). Wonhyo tried to reach the correct truth about Buddha by reconciling different theories of Buddhism. Wonhyo’s mind i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Avatamska’s thoughts, and correlates with Hwajaeng. Although the one mind in Kang Jeung-san has a difference in terms of religious beliefs and times, it is semantically the same as the aspect in which singleness has an absolute meaning in ​​Wonhyo’s idea, that onemindness is assumed as the source of human happiness. Since Kang Jeungsan also utilized a Buddhist Tathagata, his ideology got closer to the people. Wonhyo presented a logical basis for constructing the Buddhism of One Vehicle (一乘) through reconciliation. He said that disputes arose from obsession, and he encompassed reconciliation with disputes. Although the two ideas have different times and purposes, they correspond to the one-mindedness of the religious perspective and connect with the one-mindedness that Wonhyo claimed to be the ultimate value in Buddhism, which can be seen in Kang Jeung-san’s thoughts. Wonhyo’s reconciliation is in comprehensive agreement with the idea of ​​ coexistence derived from Kang Jeung-san, free from the world of resentment and Seon-cheon’s conflicting logic. Sangsaeng thinks of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does not quarrel with them with the thought of making himself feel well. Reconciliation acknowledges and embraces differences in conversation, which contrasts well with talking to others in Sangsaeng. In a conversation expressed in a mutual language, it is important to have the virtue of words first for others. Kang Jeung-san’s emphasis on hills correlates with Wonhyo’s theory that fighting originates from language. In Kang Jeung-san’s thoughts, terms such as Hwa-jaeng are not specifically expressed based on verbal methods, but the aspect of language is emphasized in approaching with virtue when speaking to the first person. Moreover, Sangsaeng is based on the premise of resolving grievances, and language expression is important in the various methods used to achieve this resolution. 원효는 신라시대 불교의 고승으로 조명되어 있다. 신라 불교사회의 문제점으로 원효는 쟁(諍)을 보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한평생을 바쳐 화쟁(和諍) 논리를 찾는데 몰두했다. 강증산은 스스로 불교적 관점에서 미륵과 같은 존재라고 천명하였다. 강증산은 조선 말기에 유불선(儒佛仙)을 수용하여 후천(後天) 지상천국(地上天國) 사상을 주장하였다. 강증산은 당대적 문제를 과거 상고사에서 만들어진 단주(丹朱)의 원한에서 찾았다. 교리적 언쟁(言爭)을 뛰어 넘은 우주적 문제까지 강증산이 언급하고 있으나, 포괄적 면에서 화쟁을 주장한 원효와 해원(解冤)을 역설한 강증산의 사상은 용어적인 면을 공유하며 같은 궤적을 그리고 있다. 원효의 원융회통(圓融會通)은 강증산의 상호 간에 해원을 이뤄야 모든 인류의 언쟁도 없어진다는 면에서 시대를 초월해서 원효사상과 대응되는 주장이 된다. 화쟁은 대화에서 차이점이 있을 시 이를 인정하고 포용하는 것인데 이는 상생에서 타인에게 말을 잘해 주는 것으로 대비된다. 상호간 언어로 표현되는 대화에서 타인에게 먼저 말의 덕을 잘 갖고 임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강증산이 언덕을 강조한 것은 원효가 말한 쟁하는 것이 처음부터 언어에 대한 면으로부터 나온다는 이론과 상관되고 있다. 강증산 사상에서 화쟁과 같은 용어로 언술적 방법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표현되고 있지는 않으나 최초 상대에게 말을 할 때 덕을 갖고 다가간다는 것은 언어의 면이 강조되고 있다. 상생도 원을 푼다는 해원을 전제로 이루어지는데 이 해원을 이루기 위해 용사되는 다양한 방법에서 언어로 구상화되는 표현이 중요하다. 원효는 화쟁의 가능 근거를 일심(一心)이라 하였다. 원효는 화쟁을 통해 불교의 모든 이설들을 화해시켜 부처의 올바른 진리에 도달시키고자 하였는데 일심은 부처의 올바른 진리이고 원효 사상의 근본이며 모든 현상의 근거이고 중생이 도달해야 할 궁극적인 목적지이다. 원효의 일심은 화엄사상의 중요한 기반이며 화쟁과 상관성을 갖고 있다. 강증산에서의 일심이 신앙적이나 시대적으로 상황의 차이가 있지만, 의미적으로 원효사상에서 일심이 절대적 의미를 갖고 있는 면과 같이 하고 있으며, 인간 복록의 근원으로 일심이 상정되고 있는 면에서 강증산에게서도 불교의 여래장적 가치로 그의 사상이 민중들에게 가까이 다가가고 있음을 보게 된다. 원효는 회통함으로서 일승(一乘)의 불교를 건설하기 위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원효는 쟁론이 집착에서 생긴다 하였으며 그의 화쟁은 쟁에 대해 화해해 간다는 것으로 포괄된다. 두 사상이 시대와 목적을 달리하지만 신앙적 관점의 일심과 대응되며, 불교적으로 원효가 궁극적 가치로 주장한 일심과 통할 수 있음을 강증산 사상에서도 찾게 된다. 원효의 화쟁(和諍)은 강증산에게서 선천의 상극 논리에 의해 파생된 원한이 맺힌 세계를 탈피하여 화기, 화권, 해원과 관련되며 상대를 잘 되게 해서 서로 생(生)하는 상생(相生)사상과 포괄적으로 조응된다. 상생은 타인에 대한 배려를 생각하며 그를 잘 되게 해주려는 생각으로 타인과의 다툼은 있지 않다. 상생은 언쟁과 원한으로 점철된 천지인 삼계(三界)에 대해 그 맺힌 수 많은 한들을 풀고 이상적 세계를 세워서 당대 민중의 생을 구제하려는 것이다.

      • KCI등재

        증산의 도가적 경향과《무극도》의 도교적 요소

        고남식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04 대순사상논총 Vol.17 No.-

        JeongSan(1895-1958) achieves spiritual enlightenment from JeungSan(1871-1909) in 1917. So JeongSans thoughts is origined from JeungSan′s Cheonjigongsa. JeungSan ́s thoughts has a tendency of taoism. JeungSan ́s taoistic thoughts is chiefly revealed by taoistic human ripening, daily taoistic life. JeungSan maintain his taoistic thoughts through Shinto. JeungSan ́s Shinto is concerned in Bokhee ́s Yuk thoughts. Forwardly JeungSan synthesize a period from Cheonhwang. By the way Cheonhwang thoughts has a character of Meuweeihwa. This fact is out a special property of JeungSan ́s thoughts. That is, JeungSan ́s taoistic thoughts is related to ancient times Sinto. JeungSan ́s Shinto thoughts is concerned with JeungSan ́s taoistic thoughts. JeungSan ́s Shinto and Meuweeihwa thoughts is together related to JeungSan ́s Cheonjigongsa. JeungSan ́s Shinto is progressed by newly religious sacred work named Cheonjigongsa. JeungSan ́s Shinto is composed of a divine judgment to the universe and human. The Mugeugto is founded through JeungSan ́s Cheonjigongsa by JeongSan in 1925. The Mugeugto established JeungSan as a religious subject named KucheonEungwonNoiseongBowhoaCheonzonSangje. This treatise disscuss that the Mugeugto taoism is revealed by its turning up time, a religious subject and purpose. The Mugeugto appearence is concerned with Sinwon. JeungSańs Shinto thoughts is composed of a divine judgment that is built up JeungSan as a KucheonSangje. According to it, JeungSan′s taoistic thoughts is taoism in the Mugeugto. The purpose of the Mugeugto is a JisangSinseon and a JisangCheonkug. A JisangSinseon thoughts and A JisangCheonkug is realized by JeungSan′s Shinto.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개화기 조선사회에 대한 강증산의 현실인식과 그 해결방안 일고찰 - 충효열의 열(㤠)과 연관된 사도(師道)의 확립과 관련하여 -

        고남식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8

        강증산은 조선조 말기인 고종시대에 탄강하여 신이(神異)한 능력으로 천지는 물론이거니와 인간 사회의 수많은 제도들을 고치는 천지공사(天地公事,1901-1909)를 단행하였다. 동학농민운동에 의한 민초들의 참상을 목격하고 강증산은 3년간 조선 팔도를 주유하며 민정(民情)을 살피기도 하였다. 고향인 시루산에 돌아와 억압과 원한으로 점철된 조선사회를 개혁하고 민중들을 구제하기 위해 해원(解冤)과 보은(報恩)을 토대로 각종 사회적 현실과 관련된 천지공사를 실행하여 당대 유교주의 체제하에서 허례와 허식으로 도탄에 빠진 민중들을 제생하였다. 인간에게 있어서 떳떳한 도(道)인 상도(常道)는 삼강오륜과 충효열이며 이는 신계(神界)와도 관계되는 강륜이라 할 수 있다. 국가, 가정, 사회를 대표하는 군(君), 부(父), 사(師)에 대한 도리를 잊어 버리고 산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인간으로서의 도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강증산은 유도(有道)의 삶으로 병이 없이 사는 것은 군, 부, 사에 대해서 도리를 잊지 않고 지켜나가는 일상의 인간의 윤리성이라고 하였다. 충효열에서 열에 대해서는 조선조의 일반적인 열(㤠)의 개념인 부녀자에 대한 덕목이 아닌 면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열의 개념의 변용(變容)은 남녀평등의 원리 하에 여성의 인권 신장이 이루어지기에 열에 대한 면은 ‘열녀불경이부(烈女不敬二夫)’와 같은 조선 왕조 체제하의 부부(夫婦)간의 관계가 아닌 강증산 전승에서는 스승과 제자간의 관계로 설정되고, 스승의 은혜에 대한 제자의 도리의 확립은 더 나아가 법고(法古)의 정신에 기반한 원시반본의 원리와 연관된다. 이처럼 스승의 도를 강조하여 기틀로 강륜화함은 스승의 역할인 교화의 측면이 현실 정치와 밀접하게 동전의 양면처럼 음양으로 원시반본(原始返本)이 되는 후천세상과 연계되어서 이다. 충효열의 바람직한 체제는 군사부(君師父)에 대한 신제자(臣弟子)의 도리와 함께 군사부가 자신의 위치에 대응하는 신하․제자․자식(臣弟子)이 있도록 높은 소양을 갖추고 그들에 대해 덕과 가르침을 실천해야 됨을 밝히고 있다. Kang Jeung-san, who liv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toward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carried out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天地公事, 1901-1909) to fix numerous systems of human society as well as those of heaven and earth with his miraculous abilities. On witnessing the horrors experienced by common people due to the Eastern Learning(Donghak, 東學) Peasant Movement, Kang Jeung-san toured the eight provinces of Joseon for three years and looked after civil affairs. After that, he returned to his hometown to reform and provide relief to the Joseon society that was riddled with oppression and resentment. Under the Confucianism system of time, he revived the people who had fallen into disaster due to their rudeness and ostentation using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which is relevant to various social realities based on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and Grateful Reciprocation of Favors. Sangdo(常道), the principle of ethics and morality, consists of three bonds and five cardinal relationships, and it is also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divine realm(神界). Ignoring one’s duties toward the king, father, and master who represent the nation, family, and society, respectively, means that there is no basic human Tao being born as a human being. Therefore, living a disease-free life aligned with Tao is possible if one diligently performs one’s duties toward the king, father, and master. This is an important principle of human ethics that is the basis of honoring the doctrine of trinity(king-master-father). The king, father, and teacher represent the nation, household, and society, respectively. There would be a loss of Dao as a human being if one ignores them in life. In a Confucian way of life, to live without illness is to honor one’s duties toward the king, father, and teacher. The Yeol in Chung, Hyo, and Yeol, the three virtues for the king, father, and teacher, is not a virtue for housewives as generally considered in the previous context, for example, “a woman of Yeol only serves one husband,” a teaching related to marital relationship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s change of concept with regard to Yeol seems to be because of the recognition of women’s rights under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Daesoon thought, Yeol indicates the virtue in a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 A student properly fulfilling their duty toward a teacher reflects the principle of Wonsibanbon(return to the origin). At the same time, the duty of a teacher toward a student emphasizes the edification, the role of teacher, which is also related to Wonsibanbon.

      • KCI등재

        강증산의 강세지(降世地)인 정읍시(井邑市)에 나타난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과 그 양상 : 전북 정읍시 망제봉ㆍ객망리ㆍ시루산의 암시 및 정읍 관련 천지공사와 관련하여

        고남식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2 대순사상논총 Vol.40 No.-

        강증산(1871~1909)의 강세지인 현 정읍시(井邑市)의 지명과 지형들은 각종 정읍 관련 천지공사와 함께 구천상제가 이루고자 하는 후천(後天)이 새로 시작되는 시(始)와 본(本)으로서 원시반본적(原始返本的) 의미를 우물(井)에서 발원(發源)되는 수기(水氣)의 특성과 같이 하는 것으로 상징ㆍ암시화 된다. 이를 요약해서 보면 첫째, 정읍시는 강증산 사상에서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의 천부적 본원지(本源地)이다. 정읍시 고부의 ‘망제봉’은 제(帝)를 바라는 봉우리로 이는 천계(天界) 구천상제(九天上帝)의 강림(降臨)을 바라는 봉우리이다. 이는 주변의 봉우리로서의 망제봉(望帝峰)의 망(望)과 사람들이 이름을 지어 살고 있는 마을인 객망리의 망(望)이 모두 ‘대망(待望)’의 의미로 암시되며 상제가 인간 세상에 오기를 바라는데 구천상제가 탄강함이다. 구천상제는 시루산(甑山) 주변 초야(草野) 백성들이 살고 있는 마을에 후일 자신의 호를 증산(甑山, 시루산)으로 쓰며, 서양 제국주의 세력이 밀려들고 부패한 조선왕조가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가며 소외된 민중들의 한(恨)과 욕구가 봇물처럼 터져 나오던 개화기 성신(聖身)으로 성현(聖顯)하여 강세(降世)하였다. 한편 강증산은 선인포전 관련 공사를 통해 자신이 구천과 관계됨을 밝히기도 하였는데 강증산과 관련해서 보면 구천에 원시의 모든 신성ㆍ불ㆍ보살이 인류와 신명계의 대표격으로 구원을 바래서 강증산이 1871년 객망리(客望里, 以前엔 仙望里) 마을에 태어나 현신화(現身化)한 것으로 설명된다. 강증산이 공부한 시루산(甑山)은 땅의 산(山)인 동시에 인세(人世) 강증산에 대한 호칭이다. 정읍시에 있는 삼신산이 망제봉으로 이어지고 마지막에는 시루산으로 연맥(緣脈)되는데 이곳 민가에 구천상제인 강증산이 강세하여 상제를 바라는 신앙에서 시루산(甑山) 공부로 이루어진 초기 원시신앙이 시작되었다. 이는 구천상제에 대한 신앙이 지상에서 성화(聖化)됨이다. 둘째, 강증산의 정읍 관련 공사는 정읍이 시원(始源)과 본원(本源)의 의미가 있음을 보여준다. 정읍의 ‘정(井)’ 즉 ‘우물’은 수기(水氣)를 담고 있는 곳으로 강증산의 각종 천지공사에서 상징과 암시를 갖고 그 시원과 정화(淨化) 그리고 신성성(神聖性) 등을 말해준다. 이러한 우물의 상징과 암시는 세상의 정화, 새로운 출발, 세계 창생들의 새 생활, 강증산의 강세와 화천 등과 상관되며 원시반본적 의미가 강증산의 천지공사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선천(先天)의 마침(終)과 함께 후천(後天)의 시작(始) 그리고 구천상제로 강세한 강증산이 전대(前代) 미증유(未曾有)의 선경(仙境)인 청화(淸華) 오(五)만년 지상천국(地上天國)을 건설한다는 신앙이 본(本)이 되어 원천(源泉)과 원류(源流)로 샘고을 정읍에서 시원(始源)하여 펼쳐지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finding the religious meaning of Jeongeup (井邑) by paying attention to two areas of inquiry. The first examines religious interpretations of the place names of peaks, mountains, and villages that have already existed have existed since ancient times. The second area of inquiry looks into religious narratives about Jeongeup that appear in scriptural records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1901~1909) as performed by Kang Jeungsan. Looking at these to areas of inquiry together, the place names and topography inherent in Jeongeup and Kang Jeungsan’s various Jeongeup-related Reordering Works, can be summarized as embodying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始)’ and ‘origin (本)’ which can be further likened to the meaning of ‘water (水)’ in a ‘well (井).’ First, Jeongeup equates to the heavenly origin of the Gucheon Sangj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faith in Jeungsan Thought. Mangje (Emperor-awaiting) Peak is a peak that represent the wish for the Lord’s descent to earth. Seonmang (Immortal-awaiting) Village is a village that was waiting for an immortal. Jeung (Steamer-on-Cauldron) Mountain (Jeungsan 甑山) is a mountain on the earth and also the honorific name later taken by Kang Il-Sun. In relation to Jeungsan, it is interpreted that Jeungsan was born and incarnated in the village as a human in response to a plea from all divine sages, buddhas, and bodhisattvas, who had existed since the dawn of time and came to wish for salvation of humankind. This is because both Mangje Peak and Seonmang Village are connected to the meaning of ‘mang (望 to await).’ Second, the Reordering Works of Jeungsan which related to Jeongeup show that Jeongeup has carries the meaning of ‘beginning (始源)’ and ‘origin (本源).’ The character, Jeong (井), in Jeongeup is seen as a place that contains water energy, and symbols and allusions referring to this can be found in various Reordering Works. As a symbol or allusion, the well can be seen as a new start, the lives of all people of the world, the purification of the world,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root everything. These symbolic images can be found in the life of Kang Jeungsan from his incarnation to his passing into Heaven. This is because Jeong can allude to the origin by the Ninth Heaven, the beginning of the Later World’s paradisiacal land of immortals, and the end of the Former World (Seoncheon 先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