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뭉툭맵시벌아과(벌목:맵시벌과)의 동물지리학적 분석

        진열,이종욱,권용정 한국응용곤충학회 199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8 No.1

        동물지리학적 분석결과 한국산 종들의 분포 양상을 보면 Holarctic(9.6%), Transpalearctic(38.4%), Transpalearctic-Oriental(8.2%), Eastern Palearctic(Trans-Far East Asia)-Oriental(4.1%), Eastern Palearctic(17.8%)과 Endemic(21.9%)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뭉툭맵시벌아과는 구북계에서 종들과 고유종의 분포가 많은 것으로 보아 북반구에서 도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뭉툭맵시벌아과의 가장 오래된 화석종은 Catachora minor Townes, Urotrophon Pusillus Townes 등 2종이다. 뭉툭맵시벌아과의 전세계의 분포는 대륙이동과 거의 유사하게 이루어 졌다고 여겨진다. According to zoogeographic analysis, distribution types of Korean species of the subfamily Tryphoninae are as follows; Holarctic species (9.6%), Transpalearctic (38.4%), Transpalearctic-Oriental (8.2%), Eastern Palearctic (Trans-Far East Asia)-Oriental (4.1 %), Eastern Palearctic (17.8%) and Endemic (21.9%). Because of large numbers of palearctic and endemic species, we believe that the Korean Tryphoninae may have originated from northern hemisphere. The oldest fossil species of the Tryphoninae are the Catachoru rninor Townes and Urotryphon pusillus Townes in Creataceous amber from the peninsula Taimyr, Siberia. The world-wide distribution of the Tryphoninae appears to coincide with the continental movement.

      • 뭉툭맵시벌아과(벌목:맵시벌과)의 분류와 계통 : Ⅲ. Morphometric analysis of Genus Netelia Gray Ⅲ. 자루맵시벌속의 형태계량학적 분석

        진열,이종욱,박원학 嶺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5 基礎科學硏究 Vol.15 No.-

        For the taxonomy and phylogeny of the subfamily Tryphoninae(Hymenoptera: Ichneumonidae),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March of 1988 to September of 1995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Specimens were also obtained from various museums and laboratories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eries. This research utiltzed about 1000 domestic specimens and 3010 foregin specimens including 10 specimens from North Korea. Morph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se specimens(7 subgenera 20 species 53 individuals of Genus Netelia Gra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order to get a desirable results from morphometric analysis, both PCA and discriminant analyses were performed. All subgenera show distinctive feature, even though they share seve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us, the subgeneric classification of Netelia is adequate (Kaur & Jonathan, 1979). Morphometric analysis indicated that SCU, WFA, WCL, LRM and FCU's are important factors to classifying the subgenera. It could overcome the problems following subgeneric classification if these characters were incorperated into subgeneric classification system.

      • 회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 평가에 관한 연구

        진열,이종욱,류성만 嶺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6 基礎科學硏究 Vol.16 No.-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water quality based on the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pollution in Hoe Stream.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whole Hoe stream(sites 1-9), and two sites in Nakdong River(site 10,11), meeting before and after Hoe Stream from March, 1995 to February, 1996. The results are as follow; (1)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present study are composed of total 200 species, 115 genrea, 68 families, 21 orders, 7 classes in 5 phyla and among them, Aquatic insects are composed of 171 species, 91 genera, 52 families in 9 orders. According to comparison of Hoe Stream and Nakdong River,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Hoe Stream are composed of total 199 species, 114 genera, 67 families, 20 orders, 7 classes in 5 phyla, and in Nakdong River are composed of total 44 species, 28 genera, 25 families, 13 orders, 6 classes in 3 phyla. (2) The dominant species were investigated as Trichoptera and Ephemeroptera in upper reaches, and Chironomidae in lower reaches. (3) The diversity indices are 2.154∼3.619, and it means, that in Hoe Stream appeared higher value than in Nakdong River. (4) Conclusively, almost all factors of water quality in present study was one to four levels. Hoe Stream showed one to three levels and appeared four level in Nakdong River.

      • 한국산 맵시벌과(벌목(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뭉툭맵시벌족의 재검토(뭉툭맵시벌아과(亞科))/Introduction/Materials & Methods Review of Tribe Tryphonini (Tryphoninae)

        이종욱,진열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1993 昆蟲硏究誌 Vol.19 No.1

        한국산 맵시벌科(벌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5. 뭉툭맵시벌족의 재검토(뭉툭맵시벌亞科) 이종욱 · 차진열(영남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昆蟲硏究誌. 19 : 10-34, 1993. 한국산 뭉툭맵시벌족은 4속 11종이 기록되었으나 연구 결과 4미기록 속(**), 1미기록 아속(**), 11미기록 종 (*), 7신종 (??)이 추가되어 총 9속 29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종 목록은 다음과 같다; Genus Cosmoconus Foerster 뿔뭉툭맵시벌속; C. elongator Fabricius 뿔뭉툭맵시벌; **Genus Ctenochira Fo¨rster 가시발톱뭉툭맵시벌속; ?? C.ruficoxalis sp. nov. 붉은밑마디뭉툭맵시벌 (신칭), ?? C. nigroventralis sp. nov. 배검은 뭉툭맵시벌 (신칭); ?? C. basipectinata sp. nov. 가시발톱뭉툭맵시벌(신칭); **Genus Dyspetes Fo¨rster 경포뭉툭맵시벌속(신칭); *D. arrogator Heinrich 경포뭉툭맵시벌(신칭), *D. nigricans He & Wan 흑색경포뭉툭맵시벌(신칭),?? D. nogodanus sp. nov. 노고경포뭉툭 맵시벌(신칭); **Genus Erromenus Holmgren 얼굴뭉툭맵시벌속 (신칭); *E. melanotus Gravenhorst 수검은뭉툭맵시벌(신칭), *E. alpinator Aubert 알프스뭉툭맵시벌(신칭), *E. zonarius Gravenhorst 수염가두리뭉툭맵시벌(신칭), ??E. rufifemur sp. nov. 홍다리뭉툭맵시벌(신칭), *E. analis Brischke 얼굴뭉툭맵시벌(신칭), *E. pelbejus Woldstedt 검은발톱뭉툭맵시벌(신칭); **Genus Lagoleptus Townes 라고스뭉툭맵시벌속 (신칭); * L. rugipetus Townes 라고스뭉툭맵시벌(신칭); Genus Monoblastus Gartig 잎벌살이뭉툭맵시벌속(신칭); M. erythrurus Townes, Momoi et Townes 반빨간뭉툭맵시벌, M. clauseni Uchida 잎벌살이뭉툭맵시벌, ??M. jinjuensis sp. nov. 진주뭉툭맵시벌(신칭), ??M. nigriventus sp. nov. 청계뭉툭맵시벌(신칭); Genus Otoblastus Forster 오토뭉툭맵시벌속(신칭); O. marginator Kasparyan 오토뭉툭맵시벌(신칭); Genus Polyblastus Hartig 배작은뭉툭맵시벌속; P.(P.) wahlbergi Holmgren 배작은뭉툭맵시벌; Genus Tryphon Fallen 신라뭉툭맵시벌속; Subgenus Stenocrotaphon Kasparyan 배끝마디검은뭉툭맵시벌아속; T.(S.)kazachstanicus Kasparyan 참검은뭉툭맵시벌, T.(S.) nagahamensis Uchida 진빨간뭉툭맵시벌, T.(S.) obtustator Thunberg 배끝마디검은뭉툭맵시벌; Subgenus Symboethus Forster 신라뭉툭맵시벌아속; T.(S.) brevipetiolaris Uchida 신라뭉툭맵시벌, T.(S.) hinzi Heinrich 검은뭉툭맵시벌, T.(S.) punctatus Kasparyan 흑점뭉툭맵시벌, *T.(S.) incestus Holmgren 흑가슴뭉툭맵시벌(신칭), *T.(S.) brunniventris Gravenhorst 갈색뭉툭맵시벌(신칭); **Subgenus Tryphon Fallen 뭉툭맵시벌아속(신칭); *T.(T.) abditus Kasparyan 뭉툭맵시벌(신칭) The authors revised the Korean species of tribe Tryphonini.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29 species, 9 genera including 7 new species, 11 newly recorded species and 4 newly recorded genera.

      • 유류유출사고에 따른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육상훼손지 복원 방안에 관한 연구1)

        정원옥,진열,이상희,마호섭,강원석,이봉찬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1 No.2

        서 론 2007년 12월 7일 충청남도 태안 만리포 북서방 5마일 해상에 정박해 있던 홍콩선적의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 (Hebei Spirit)’호가 삼성중공업 소속의 부선 ‘삼성 1호’와 충돌하는 사고로 원유(12,547㎘)가 유출되어 태안해안국립 공원을 중심으로 해역오염(해상 203㎢, 해안 54.8㎞)이 발 생하였다. 유류오염 방제 작업의 시급성으로 인하여 작업로 (임의도로 등) 개설, 차량 및 방제 인력의 답압 등으로 국립 공원내 육상지역을 중심으로 인위적인 2차 훼손지가 발생 하였다. 이러한 훼손지는 빠른 기간내에 복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여름철 강우 및 각종 환경요인에 의해 훼손이 확장되어 추가적인 피해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류유출 사고 이후 방제작업으로 인하여 발생 한 훼손지 현황을 조사하고 장기적인 측면에서 훼손지 복구 계획 수립 및 실행을 위한 훼손지 복원대상지 선정 및 우선 순위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내용 및 방법 태안해안국립공원지역내 해상 유류오염 방제 작업시 육 상의 사구지역 및 산림지역(임의도로 개설 등)에서 발생된 훼손지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측면에서 훼손지 복구 계획 1) 본 연구는 2010년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해양유류 유출사고의 중장기적 영향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Ⅱ’ 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 수립 및 실행을 위한 훼손지 현황조사, 훼손지 복원 대상지 및 우선순위 선정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훼손지 현황조사 태안해안국립공원내 유류유출 사고에 따른 방제작업으 로 다수의 해안사구와 산림지역의 훼손이 발생하였고, 이러 한 훼손은 방치시 또 다른 훼손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 조사결과 유류방제작업으로 발생한 훼손지는 해안사구 7개소와 산림지역(임의도로 개설) 16개 본선 25개 지선으 로 훼손지 현황은 다음과 같다(표 1과 2). 유류방제 작업으로 발생한 해안사구 훼손지는 7개소로 총 사구면적 940,000㎡ 중 훼손면적은 45,964㎡로 조사되 었다. 해안사구 훼손지는 학암포지역에서 27,823㎡로 가장 많 은 훼손이 발생하였으며, 답압으로 인한 사구초지 훼손과 차량 진입로 개설로 인한 사구 훼손, 모래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포집기 훼손 등의 훼손 유형이 많은 지점에서 조사되었다. 그 외 해안사구지역 역시 방제작업 차량의 진출·입을 위 한 진입로 개설, 차량 및 방제인력의 답압으로 인한 사구 초지 훼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일부 해안사구는 답압으로 피압된 사구 초지가 시간경과에 따라 초지의 생육 상태가 회복되는 등의 자연 복원과정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 지점에 대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복원과정을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지역에서 임의도로 개설 및 확장으로 발생한 훼손지 는 16개 본선 25개 지선으로 훼손면적은 34,188㎡로 조사 되었다. 대부분의 훼손지는 빠른 기간내에 방제차량 및 인 력 이동을 위한 무리한 임의도로 확장 및 개설로 절․성토 사면이 급경사지로 조성되어 2차 훼손의 직접적인 요인으 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불리한 입지조건에 각종 환경 요인,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 등의 간접적인 요인이 직접적 인 요인과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많은 지점의 절․성토 사면에서 토양침식 및 붕괴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일부구간은 급경사 절토사면의 침식 및 붕괴로 사면 경계부의 수목이 도복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고, 방제 인력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능선에서 해안가로 연결되는 급경사지에 임시로 설치된 철제 계단이 그대로 방치되어 경관을 저해하는 경우도 있었다. 특히 신규로 개설된 임의 도로의 경우 노면에 횡단배수로 및 측구가 시공되지 않아 강우시 상부에서 발생한 표면유출 수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많은 지점에서 표토면 침식이 발생 되고 있었고, 지속적인 표토면 침식 현상으로 일부 지점에 서는 노면에 수로가 형성되는 세굴현상이 진행, 확장되는 지점도 있었다. 2. 복원대상지 선정 유류방제 작업으로 발생한 해안사구 훼손지 7개소(훼손 면적 : 45,964㎡)와 산림지역에서 임의도로 개설 및 확장으 로 발생한 훼손지는 16개 본선 25개 지선(훼손면적 : 34,188 ㎡)에 대해 현재 복원사업 진행 및 자연복구 진행 정도 등을 고려하여 복원계획을 수립하였다. 1) 복원대상지별 복원유형 선정 해안 사구지역과 산림지역(임의도로 등 개설지역)으로 구분된 훼손지를 복원한다는 것은 훼손되기 이전의 생태계 구조와 기능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현실적 으로 자연 생태계를 복원 한다는 것은 오랜 시간과 예산, 많은 노력이 필요한 쉽지 않은 일이다. 보다 정확하게 정의 한다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복원이 진행되도록 현시점에서 추가 훼손을 방지하고 점진적으로 훼손되기 이전의 생태계 구조와 기능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최소한의 복구를 수행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선정된 복원대상지 모두를 단시간에 예산을 편성하여 복원하거나, 지역별로 복원대상지를 구분하여 복원계획 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복원예산과 인 력, 훼손지의 추가 피해 발생 등을 고려한다면 복원대상지 에 대한 복원유형을 구분하여 복원유형에 따라 복원을 진행 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산림지역(임의도로 개설 등)의 훼손지 복원 유형를 결정 하기 위하여 주요 훼손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3). 표 3과 같이 조사된 훼손 유형을 검토한 결과 노면, 절․성 토면, 나지, 배수, 답압 및 오염 등 크게 4가지 훼손 유형으 로 구분할 수 있었다(표 4). 2) 육상훼손지에 대한 복원대상지 선정 훼손지 조사 및 현지 여건 등을 검토하여 이미 복원사업 이 진행되거나, 계획이 수립된 곳, 자연복원이 현저히 진행 된 곳을 제외하고 선정된 복원대상지는 해안사구 지역 1개 소와 산림지역(임의도로 등 개설지역 훼손지점) 44개소 등 총 45개소로 표 5와 같다. 산림지역 훼손지점은 노선의 길 이에 상관없이 연속된 훼손지를 1개소로 구분하였으며 단 일 노선내에서도 연속되지 않고 단절된 훼손지는 각각의 개소로 구분하였다. 3. 훼손지 복원 우선 순위 선정 훼손유형과 복원유형을 참고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복원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훼손 지의 복원 우선순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산림지역(임의 도로 개설 등)의 훼손지 복원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방제작업 실시를 위해 개설된 임의도로는 전구간에 걸쳐서 복원, 복원공사를 위한 진입로 확보 유무, 복원공사의 시급 성 유무 등을 고려하여 복원 순위 선정기준을 수립하였다 (표 6). 결정된 복원 우선순위에 따라 현장 여건을 정밀 검토하여 노선의 연장과 관계없이 복원이 필요한 지점별로 구분을 실시하였으며, 한 개의 본선이나 지선에 복수의 복원 우선 순위가 존재하는 경우 현장 여건을 고려하여 등급을 결정하 였다. 총 45개 지점에 대한 복원 우선순위 구분 결과 Ⅰ등급은 16개소, Ⅱ등급 10개소, Ⅲ등급 12개소, Ⅳ등급 7개소로 검토되었다(표 7). 유류유출 사고이후 방제작업으로 인하여 발생한 해안사 구 및 산림지역 훼손지는 각종 환경요인으로 인하여 훼손지 가 확장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훼손으 로 인한 피해 예방을 위해 예산확보를 통한 빠른 기간내 복구계획 수립 및 복구가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향후 유류오염사고 등과 유사한 인위적인 재해 및 재난 발생시 빠른 기간내 복구계획 수립 및 복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과 피해 확산을 방지하 기 위해 긴급하게 방제로(작업로) 개설시 추가 훼손지 발생 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예방하기 위한 방제로 개설기준 (가이드라인) 마련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용문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9) 해양유류유출사고의 중장기적 영 향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10) 해양유류유출사고의 중장기적 영 향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Ⅱ

      • KCI등재

        머리뼈 형태학적 특성을 이용한 한국산 노루의 분류학적 고찰1

        박용수,진열,김남신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1

        한반도에 서식하는 노루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까지 내륙과 제주도 지역에 서식하는 노루 간 외부형태와 유전학적 차이가 있다고 여러 차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부형태와 유전적으로 차이가 나타나 두 아종으로 여겨지는 내륙과 제주도 노루의 머리뼈 특성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그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한국노루의 분류학적 위치를 좀 더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50개체의 성체 노루 머리뼈를 비교․분석한 결과 머리뼈최대길이, 뒤통수뼈관절융기-치조점사이길이, 머리뼈바닥길이, 머리뼈최 대폭, 광대뼈사이폭, 눈확사이폭, 얼굴길이, 위어금니열길이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제주노루가 내륙노루 보다 머리뼈의 크기 및 형태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개골의 형태는 노루 아종 간 차이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위도, 경도, 고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이 요소들이 1차 생산자에 영향을 미쳐 먹이식물에 변화를 가져오고 노루의 먹이 선택과 연관되어 순차적으로 두개골 형태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한반도에 서식하는 노루 두개골의 계량형태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내륙 노루는 아종인 C. p. tianschanicus와 비슷한 반면, 제주 노루는 시베리아노 루 3아종 및 유럽노루와 확연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도 지역에 서식하는 노루의 경우 제주도에만 서식하는 고유종으로 아종 수준의 분류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morphologically and genetically different two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Pallas, 1771), in Mainland and in Jeju island. Until now, this roe deer has not been clearly taxonomy of Siberian roe deer in Korean peninsula. S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kull morphometrics of mainland and Jeju roe deer to obtain more information on the species status of C. pygargus and study the distribution of roe deer subspecies in this region. A total of 50 skulls of adult roe deer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maximum skull length, condylo-basal length, basilar length, maximum skull width, cheek-bone width, interorbital width, rostrum length, length of upper tooth row from the Siberian roe deer in Jeju island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the deer in mainland. Length of the skull was the principal factor of interpopulational variability in roe deer. Variation was not distributed along latitude, longitude, or elevation, but those factors did influence the variation through effects on primary production, which in turn caused isolated differences in skull morphology apparently related to types of forage selected by roe deer in various geographic area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kull characters, Mainland roe deer was more similar to C. p. tianschanicus which is a subspecies of Siberian roe deer. In addition, Jeju roe deer showed distinct differences compared to European roe deer, 3 subspecies of Siberian roe deer, so it appeared that they could be a unique native species inhabited only in Jeju Island. Because Siberian roe deer in Jeju Island can be classified at subspecies level in this study.

      • 한국산 맵시벌과(벌목(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넓적수염맵시벌속(屬)(넓적수염맵시벌 아과(亞科) Genus Euceros (Eucerotinae)

        이종욱,진열,서경인 고려대학교 한국곤충연구소 1992 昆蟲硏究誌 Vol.18 No.1

        한국산 맵시벌科 (벌目)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4. 넓적수염맵시벌屬(넓적수염맵시벌 亞科), 이종욱 · 차진열 · 서경인(영남대학교 이과대학교 생물학과), 昆蟲硏究誌. 18 : 25~30, 1992. 한국산 넓적수염맵시벌 亞科의 넓적수염맵시벌 屬을 연구한 결과 4종을 정리하였다. 이중 3종(*)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들이다. Subfamily Eucerotnae 넓적수염맵시벌 亞科 (신칭) Genus Euceros Gravenhorst 넓적수염맵시벌屬(신칭) E. rufocinctus (Ashmead) 넓적수염맵시벌 (신칭) *E. serricornis (Haliday) 가시넓적수염맵시벌(신칭) *E. kiuskuensis Uchida 민 가시 넓적수염맵시벌 (신칭) *E. sensibus Uchida 의가시넓적수염맵시벌 (신칭) The study on the subfamily Eucerotinae unrecorded in Korea was conducted. As the result, four species of genus Euceros including three unrecorded species E. kiushuensis Uchida, E. sensibus Uchida, E. serricornis(Haliday) were identified.

      • 월출산국립공원에서 확인된 미기록 맵시벌 3종에 대한 연구

        정종철,진열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5

        2009년 2월부터 10월까지 실시된 월출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결과 미기록 맵시벌 3종이 발견되었다. 본 조사지점은 다양한 곤충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큰골, 도갑사, 천황사, 무위사, 성전저수지 계곡울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비행성 곤충의 조사를 위해 쓸어잡기(Sweeping)와 말레이즈트랩 (Malaise trap)을 이용하였다. 조사지점 중 무위사, 천황사, 성전저수지 계곡에서 각각 Brussinocryptus orientalis rufomaculatus (Uchida) 누런다리동양뾰족맵시벌 (가칭), Eurycryptus sakaguchii (Uchida) 검정무늬단색뾰족맵시벌(가칭), Colpotrochia pilosa sinensis (Uchida) 어리누런방패뭉툭맵시벌(가칭)이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기록 맵시벌 3종의 기재문과 외부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내는 사진을 제공하고자 한다.

      •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곤충(나비류)의 민감성 평가 및 향후 대응방향

        정종철,김태근,진열,조영호,최민주,남상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나비는 다수의 종들이 생태계와 육상경관의 기능적 또는 공간적 변화에 민감하므로 다른 곤충 개체군의 변화 감지를 위한 특별한 지표종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뿐 아니라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 친밀하고 생명의 아름다움의 대명사로 여겨지는 등 좋은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어 한반도 생물 다양성 변화의 자각종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불가리아의 Butterfly Conservation Europe의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처 이동 및 멸종 위험이 높은 종을 선정하기 위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였다. 우리나라 기상청에서 제시한 IPCC SRES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였으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나비류 중 총 5과 220종 66,162개 정보를 분석대상으로 Maxent 모델을 활용하여 분포지를 통한 서식 예상범위를 제시하였고, 40년 후(2050년)의 해당 종의 분포 변화 양상을 예측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유의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30지점 이하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158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모델을 적용한 결과, 극단적 민감종 25종, 매우 민감종 6종, 다소 민감종 3종, 영향종 2종, 보통종 2종, 잠재종 120종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한반도의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종의 변동방향과 향후 멸종위기종 및 급증 또는 급감하는 생물종의 관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