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베 고보(安部公房)의 『침입자(闖入者)』론

        李貞熙(Lee Jeong-hee) 한국일본문화학회 2001 日本文化學報 Vol.11 No.-

        This is a study on a novel An Intruder(闖入者, 1951) of Abe Kobo. The story of An Intruder is that one night a strange family broke into K's apartment and settled down there. Saying "Excuse me", they came into the house in crowds. K asked them why they intruded other's house without permission and he was so flurried that he resisted. Then the family proved that K's house was a intruding family's house by the decision of the majority that is a principle of democracy. K objected that kind of a decision of course. But they blamed him and made K of a fascist or a gangster. Even K was sweated his work. K resisted by any means but all his efforts came fell through. Neither his neighbors nor any citizens listened to his painful appeal. It is a K's note in the form of a "I" story till these content and is appended a short epilogue at last. First I examined the prior studies and considered which place the An Intruder holds in the works of Abe Kobo. Next I analyzed the structure of this novel, the meaning of a 〈famil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K and the 〈intruding family〉. Further I considered the 〈family〉 in aspect of a 〈rent family〉 form that is appeared newly. Through these consideration I came to conclusion as it follows. The hero K is a self-satisfied individual who lives in a society of city. The space of city is a society that is moved by the individuals rather than the groups. That is, the city regarded the freedom of an individual's life as important. And an individual is able to stand his/her own feet without any limits of his/her family or society. This coincides with the principle of democracy which Japan spoke of after the defeat in war. As this kind of democratization went on, anyone could think of denying the community. In other words, in post-war times a theme of community study was how individual could acquire the freedom from the community. In this kind of social atmosphere, Abe draw the procedure how an individual went to ruin by strange groups. What did he mean by that? At that time although the post-war democracy in Japan improved the old community by democratization, feudalistic ideas still persisted among them under majority rule. That is, democracy didn't have come to stay taken root in the city and the province, and it went to wrong way. Dictatorship by majority or solidarity among majority decided the individual's life. This novel is a stinging satire on the times. 본고는 아베 고보(安部公房, 1924∼1993)의 『침입자』(闖入者, 1951)에 대한 고찰이다. 지금, 왜 『침입자』라는 작품에 주목했냐하면, 다음과 같은 동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1999년 9월 한국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일본 연극 중 아베 고보의 『친구들』(1967)이 공연되었다. 〈한ㆍ중ㆍ일 동양 3국 연극 재조명 시리즈③-일본편-〉으로 한국국립극단이 일본의 연극을 번역해서 공연한 것은 사상 최초의 일이었다. 한국국립극단은 한일 양국의 고급문화 교류를 위한 의욕적인 무대라고 했다. 필자는 그 당시 연극 팜플렛에 작가 아베 고보의 작품세계를 쓰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친구들』을 연구하려고 했다. 그런데 이 『친구들』은 모태소설이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침입자』다. 이때 『친구들』을 연구하게 되면 연극론이 되므로 그것은 일단 접어두고, 단편소설인『침입자』를 갖고 고찰하게 되었다. 『침입자』는 한밤중에 주인공 K의 아파트에 낯선 가족 9명이 쳐들어와 정착하기까지의 이야기다. 그들은 “실례합니다”하며 우르르 집안으로 들어왔다. K는 당황해서 왜 남의 집에 함부로 들어오느냐고 대항하자 가족들은 민주주의의 원리인 「다수결 원칙」으로 투표를 하여 침입가족의 집임을 증명하고 만다. 이를 반대하는 K를 「파시스트」나 「폭력범」으로 내세우고, 결국에는 K의 노동력마저 철저히 착취하고 혹사한다. K는 온갖 대항을 해보지만 모두 허사로 돌아가고 그의 호소는 아파트 주민은 물론 도시민들에게도 전달되지 않았다. 여기까지는 일인칭으로 K의 수기형식으로 되어있으며, 마지막에는 짧은 에필로그가 첨부되어있다. 거기에 K의 자살이 그려져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의 『침입자』를 먼저 선행연구검토를 하고, 그리고 아베 고보에 있어서 『침입자』는 어떠한 작품인지 그 위치를 고찰하였다. 다음은 작품분석으로 작품의 구조, 〈집단가족〉의 의미, 또 K와 〈침입가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가족〉을 〈렌트 패밀리〉라는 새로운 가족형태 측면에서도 고찰하였다. 이상과 같은 고찰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주인공 K는 도시라는 사회 속에서 혼자서 자기만족을 하면서 살아온 개인이다. 도시라고 하는 공간은 집단에 의해 움직이는 사회라기보다는 독립된 개개인에 의해 움직이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즉 개인의 삶이 중요시되는 사회, 가족이라는 테두리에 얽매이지 않고 개인의 자립이 가능한 사회라고 하겠다. 이는 일본이 패전 후 내건민주주의 논리이기도 했다. 이러한 민주화 전개 위에 누구나가 가졌던 생각 중의 하나가 공동체의 부정이었다. 다시 말해서 전후 공동체론의 과제는 공동체로부터 개인의 자유 획득에 있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아베 고보는 침입자 를 통해 한 개인이 이상한 집단에 의해 파멸되어 가는 것을 그렸다. 무엇을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일까. 당시 일본의 전후 민주주의는 민주화에 의해 공동체가 개선되어가면서 개인의 자유와 개인이 존중되어 가야하는데 민주주의의 다수결이라는 원칙 하에 봉건적인 공동체의 질곡이 남아있었다. 즉 민주주의가 농촌이나 도시에 정착되지 않고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되어 가고 있었다. 다수에 의한 독재 또는 다수의 연대 의해 개인의 삶이 결정되어 버리고 말았다. 이러한 현상을 통렬히 풍자한 것은 아닐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