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여성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석향 ( Seok Hyang Kim ),이은주 ( Eun Ju Lee ) 북한연구학회 2012 北韓硏究學會報 Vol.16 No.2

        This paper will show the general trend of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through the books, theses and dissertations since 1948 to 2012. At first, the trend with the change of times and with the change of themes shall be analyzed, and the points in dispute shall be analyzed at the aspects of the epistemology and the methodology. And then the limit and the task of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shall be shown.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had been begun since ``70s, and was flourished in ``90s, and after 2000, it was not only grown in quantity but also deepened in quality. This paper will categorize the theme of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to 12 patterns ; the women general, the law · the policy · the institution, the family, the status and role, the ideology, the political socialization, the political culture, the character and image of woman, the childcare and nurture, the woman interac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e health and sanitation, the beauty art and fashion, the The Women`s Union and the life of the organization, the women`s economic activity, and the others.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are usually concentrated to 4 themes ; the women general, the law · the policy · the institution, the family, the features and image of women. We can know that the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to the special themes and studied as the level of general introduction. Thus we should study the more concrete themes as well as the more extensional and various themes. And we need to rebuild the epistemology of the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Nowadays the perspective of the feminism is used in this researches, I think it is desirable. At the aspect of methodology, the non-existence of the theory, the tendency to the study for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he insufficiency of the fundamental researches are the problem to solve for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And we need to diversify the methodology, too. At the end of this paper, I will propose to combine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and the North Korean Women defector researches at the long perspective and as the grand level of women researches.

      • KCI등재

        북한 여성의 삶을 역사화하기: 북한 여성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송현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2

        이 글은 그동안 국내 학계에서 이루어진 북한 여성사 연구 동향을 주제별로 살펴보고, 성과와 한계, 앞으로의 과제를 밝혔다. 북한 여성사 연구는한국전쟁과 여성 경험, 여성의 노동과 직업 생활, 국가와 모성·재생산, 여성의 섹슈얼리티, 시대별 여성의 삶, 여성 교육과 조직 생활, 여성 지도자와 인물, 남북한 여성사 비교 등의 주제로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적으로는 여성의 구술사와 담론 분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 학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의 장에서 북한 여성사 연구 성과물이 나오고 있는 점은성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북한 여성사 연구가 전체적인 편수도 적고주제 또한 다양하지 못한 점, 북한 여성사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이 빈약한점, 제약된 연구 자료를 가지고 북한 여성사 전체를 이해해야 한다는 점, 여성주의 관점에 기초한 북한 여성사 연구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은 한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 여성사 연구는 연구주제를 보다 확대하고 이론과 연구 방법을 더욱 정교화해야 하며, 북한여성 연구에서 여성사 연구가 한 분과로 안착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북한 여성사 연구의 성장을 위한 시론적 논의로, 앞으로 북한 여성사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의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 KCI등재

        북한이탈여성에 관한 질적연구 동향분석: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오은경(Eunkyung OH),류진아(Jin-A Ryu)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09 No.2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여성에 관한 질적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RISS4U, KISS, DBpia)에서 지금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질적연구 34편을 분석하였다. 총 34편에 대해 논문 발행연도, 학문분야 및 학술지명,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들을 분석하여 질적연구 동향을 파악하였고, Hoyt&Bhati(2007)가 주장한 네 가지 차원에 따라 질적연구 수행과정을 분석하였다. 북한이탈여성에 관한 질적연구 동향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5년을 시작으로 꾸준히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는 사회복지분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많이 사용된 질적 연구방법은 현상학이었으며 2011년 이후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론의 연구가 게재되었다. 셋째, 사회적응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가족・관계, 정신건강과 심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질적연구 수행과정을 검토 한 결과, 연구자의 초점과 연구결과 제시 및 보고는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감수자를 통한 확인은 대다수의 연구에서 제외되어 전반적인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여성 관련한 질적연구 주제의 확대와 각 학문 분야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o this end, 34 qualitative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were analyzed so far in databases (RISS4U, KISS, DBpia)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For a total of 34 papers, qualitative research trends we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sis publication year, academic field and journal nam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s, and the process of qualitative research according to the four dimensions of Hoyt&Bhati (2007).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trend analysis on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teadily researched since 2005, and the mos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econd, the most widely used research method was phenomenology, and vario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1. Third, the most research on social adaptation was conducted, followed by family/ relationships, mental health and psychology. Four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er s focus and the reporting and quotations of research results are frequently performed, but it is analyz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nfirmation through checked by independent auditors and minimization of the researcher s preconceptions are relatively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xpansion of qualitative research topics related to North Korean refugee women, implications for each academic field, and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