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 대상 단기 진로개발교육 효과 연구: 학습자의 진로인식 수준 변화를 중심으로

        노경란,전연숙 통일연구원 2009 統一 政策 硏究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gnitive change of learners who participate in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with early stage in their entrance. To accomplish this goal, it was employed paired comparison t-test, t-test, ANOVA as statistical analysis tools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pre-participation program and post-participation program. To achieve this objective, a career development program tailored to North Korean defectors was performed for 31 participants. And participants had taken assessment tests related to their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barrier before and after performing a education program. Paired comparison t-test, t-test, ANOVA were used as statistical methods to demonstrate their change in terms of a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barrier between pre-participation and post-participation. To sum up results of this study, first, North Korean defectors changed positively comparing pre-participation to post-participation. Through this result, it can be found possibilities that a kind of short education program will be effective for North Korean defectors’ cognitive change of finding careers. Second, it should be reviewed to apply a typ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to North Korean defectors because there are some factors which have not changed significantly, for example to boost their interest about job-selection. It can be explained that they need to additional steps to motivate themselves to explorer careers and to understand why they have to develop their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unlike North Korea. Third, contents and activities of educ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considered what problems are being faced by them urgently, such as families who remain in North Korea, broker fee, and so on. Fourth, it will be more effective if it is performed considering gap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hen a education program is provided to North Korean defectors. 이 연구는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의 직업세계로 원활하게 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진로개발교육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인식 변화 수준을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대상 프로그램 개발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원 수료 직전의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 31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진로미결정과 진로탐색장애에서의 변화를 차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육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의 진로미결정 및 진로탐색장애 상태가 개선되었다. 이로부터 단기간의 교육을 통한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 진로개발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적극적인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진로개발모형으로 전형적 모형의 하나인 인지적 진로정보처리모형(자기이해-직업세계이해-의사결정)을 활용하였으나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의 진로탐색장애를 개선하는데 역부족이었다. 상술하면 교육 실시 결과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이 직업선택에의 흥미 제고에서 낮은 수준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즉,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북한과 다른 진로개발과정을 경험해야 할 직업선택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고 직업선택으로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는 단계가 삽입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및 활동 개발에 있어 북한이탈주민이 직면하는 특정 과제에 초점을 맞춰 이를 지원하는 구체적 도구의 개발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하면 대인관계 어려움, 중요타인과의 갈등, 경제적 어려움 등이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의 진로탐색을 저해하는 요소로 쉽게 완화되지 않는 과제임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입국 초기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함에 있어 특히 학력에 따른 학습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입국 초기 새터민의 진로개발을 위한 직업카드분류법의 적용 연구

        노경란,전연숙 한국직업교육학회 2009 職業 敎育 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ssibilities of vocational card sort as a leaning method for the North Korea defectors at entrance early stage to improve their career decision status. To achieve this objective, vocational card sort was performed for 331 participants. And participants had taken assessment tests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level before and after performing vocational card sort. Paired comparison t-test, t-test, ANOVA were used as statistical methods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 of career indecision level between pre-participation and post-participation. To sum up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ir career indecision level decreased after taking part in vocational card sort. Second, sub-factors of career indecision were changed positively after participation except only motivation factor. Concretely, it was shown effective to improve lack of determination, deficiencies in knowledge of career and understanding themselves, conflict between career and themselves, conflict between surroundings and themselves. Third, it was demonstrated different chang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attribute such as education background, the length of their stay third countries, whether having children or not. 이 연구의 목적은 입국 초기 새터민을 대상으로 직업카드분류법을 적용하여 활동 참여자 개인적 변인에 따라 진로미결정 변화를 사전-사후 비교해 봄으로써 새터민 진로개발의 구체적 학습방법으로서 직업카드분류법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활용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고자 입국 초기 새터민 31명을 대상으로 직업카드분류법 활동을 전개한 후, 진로미결정 수준에서의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입국 초기 새터민은 직업카드 분류 활동을 참여하기 전에 비하여 참여한 후에 진로미결정 수준이 낮아졌다. 둘째, 진로미결정 수준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동기 부족 요인을 제외하고 결단성 부족, 직업에 대한 지식 부족, 자신에 대한 이해 부족, 직업과 자신간의 갈등, 외적인 조건들과 자신간의 갈등 등의 요인에서 참여 전후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업카드 분류 활동 참여 전후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과 가족동반 입국 상태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학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직업에 대한 지식 부족과 직업과 자신간의 갈등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한 차이가 상대적으로 컸다. 또한 제3국가 체류의 기간이 짧을수록 직업카드 분류 활동 후 직업에 대한 지식 부족 상태가 더 크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집단과 남한에 거주 중인 동거 예정 가족이 있는 집단에서 결단성 부족의 감소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① 입국 초기 새터민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에 있어 직업카드분류법은 짧은 시간 내에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 활용 가능하다. ② 직업카드분류법에의 참여는 새터민들로 하여금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직업정보 부족을 완화하는데 기여하였다 ③ 입국 초기 새터민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에 있어 직업카드분류법을 활용할 때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세분화는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