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책거리 그림과 器物 硏究

        신미란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Chaekgeori paintings make up a major decorative painting genre of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originated in China and came to be widely popular both in the royal palace and among ordinary people. The surviving examples of these still-life paintings having books and stationery as main subjects by chabidaeryeong hwawon who were the best painters of their time, temporarily recruited for royal court assignments in the late Joseon period, such as Jang Han-jong (1768-1815), and Yi Hyeong-rok (1808-?), indicate that the genre was practiced after the late eighteenth century, by court painters. Aside from books, objects frequently featured in chaekgeori paintings included ceramics and antique brassware and stationery; in sum, articles found in a tastefullydecorated gentleman’s study. Works by Jang Han-jong and Yi Hyeong-rok show a great deal of similarities in terms of items featured and meticulous pictorial techniques used to render them. This suggests that the genre was perfected by court painters of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court painters of subsequent generations followed the standards set by the former. Meanwhile, chaekgeori paintings found in Unhyeongung and Changdeokgung Palaces hardly differ from works by the two late-eighteenth-century painters mentioned above, both in terms of items shown and pictorial techniques used, indicating that the latter’s influence extended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the late Joseon era, with the emergence of a new class of wealthy people, as cultural commodities came within the reach of broader population, the demand for chaekgeori paintings grew as well. Chaekgeori themes were treated in folk paintings in a manner quite distinct from their precedents produced by court painters, in many aspects. The bookshelves, rendered irregularly or unevenly, conveyed a liberal impression, and the height of the painting was reduced, resulting in the disappearance of the bookcase and showing only books and stationery items, gathered together at the center. The types of objects featured changed as well, with practical everyday articles replacing refined articles like antiques exhibiting a discerning taste or books and paintings that project a scholarly atmosphere. Less and less room was devoted to books and stationery in favor of luxury articles such as tobacco pipes, hats and timepieces, catering to the taste of the new generation of buyers of chaekgeori paintings, desirous of showing off their wealth. The pictorial techniques were also less formalized or stylized than those of court painters,showing a greater degree of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ekgeori genre, a new style of painting intro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discussing how works of this genre varied in style depending on the social demand and how techniques changed over time. The paper also looks at imported craft items and commodities of the late Joseon and modern eras such as timepieces, cigarettes, reading glasses, and kerosene lamps that are represented in surviving chaekgeori paintings. Chaekgeori paintings examined in this paper are significant insofar as this genre reveals in telling detail the complex cultural phenomenon in the late Joseon period, in which the so-called minhwa (folk painting) genre, after originating in the royal court, gained currency outside its walls to become part of the popular culture enjoyed by ordinary people. 책거리 그림은 중국에서 연원하여 우리나라로 들어온 후 궁중에서부터 민가에 이르기까지 크게 유행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장식화이다. 조선 후기 최고 화원 화가들의 시험제도인 差備待令畵員의 祿取才와 張漢宗(1768-1815)·李亨祿(1808-?)과 같은 화원의 現傳하는 그림을 통해 책거리 그림이 18세기 후반부터 화원들에 의해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원 제작 책거리 그림의 기물로는 책을 비롯하여 자기와 고동기, 문방류 등 文房淸玩의 고상한 취미를 반영하는 것들이 주를 이룬다. 장한종과 이형록의 그림을 비교해보면 기물의 종류나 표현 방식에서많은 공통점을 보인다. 이를 통해 18세기 후반에 활동한 화원들이 책거리 그림의 정형화된 양식을 완성하였고, 이후 화원들은 이것을 모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운현궁과 창덕궁에서 사용된 책거리 그림들도 기물의 종류와 표현 양식면에서 두 화원의 그림과 큰 차이가 없어 이러한 양식은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신흥부호 세력의 성장과 문화 확산의 바람을 타고 책거리 그림의 수요자층도 확대되었다. 민화의 책거리 그림은 화원 제작 책거리 그림의 전형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 책가를불규칙적으로 구성하여 자유분방한 느낌을 주는가하면, 畵高가 낮아짐에 따라 책가가 사라지고 기물들만 가운데 集積되어 있기도 한다. 기물의 종류도 서화골동품의 감식안을 과시하고 면학적 분위기를 강조하던 것에서 벗어나 소비적, 실용적 성향을 보이는 것들로 채워진다. 책과 문방류의 비중은 줄어들고 담뱃대, 모자, 시계 등 실용적인 사치품이 대거 등장하여 경제력을 과시 하고자하는 책거리 그림의 새로운 수요자의 취향을 보여준다. 그리고 표현 방법에 있어서도 화원 제작 책거리 그림과 달리 그림마다 개성있는 표현을 취하였다. 이 논문은 책거리 그림을 통하여 조선 후기 새로운 회화 양식의 유입과 사용계층에 따른 취향의 다양성과 표현 방법의 변화 등을 고찰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수입된 공예품과 시계·담배·안경·石油燈등 새로이 전해진 근대적인 기물들도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책거리 그림의 변화는 소위 민화라고 하는 종류의 그림이 궁중에서 시작되어 민간으로 전파되어가는 과정과 조선 후기 복잡하고 다양한 문화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