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 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고현(Go, Hyun),박신희(Park, ShinHee),백지성(Baek JiSeong)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3 No.-

        본 연구는 유아 놀이성과 사회정서발달 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광역시 유치원과 전라남도 J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4~5세 유아와 유아의 부모 3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20년 9월 7일부터 11일까지 5일 동안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최종 315부가 본 연구를 해결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 놀이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사회정서발달 간의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유아 놀이성과 부모-자녀 상호작용은 유아 사회정서발달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놀이성과 부모-자녀 상호작용관계에서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매개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환경에서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해 놀이중심 활동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유아 놀이 활동 속에서 이들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해 부모의 언어적, 정서적, 행동적 상호작용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is study performed a survey targeting total 315 parents of children in their 4~5 year old of kindergartens in G metropolitan city, for five days from September 7th to September 11th 2020. Using the SPSS Program for the collected survey data, this study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children’s playfulness, parent-child interaction,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while the children’s playfulnes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were the variables predicting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the partial-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were significant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playfulness and parent-child intera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mply the importance of play-centered activities at home environment for the soci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lso to present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linguistic, emotion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of parents for their socioemotional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