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리원전 『命理正宗』에 함축된 病藥사상 고찰

        김만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7 東洋學 Vol.67 No.-

        In the late Ming Dynasty of China, Jangnam(張楠) pointed out the errors of the theory, japyeongmyeongli, from an analytical and critical perspective and tried to correct and improve the theory. As part of his efforts, Jangnam, in his book, 『Myeongrijeongjong (命理正宗)』, presented byeongyak(病藥) principle (method of illness and medication) in full extent. Although the byeongyak principle has been already employed in many other literature including 『Yeonhaejapyeong (淵海子平)』, 『Myeongrijeongjong 』 was the first literature to name it as byeongyak principle and organize its ideas. The byeongyak principle (method of illness and medication) bases on the phrases of 『Oeondokbo (五言獨步)』 that “It is nothing special that one never gets sick and becomes valuable only in the face of an illness. If an illness is removed in the constitution of Sajupalja, wealth and happiness are accompanied together(有病方爲貴, 無傷不是奇, 格中如去病, 財祿喜相隨)”. In addition, four illnesses(彫枯旺弱) potentially occurring in the original constitution of palja were listed and explained along with four medications(損益生長) of them. Jangnam’s byeongyak principle contradicts to the existing balancing theory of japyeongmyeongli because sajumyeongli had a different perspective on what the balancing was. Jangnam’s byeongyak principle, too, seeks balancing but the focus is not on balancing the entire saju based on the thing or ten celestial stems of birthday, the main part of sajupalja; but its focus was on the utilized gods by the ten celestial stems. For this reason, if the utilized gods got si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focus and secondary focus were reversed in trying to treat the illness. It is deemed that this is because of the gap in the theoretic frame and viewpoints between the classical japyeongmyeongli and contemporary japyeongmyeongli. 明代 말, 張楠은 기존 子平命理 이론의 오류를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지적하면서 수정 보완하고자하였다. 그 일환으로 장남은 자신의 저술 『命理正宗』에서 病藥法을 본격적으로 제시하였다. 물론 『淵海子平』 과 다른 문헌들에서도 이미 병약법을 취하고 있었지만 이를 ‘病藥說’이라고 이름붙이고 그 개념을 체계화한 것은 『명리정종』이 처음이다. 병약설은 “病이 있어야 비로소 귀하고, 傷함이 없으면 뛰어나지 않은 것이다. 格 중에서 병을 제거하면 재물과 복록이 기쁘게 서로 따른다(有病方爲貴, 無傷不是奇, 格中如去病, 財祿喜相隨).”라는 「五言獨步」의 구절에 그 근거를 두었다. 또한 팔자 원국에서 출현할 수 있는 4가지 병[彫枯旺弱]과 이를 치료하는 4가지 약[損益 生長]도 열거하며 설명하였다. 장남의 병약설이 기존 자평명리의 中和論과 상반되는 원인은 사주명리의 中和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즉 장남의 병약설도 중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중화의 초점이 사주팔자의 주인공인 日干, 혹은 體를 중심으로 한 사주 전체의 중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간이 사용하는 用神에 맞춰져 있어 용신이 병들면이를 치료하고자 하는데 있어 主客이 전도되었다. 이는 고전 자평명리학과 현대 자평명리학의 이론적 틀과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사주 오행 중 金일간의 강약과 질병의 연관성에 대한 명리학적 고찰

        이영숙 바른역사학술원 2023 역사와융합 Vol.- No.14

        사주 명조의 오행 중에 金이 태과(太過)와 불급(不及)인 경우에 인체의 불균형과 부조화가 생기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행 중에 金의 태과・불급 된 사주 명조를 황제내경(皇 帝內徑) , 동의보감(東醫寶鑑) 과 명리학 원전(原典)의 金오행의 태과와 불급 그리고 중화에 대한 원론적 내용을 고찰한 후, 金일간이 태과 할 때 설기하는 水木金이 들어올 때와 金일간이 불급할 때 도와주는 火土운이 올 때 그리고 金일간이 중화될 때 운의 상황에 따라서 인체의 질병이 발생하고 유지되는 현상을 ‘사례분석(case analysis)’의 방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金이 태과 된 경우와 불급된 경우에 질병이 발생한다는 것과 중화되었을 때 건강한 삶을 살아간다는 사실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金 오행만으로 한계성이 있으므로 추후 다른 오행의 연구가 요망된다.

      • KCI등재

        『滴天髓闡微』에 함축된 ‘精氣神’ 고찰 - 任鐵樵注를 중심으로 -

        송미규(宋?奎),김만태(金萬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0 No.-

        고대부터 양생가(養生家)들은 인간 생명의 근원인 삼보(三寶)로서 ‘정기신(精氣神)’을 매우 중시하였다. 그리고 정기신의 상생·순환 논리도 늘 강조되어왔다. 정기신론(精氣神論)은 선천(先天)에서는 형이상학의 천지만물이 서로를 포함하는 관계에, 후천(後天)에서는 자연과 인체를 연결하고 순차적으로 나열하는 것에 주목하고 있었다. 그러나 선후천(先後天) 모두 정기신이 ‘순환의 논리로 통함’은 같았다.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는 이러한 정기신 관념을 담아내고자 한 명리서(命理書)인데, 요지는 중화론(中和論)과 정기신론에 있다. 즉, 사람의 운명(運命)을 유기체적 구조로 이해하고 ‘유통(流通)하여 생화(生化)를 얻는 것’에 중심을 두었다. 그러나 정기신이 체계적으로 서술되지 않은 아쉬움이 있기에 『적천수천미』에서 부정합(不整合)하고 혼용되어 나타나는 의미들을 현대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본 글에서는 『적천수천미』 〈원서(袁序)〉에서 원수산(袁樹珊)이 오행의 생극(生剋)·쇠왕(衰旺)·전도(顚倒)의 이치를 “왕(旺)한 것은 극(剋)하는 것이 마땅하지만 지나치게 왕성하다면 설(洩)하는 것이 마땅하다. 약한 것은 생(生)하는 것이 마땅하나 지나치게 쇠약하다면 극하는 것이 마땅하다. 이 두 조목의 뜻이 가장 훌륭하며 깊다.”라고 평한 내용에 기초하여 ‘정기신’ 논리를 살폈다. 『적천수천미』 「통신론(通神論)」의 〈천간(天干)〉·〈형상(形象)〉·〈정신(精神)〉·〈관살(官殺)〉·〈청기(淸氣)〉와 「육친론(六親論)」의 〈하지장(何知章)〉·〈질병(疾病)〉·〈지위(地位)〉 등에 정기신이 정기(精氣), 신기(神氣), 정신(精神) 등으로 혼용된 것으로 볼 때, 원기(元氣)가 사주와 운에 고루 유통되어 중화(中和)를 이루려면 통근(通根)을 먼저 보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임철초주(任鐵樵注)의 사례에서 통근의 유무(有無)로써 전체의 순환구조를 파악하고, 통근하였다면 일간[日干·日主]의 강약을 논하지 않는다는 ‘정기신론’의 특징이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사람의 명(命)을 격국(格局)과 용신(用神)으로 살피기 전에 중화론과 정기신론으로 먼저 살펴본다면 그 오차범위가 적고 논리적인 추론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Yangsaengga(養生家) has regarded ‘Jeonggisin(精氣神)’ as very important as three jewels (三寶), the root of human life, since ancient times. And the logic of circulation of mutual aid was always emphasized in Jeonggisin. The Jeonggisin theory (精氣神論), In the previous generation (先天), attention was pai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aphysics of heaven and earth inclusive of each other (天地萬物), and in the later generation (後天), attention was paid to connecting nature and the human body and arranging them sequentially. But one common feature is that both the previous and later generations (先後天) put the emphasis on ‘Application of logics of circulation’ into Jeonggisin. Jeokcheonsucheonmi (滴天髓闡微) is a book (命理書) that tries to capture this notion of Jeonggisin, and the core is in the theories of Neutralization (中和論) and Jeonggisin. In other words, it focused on understanding a person’s fate (運命) in an organic structure and ‘getting Saenghwa(生化) by Yutong(流通)’. Yet, unfortunately, Jeonggisin was not described systemically. So, the disorderly and mixed meanings in Jeokcheonsucheonmi was considered from the contemporary viewpoints. In this study, ‘The theory of Jeonggisin’ was examined based on the content that Won, susan(袁樹珊) evaluated Ohaeng(五行)’s Saenggeug(生剋)·Soewang(衰旺)·Jeondo(顚倒) logic as “It is appropriate to do Geug(剋) for what is Wang(旺), but if it is too Wang, it is appropriate to do Seol(洩). For Yag(弱), it is appropriate to do Saeng(生), but if it is too Yag, it is appropriate to do Geug. The meaning of these two articles is the greatest and deepest.” in 〈Wonseo(袁序)〉 of Jeokcheonsucheonmi. Considering that Jeonggisin combines Jeonggi(精氣), Singi(神氣), and Jeongsin(精神), in 〈Cheongan(天干)〉·〈Hyeongsang(形象)〉·〈Jeongsin(精神)〉·〈Gwansal(官殺)〉·〈Cheonggi(淸氣)〉 of 「Tongsinron(通神論)」 in Jeokcheonsucheonmi , the text on the explanation of Saju(四柱) or fate, and 〈Hajijang(何知章)〉·〈Jilbyeong(疾病)〉·〈Jiwi(地位)〉 of 「Yukchinron(六親論)」, it is emphasized that the fundamental root (元氣) should be established (通根), so that vitality can be circulated in Saju or fate and fortune, evenly, without biased toward a single element (中和).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case Im, Cheolcho’s annotations (任鐵樵注), the overall circulation structure was grasped by whether it took root or not (有無), and if it took root, the characteristic of ‘Jeonggisin theory’ was revealed, not discussing the rigidity and weakness of Ilgan[日干·日主]. Before we look at the fate of a person (命) with Kyukguk(格局) and Yongsin(用神), if we think of Jeonggisin theory and Neutralization theories first, perhaps the margin of error is small and logical inference i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