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독서토론에 관한 연구:‘신호등 토론’을 응용한 방식을 중심으로

        정효진(Jeong Hyo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신호등 토론을 응용한 방식을 통하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독서토론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2학기 Google Meet로 진행된 D 대학 교양 필수 교과목인 ‘독서와 토론’ 수강생을 대상으로 신호등 토론을 응용한 방식을 적용하였다. 결과 토론 내용을 분석한 결과 ‘비형식적 논증 형태의 활용’, ‘논제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참여 형태 변화’, ‘상대방 주장에 대한 반박 논거 생성의 부족’ 등의 특징이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토론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고, 실시간 원격수업 환경에서의 독서토론은 ‘논리, 주장, 설득, 반론, 근거’보다 ‘공감, 경청, 소통, 이해, 상호작용’이 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숙의를 구성하는 5가지 요소 중 ‘참여도 및 상호작용성’, ‘다양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고, 숙의는 합의 지향적 관점보다 협력 지향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를 통하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독서토론을 위한 지향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find effective reading discussion methods in realtime remote learn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traffic light discussion.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a method of applying traffic signal debate on students of ‘reading and discussion,’ a liberal arts mandatory subject in D University conducted through Google Meet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bate contents, characteristics as ‘utilization of informal argumentative forms,’ ‘changes in the form of students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opic for discussion,’ and ‘lack of rebuttal argument for other party s argument’ have appear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discussion was high, and it was identified that ‘sympathy, listening courteously,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interaction’ are considered as more important factors than ‘logic, contention, persuasion, counterargument, and basis’ in reading discussion in the realtim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Also, it was identified that ‘degree of participation and interactivity’ and ‘diversity’ are considered most importantly among the 5 elements of deliberation, and it was identified that people consider that it is desirable to view deliberation from a cooperation-oriented perspective than agreement-oriented perspective. Conclus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pointing spot for effective reading discussion in realtime remot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