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대사 속의 재난과 이동 - 고조선의 영역 변천을 중심으로 -

        김성한 ( Kim Seong-ha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69 No.-

        한국고대사에서 고조선의 이동은 재난과 그 재난에 대한 피난 활동이었다. 고조선은 전국 연의 침공을 받아 오늘날 하북 노령현 일대에서 오늘날 요하 바로 동쪽으로 그 중심지를 이동하였으며, 중원을 통일한 진의 침공을 받아 재차 그 중심지를 동쪽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고조선이 최종적으로 왕험성에 도읍을 하였던 것이다. 학계는 중국 당나라 사람이 고조선의 왕험성을 고구려의 평양성과 동일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보는 인식에 기초하고, “평양에 도읍을 두었는데, 장안성이라고도 한다”는 중국 사서의 기록에 근거하여, 왕험성의 위치를 오늘날의 평양지역에 비정하고 있다. 하지만 낙랑군의 존속하였던 시기에 처음 축성된(247년) 평양성은 낙랑군이 물러난 이후에 증축되었으나(334년), 수도가 되고(427년) 수도가 장안성으로 옮겨질 때까지도(586년) 그 위치를 옮긴 적이 없었다. 북위 사람 역도원이 고구려 사신으로부터 직접 들은 정보에 근거한 515~524년경의 기록에 따르면, 왕험성이 위치한 고구려의 평양성과 낙랑군 조선현은 동일 지역이 아니라, 浿水를 따라 각각 동과 서에 위치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고조선의 도읍 왕험성,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 낙랑군의 치소 조선현은 오늘날 평양지역에 위치하였을 가능성이 없다. 오늘날 평양지역에서 발굴된 고구려의 長安城은 중국 사서에 언급된 平壤城·國內城·漢城 3京의 하나인 漢城일 가능성이 크다. 漢城은 중국 사서에 보이는 반면에 우리 사서에는 축성에 관한 내용이 확인되지 않는 반면, 長安城의 축성 내용은 확인된다. 게다가 漢城은 國名, 長安城은 漢의 도읍명이라는 관계도 주목해야 한다. When the Zhou Dynasty declined, the Lord of the Yan State called himself the king, and intended to expand the territory to the east, where Gojoseon was located. Joseon’s Hou (marquis), a descendant of Jizi, also called himself the king and conspired to attack the Yan State to dignify the Zhou royal family. However, Joseon’s Hou took the advice of Li, a minister, and abandoned the conspiracy. Then, Joseon’s Hou sent Li as an envoy to the Yan State to make a compromise that the Lord of the Yan State should call himself the king and the ruler of Gojoseon should keep the position of Hou, and this led to the Yan State’s quitting the eastern expansion policy. The Warring State of Yan, which was in the heyday, ordered General Qin Kai to invade Gojoseon on the pretext that the descendant of Joseon Hou was arrogant and tyrannical. As a result, the Yan State occupied the land equivalent to approximately 2,000 li (7,854,000 m) in the western region of Gojoseon, and dispatched the administrator to the region and built a fortress. Thus, Gojoseon of Jizi, which was located in the present Lulong County of Hebei province, moved east of the Manpanhan area, which was newly bordered with the Yan State. Prior to this, the Yan State ordered General Qin Kai to invade Donghu in the east and occupied the land equivalent to approximately 1,000 li (3,927,000 m). The Yan State established five counties - Shanggu County, Yuyang County, Youbeiping County, Liaohsi County and Liaotung County - in the land taken from Donghu and Gojoseon, and built a long fortress wall. Among the five counties, Liaohsi County and Liaotung County were established in the land equivalent to approximately 2,000 li (7,854,000 m) taken from Gojoseon, and Liaotung County adjoined the western region of Manpanhan, which was located west of the QianShan mountain range. In the process of unifying China, the Qin Dynasty invaded Jicheng, the capital of the Yan State, and the king of the Yan State fled to Liaotung. The Qin Dynasty even attacked Liaotung and destroyed the Yan Dynasty. Further, the Qin Dynasty invaded and destroyed Gojoseon, and built the outer fortress of Liaotung on the newly occupied land and annexed Gojoseon. Thus, the fortress that the Yan State built to manage the boundary with Gojoseon were no longer useful. After the Han Dynasty replaced the Qin Dynasty, it abandoned the outer fortress of Liaotung which was built during the Qin Dynasty, because it was far apart and thus difficult to maintain. Then, the Han Dynasty repaired the old fortress built by the Yan State, and bordered Gojoseon on Pei Creek in the east. As a result, the land occupied by the Qin Dynasty, which ranged from Pei Creek in the west to the outer fortress of Liaotung in the east, became an area that does not belong to any country. Thus, in the chaotic period from the late Qin dynasty to the early Han dynasty, the people of the Warring States of Yan, Qi and Zhao fled to the area and began to reside there. Wiman, a relatively late migrant, led as many as a thousand people and came to Gojoseon. King Junwang of Gojoseon gave him a position of the learned man and ordered him to defend the western frontier of Gojoseon. Afterwards, Wiman launched a coup d'etat to oust King Junwang, and became the king of Wanggeomseong. The location of Wanggeomseong, the capital city of Gojoseon, later became home to Pyongyangseong of Goguryeo, which is different from the Janganseong of Goguryeo called Pyongyangseong today. Goguryeo occupied Hanseong area of Baekje and built a castle, which was called Hanseong. Hanseong was called Janganseong after the capital was transferred. At the time when Pyongyangseong was built, Lelang commandery was located in Gojoseon, so it could not be located in the same area as Joseon Prefecture, which was the governing place of Lelang commandery. The sources and mouths of Pei Creek and Lie River belonged to Lelang commandery of the Pre-Han period, which the Han Dynasty established after destroying Gojoseon, and they were outside the territory of Lelang commandery since the Three Kingdom era. Then, Pyongyangseong was built in the north of Pei Creek, and Lelang commandery was located in the west.

      • KCI등재

        일제강점기 단군부정론과 고조선 영역축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중심으로-

        오현수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9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Japan sought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Korean peninsula rule by distorting Dangun and Dangun Joseon. Japanese scholars who led the distortion of history of Dangun and Dangu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clude Oda Shogo and Imanishi. Oda Shogo said that Dangun myths were fabricated by Buddhist figures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re was no related record before that. The Dangun myths described in the Samguk Yusa are accompanied by Buddhist, but this happens naturally because the recorder, Ilyeon, was a monk. Anyone can reflect their personal perception, feelings, and ideological background when describing history book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Dangun myths contains not only Buddhism but also Taoism,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religious elements.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of Dangun myth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mythology, archaeology and literature. There were studies on the bear totem mythology, ancient mother mythology,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tombs in the Jian area, and the faith of 'Jecheon and Jeho' in Dongye. On the other hand, Imanishi Ryu said that Joseon was overwhelmed by the forces of the Yan Dynasty and retreated to the south of the Daedong River, and Yan and Jin occupied the north of the Daedong River. He is a complete disregard for the history of Gojoseon. However, the fact that Gojoseon already existed before the Gojoseon-Yan war has been proven in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studies. The record of 'Baljoseon' described in Guanzi and the non-wave-like bronze sword culture in northeast China tell the historical situation of Gojoseon before the Chosunhou' rule period. And the boundary between Gojoseon and Yan is the manpanha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manishi Ryu's view to limit the area of Gojoseon to some parts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wrong.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d no interest in restoring the history of Dangun, Dangun Joseon, or Gojoseon. Today, Korean historians can say that most of the remnants of colonial history have been liquidated, but the critical review of Japanese scholars' distortion of history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일제강점기 일본은 한국사 왜곡을 통해 한반도 통치의 정당성을 찾고자 하였다. 통칭 ‘식민사관’으로 통하는 역사작업 중 일제가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 분야는 단군과 단군조선에 대한왜곡이었다. 이 작업에 가장 앞장섰던 일본인 학자로는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들 수 있다. 오다 쇼고의 단군전승에 대한 언급 중에서 주목해서 검토할 만한 주장은 고려 후기 불교계인물이 날조했다는 것, 충렬왕 이전에 단군전승에 대한 기록이 있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말한부분이다. 우선, 오다 쇼고의 주장처럼 『삼국유사』에 기술된 단군전승에는 불교적 윤색이 가미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삼국유사』의 기록자가 일연이라는 승려였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누구라도 역사서를 기술할 때 자신의 개인적 인식이나 감정, 사상적 배경이 반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삼국유사』 이전에 단군전승을 기록한 문헌이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리 학계에서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신화학, 고고학, 문헌학 방면에서 이를 극복할만한 많은 연구 업적들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마니시 류는 조선이 전국시대에 연나라의 세력에 압도되어 열수, 즉 대동강 남쪽까지 후퇴했고 연나라와 진나라는 대동강 북쪽까지 점유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전 고조선의역사는 철저히 무시되었다. 그렇지만 고조선-연나라 항쟁 과정 이전에 고조선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은 문헌과 고고학 방면의 연구에서 입증되고 있다. 『관자』에 기술된 발조선과 아울러중국 동북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는 춘추시대 혹은 전국시대 초반 고조선의 존재를 알려준다. 그리고 고조선과 연나라의 경계에 대해서는 『위략』에서 만번한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현재만번한은 문현과 번한현의 합성어로 보고 있는데, 이는 『한서』 「지리지」의 <요동군>조에 나오고 있다. 그리고 연나라의 침입 이전 고조선은 요동 지역에서 정가와자유형의 문화를 기반으로하였다는 점에서 고조선의 영역을 한반도 서북부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려는 이마니시 류의견해는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은 단군과 단군조선 혹은 고조선에 대한 역사 복원에는 아무런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식민사관에 입각하여 단군조선의 역사성을 부정하고, 이 또한 연나라와 항쟁하던 전국시대 후반의 사실만을 인정하는 선에 그치고 있다. 오늘날 고조선사학계는식민사학의 잔재를 대부분 청산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인 학자들의 역사 왜곡에 대한 분석과 비판적 검토 작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고조선사의 진면목이 더욱 부각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