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감화법 향상 프로그램 개발

        허순향,김항중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공감화법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진행은 4단계로 이루어졌는데, 첫 단계는 공감에 중심을 둔 공감화법향상을 위한 강의모형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요구조사를 통하여 집단상담기반 공감화법향상 모형을 구축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설계된 모형을 실제 강의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최종적인 공감화법향상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이 연구가 제안하는 공감화법향상모형은 긍정화법, 해결화법 및 소통화법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의 세 가지 구성요소가 삼위일체를 이룰 때, 공감화법이 신뢰와 만족, 및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사연구와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연구는 대전/세종/충남에 거주하는 10대부터 60대까지 510명을 대상으로 공감화법, 신뢰 및 행복척도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21을 이용하여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 공감화법에 따른 신뢰와 행복의 차이를 분산분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하였다. 둘째, 공감화법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이 공감화법을 잘못 사용하는 사람들보다 신뢰가 더 높았다. 셋째, 공감화법을 잘 사용하는 사람들이 공감화법을 잘못 사용하는 사람들보다 더 행복하였다. 실험연구는 40명의 대학생과 24명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공감화법향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전후의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는데, 연구결과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에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 effective program of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The study consist of four phrases, first phase was development of lecture model for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based on empathy. Second phase was building of model of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based on group counseling through demand survey. Third phase tested effect of the model apply to lectures. Last phase completed final program of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As a suggestion, the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model consists of positive talk, solution talk, and dialogue talk. When these components form trinity, the effects of empathic talking will be the highest and power to empathic talking will makes people more trustable, more satisfactory and happier. In order to test suggestions, survey and experiment were conducted. Survey was collected 510 people from 10 to 60 residents in Daejeon/Sejong/Chungnam province with the questionnaire including empathic talking, trust, and happines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s were analyzed and were tested differences of trust and happiness according to empathic talking using SPSS2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good in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Second, those who have high empathic talking are at a higher level of trust than those who have low empathic talking. Third, those who have high empathic talking are happier than those who have low empathic talking. Also, experiment conducted 40 undergraduates and 24 graduates to participate empathic talking improvement program. Findings show participants feel more satisfactory in life than before particip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행복증진 개입 프로그램이 게임 중독 대학생의 행복감, 스트레스 대처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손국환 한국웰니스학회 2014 한국웰니스학회지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게임 중독 대학생의 행복감, 스트레스, 대처 및 정서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행복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D 대학교에 재학 중인 게임중독 학생 2명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적용된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행복 증진 관련 선행연구, 전문가 의견, 연구 참여자 면담 자료를 통합하여 개발되었다.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오리엔테이션, 신뢰형성, 자아존중감 향상, 내적 통제성 제고, 대인관계 제고, 행복 실천 전략 부분으로 구분되어 60분씩 9회기로 진행되었다. 행복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행복 검사지, 스트레스 및 대처 검사지, 기분상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단일피험자 사례 설계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게임 중독 대학생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게임 중독 대학생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면 대처 능력은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증진 프로그램은 게임 중독 대학생의 기분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on happiness feeling, stress, coping strategy and emotion of college student with game addictio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two college students with game addiction.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was composed of previous researches, participant interview and expert discussion.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comprised 9 sessions with a hour. The effectiveness of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happiness feeling inventory, stress and coping strategy inventory and profile of mood state inventory(POMS). This study used single subject design.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ly,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increased happiness feeling of university student with game addictions. Secondly,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decreased stress and increased coping strategy of university student with game addictions. Thirdly,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improved emotion of university student with game addictions.

      • 학생 데이터에 기반한 대학생 행복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성원(Lee Sung Won),정두리(Jung Du Ri) 전국대학교학생상담센터협의회 2019 대학생활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H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맞춤형 행복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소속 대학 재학생들의 설문조사, 인터뷰, 전문가 자문, 요구도 조사 등의 개발과정을 진행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시범운영을 진행하여 참여자 평가를 통한 점검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H대학교 학생 데이터에서 도출한 주요 행복요인은 자기조절능력, 사회적지지, 낙관성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활동을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별 학생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학생 대상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여 적용하는지 과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for H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this program, we conducted process such as surveys, interviews, expert advice, and needs surveys of the students in the university. And, the format of happiness improvement program was comple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ilot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presenting the process of using student data to develop a program suitable for each student s characteristics in developing various programs for student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by actually operating activities related to major happiness factors derived from H university student data.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