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문제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모델의 수업적용 및 효과분석

        강현선(Hyun Sun Kang),손연아(Yeon-A So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 지원으로 손연아 등(2014b)이 개발한 사회문제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모델 중 그룹탐구모형과 배려모형 적용 수업모델을 『환경과 녹색성장』교과 수업에 적용하고, 그 수업과정 및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업적용 전에 수업모델 개발진과 현장 적용 교사의 협의내용을 바탕으로 수업모델을 분석 · 보완하였고, 이를 경기도 소재 S고등학교 1학년 2개 반에 적용하였다. 먼저 수업과정은 개발진-수업적용 교사 협의내용, 교사성찰일지, 학생면담지를 바탕으로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역량 평가 검사지(손연아 등, 2014b)’를 사용하여 사회문제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모델 적용전 · 후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이 환경, 경제, 사회의 각 부분이 동시에 고려되지 않는 분절된 개념에서 통합적이고 균형적인 개념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학습자들은 수업을 통해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개념을 환경적, 경제적 측면의 지속가능성 뿐만 아니라 사회적, 윤리적 측면까지 포함하여 인식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용한 수업의 영향으로 지속가능한 사회 건설을 위한 그린워싱 광고를 분별하여 녹색소비를 실천하고, 학교와 가정, 지역사회에서 배려행동을 실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업적용 전, 후 학습자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변화를 살펴볼 때, 인지 및 기능, 태도의 측면에서 학습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대부분이 평균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논리적 사고력과 자아효능감을 제외한 모든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Social Problem Solving (SPS)-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structional Models, which was developed by Son and others in 2014 for advancing recognition on ESD in school education and for the systematic application of the ESD through the integrated approach within curricular, to the Environment and Green Growth classes and to give an analysis of the instruction process and its effect as well as to seek a solution for the instruction models. For this, the instruction models of group investigation model and the care model were applied in two classes of the 10th grade of a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Korea.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the class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on the basis of teachers reflection diary and the interview sheets of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ents change of ESD ability was analyzed using a quantitative method on the basis of the Assessment Sheet of the ESD Competenc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recognition of ESD was changed from the fragmented one, in which each factor, such as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was not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o create an integrated and balanced concept. That is, it appeared that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they recognized included not only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but also the social and ethnical. Moreo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lesson, the learners attitude toward life had been positively changed. This was disclosed through careful activities in their home, school and communities, practicing green consumption in distinguishing green-washings for construction of the sustainable society. Lastly, as change of the ESD competencie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all their competencies were on average advanced in their cognitive and behavioral respec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abilities except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self-efficacy.

      • KCI등재

        중학생의 전통 식생활교육을 위한 탐구 수업 모형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김유정(Yu-Jeong, Kim),오수진(Soo-Jin, O),이지은(Ji-Eun, Lee),유지연(Ji-Yeon, Yo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0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 No.24

        청소년에게 우리나라 전통음식의 우수성과 가치를 알리고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통 식생활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술⋅가정 교과내의 전통 식생활교육에 대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식생활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하여 전통 식생활에 대한 개념정리를 하였으며,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의 전통 식생활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발달수준, 사회적 요구, 가정과 교과의 성격을 고려하여 중학교 3학년 기술⋅가정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소집단 토의학습을 배경으로 한 집단 탐구수업 모형을 선택하였으며, “전통음식의 조리원리와 활용방안”을 집단탐구활동의 주제로 설정하여 총 5차시로 개발하였다. 1차시에는 상황제시 및 문제설정과 탐구계획의 단계로서 전통 식생활의 중요성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자료를 준비하여 보여주고, 학생들이 학습주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상황을 제시한다. 그리고 탐구주제별로 집단을 나누어 자신이 흥미를 가지고 있는 주제를 탐구하는 집단으로 들어가 토의를 통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역할을 분담한다. 탐구활동의 전개단계인 2-3차시에는 전통 식생활의 우수성과 활용방안을 탐구하기 위하여 자료를 찾아 수집하고, 토의를 통하여 자료를 정리하고 종합한다. 또한 4차시의 조리실습은 탐구전개과정의 연장으로서 학생들은 실습을 통해 전통음식의 조리원리를 이해하게 된다. 5차시에는 학생들이 전통 식생활에 대한 긍지와 올바른 인식을 함양했는지 확인하고, 집단탐구활동에 대한 소감문을 작성한다. A systematic education of Korea's traditional eating habits is required to awaken our juveniles to the excellency and worth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to inspire them with correct recognition of the habits. Th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concerning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in the technical & home economics curriculums for middle-school students. To do so, the con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was defined through review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in practical arts(technical & home economics) curriculum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for the developmental levels of learners, social need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the author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model applicable to technical & home economics curriculums for third-year students at middle school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employed in this study adopted the group investigation model with the background of small-group discussion learning, and “the principles of cooking Korean traditional food and their application plan” were selected as a subject for group investigation activity. In total, five steps were designed. In the first step for situation presentation, problem posing and inquiry planning, various materials to attract students' attention about the significance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are provided for them and an appropriate situation is presented so that they can inquire into the given learning subject. And grouping is performed by inquiry subjects so that individual students are assigned to groups inquiring into the subject they feel interested, and planning and deciding who does what were conducted through discussion.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phases of inquiry activity, data are collected, and they are sorted and generalized through discussion, in order to inquire into the excellency and application plans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Next, in the fourth step, students perform cooking practices as a part of inquiry development and naturally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cooking the traditional food. Finally, in the fifth step, it is checked whether students have been inspired with pride in and correct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and the students are asked to write down their impressions of group inquiry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