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의 자유선택활동 및 바깥놀이에서 사용되는 교재교구의 제작 및 구입, 활용 현황 분석

        김정숙 ( Jung Suk Kim ),박진아 ( Jin Ah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manufacture, purchase and utilization on kindergarten learning materials.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operated on-line questionaries for 409 teachers in 409 kindergartens.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 data, frequency, chi-square, t-test, ANOVA,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manufacture and purchase showed that teachers mainly were planned and made learning materials. They deeply troubled by lack of time for making the learning materials. For the public kindergartens, teachers purchased learning materials; however, for the private kindergartens, principals purchased them in consultation with teachers. Also, there were many problems to purchase learning materials like inappropriate things and high price, etc.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showed that there were proper in kindergartens but teachers demanded more often to wash and disinfect frequency than and actual state. And they were in trouble with knowing which learning materials were broken and lost partly by the learning material documents. 본 연구는 유치원 교재교구의 제작, 구입,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09개 유치원에 근무하는 409명의 유치원 교사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응답자의 일반적 현황, 제작 및 구입 현황, 활용 현황의 3개 영역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 검증, t-test, ANOVA, Fisher’s 정확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재교구는 주로 교사가 계획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재교구 제작 시 시간 부족이 가장 큰 어려움이었다. 교재교구 구입 시 의사결정 주체는 공립유치원은 교사 개인이나 교사 간 협의가 많은 반면 사립유치원은 원장(감)이나 원장(감)과 교사의 협의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재교구 구입 시 문제점은 교육내용에 적합한 교재교구의 부재, 고가의 가격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교재교구의 활용 및 관리는 잘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척 및 소독빈도는 실제 이루어지는 것보다 이상적으로는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재교구 관리 대장 사용 시 불편사항으로는 교재교구의 파손 및 분실된 부분에 대한 파악의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