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매체 시대의 문학 독서 교육 방향

        최인자 ( In Ja Choi ) 한국독서학회 2004 독서연구 Vol.- No.12

        이 논문은 다매체 시대, 문학의 생산과 존재 방식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 독서교육에서 ‘문학 독서’ 개념의 확장과 문학 독서 개념의 하위 내용 요소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다매체 시대, ‘문학 독서’는 기존의 ‘읽기’ 개념 보다는 ‘의미화 실천’(signifying practice)‘이라는 포괄적 용어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르면, 다매체 시대 문학 독서교육은 첫째, 문학과 매체의 상호매체성에 주목하여 차이와 상호연관성을 포괄적으로 교육하되, 개별 매체, 개별 장르들의 차이를 강조하는 개별적 접근보다는 상호연관을 중시하는 통합적인 접근이 더 유의미하다. 둘째, 문학 독서의 미적 성격과 사회 문화적 성격을 균형감 있게 고려해야 한다. 셋째, 다매체의 문제는 다문화와 함께 결합되어 있다. A task of this study is to seek expansion of the concept of literary reading and the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content which is suited to the age of multi-media. It is necessary to extend from the concept of literary reading to inclusive `signifying practice`. According to this concep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literary reading education is to consider the inter-media relation between print media and audio, visual, digital media. The content structure of literary reading education is 1) individual reading 2) social-culture context reading, 3) transformation and reading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