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 관점`의 근본 틀, `칭의` 이해, 그리고 신자의 `행위` 이해에 대한 비판적 연구

        김정훈 ( Jung Hoo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52 No.-

        개신교회는 지난 500년 동안 인간이 그리스도를 믿고 그와 세례적 연합을 이룸으로써 그리스도의 의를 전가 받아 하나님께 의롭다함을 받고, 결과 구원에 이르게 된다고 하는 신앙을 견지해 왔다. 하지만 최근 30여년 어간에 소위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이하 `새 관점`)은 이신칭의를 핵심으로 하는 개혁신학 사상에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새 관점 학자들은 전통 신학이 수 백 년 동안 성경의 본문을 조직적으로 곡해해 왔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국내외 신학계 전반에 심각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들은 개혁 신학자들이 사용해 온 중요한 용어들 곧 선택, 언약, 은혜, 순종, 속죄, 믿음, 의, 성령의 인도, 심판, 구원 등의 용어들을 공통적으로 사용하면서 개혁주의 사상과 전혀 다른 신학체계를 제시한다. 개혁신학과 새 관점 간의 논쟁의 핵심은 “의롭게 됨”(칭의)의 의미가 무엇이며 인간의 선행에 어느 정도의 구원론적 의미를 부여할 것이냐 하는 데 있다. 가장 치밀한 방식으로 새 관점의 프레임을 제시한 사람은 샌더스(E.P. Sanders)다. 그는 새 관점의 핵심 사상을 “언약적 율법주의”라는 용어로 요약한다. 그는 유대교가 율법주의 종교가 아니라 은혜의 종교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가, 인간의 행위가 구원의 최종 원인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율법에 대한 순종을 구원의 필수 조건으로 간주하는 한, 유대교가 은혜의 종교라는 그의 주장은 무색해질 수밖에 없다. 그는 칭의를 이방인들이 믿음을 통해 언약백성의 대열에 합류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주장은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아브라함 언약을 율법주의적 사고의 틀 안에 우겨넣고 이해하려는 것을 뜻한다. 언약과 율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해석학적 관점의 축을 그리스도께 두었을 때에 가능해진다. 개혁신학은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바울서신을 이해해 왔다. 던(J.D.G. Dunn)은 샌더스를 발판으로 삼고 언약적 율법주의 체계를 보다 강고하게 다져온 학자다. 그는, 언약적 율법주의와 바울 사상의 차이를 인정한 샌더스와 달리, 바울을 유대교의 맥락/스펙트럼 안에서 언약적 율법주의 사상을 견지했던 사도로 본다. 하지만 던이 이방인들이 믿음을 통해 언약 백성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칭의”라고 보는 점에서 그의 입장은 샌더스와 동일하다. 그는 칭의가 구원론적 개념이 아니라 교회론적 개념이라고 본다. 그는 그리스도가 죄인들의 대표로서 대속적 죽음을 죽는다는 것은 허구와 같은 것이며, 단지 죄인들이 그의 죽음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그가 개혁신학의 “그리스도의 의의 전가” 사상을 거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던은 구원 문제와 관련하여 인간의 행위의 공로를 인정하는 입장에서 “율법의 행위”를 율법의 준수 개념으로 보지 않고 할례법, 음식법, 안식일법과 같은 특정 규정들로 본다. 이것은 언약적 율법주의가 행위의(行爲義) 사상이 아니라는 것을 주장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유대교 사상 가운데 행위의(行爲義) 사상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었다는 문헌적 증거들은 샌더스나 던의 주장을 의심하게 한다. 던이, 라이트나 헤이스(R.B. Hays)와 같은 학자들과 달리, “그리스도의 믿음”(pis, tij Cristou/)을 목적격적으로(즉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이라고) 이해한 것은 그의 큰 공헌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가 그리스도의 죽음을 대속적 죽음으로 보지 않는 한, 이 두 헬라어단어에 대한 그의 해석학적 노력은 빛이 바랠 수밖에 없다. 라이트(N.T. Wright)는 무수한 저술 활동을 통해 언약적 율법주의를 심화, 발전시킨 인물이다. 그의 방대한 저술 작업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그 역시 전통신학의 “의의 전가” 사상을 거부한다. 그에게 칭의란 유대인들에게는 언약 백성의 지위를 유지하는 것이며, 이방인들에게는 믿음으로 그들의 그룹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그에게 언약적 율법주의는 구원론이 아니라 교회론이다. 그는 바울이 두 단계의 구원론을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첫 단계의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로 최초로 의롭다 함을 받아 그의 언약백성이 되는 것이고, 둘째 단계의 구원은 성령의 인도를 받아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순종함으로 마지막 심판에서 최종적으로 의롭다함을 받는 것이다. 이것은 그가 인간의 행위를 구원을 위한 조건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새 관점의 “언약적 율법주의”는 “칭의” 개념을 교회론적 개념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종래에 개혁신학이 가르쳐 온 “칭의”의 의미와 전혀 다른 뜻을 가진 개념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는 본질적으로 종교적, 수직적 차원과 결부된 “믿음”의 의미를 훼손시키는 것을 뜻한다. 새 관점이 칭의를 교회론적 개념이라고 주장하면서도, 결국 인간의 행위를 구원론적 조건으로 보는 것은 칭의가 본질적으로 구원론적 개념임을 인정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칭의란 구원론적 요소와 교회론적 요소를 동시에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믿음의 행위는 단순히 칭의에 수반되어 나오는 실재이거나 최종적 구원을 위한 조건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현재에서 칭의의 증거로서 기능을 하는 실재다. 마치 행위에 따른 심판을 언급하는 듯이 보이는 수많은 바울의 본문들은 하나님께서 최후 심판 때 칭의의 증거로서의 행위를 참 믿음과 거짓 믿음을 판별하는 중요한 하나의 기준으로 삼으실 것을 분명하게 암시해 준다. For the last 500 years Reformed churches have held on the belief that man is to be justified by being imputed of Christ`s righteousness through his baptismal incorporation into Christ by means of believing in Him, which would result in salvation. However, for more than 30 years what is called “New Perspective on Paul”(hereafter `New Perspective`) has stirred up a huge wave against the Reformed theology which takes of “justification by faith”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ristian doctrines. Scholars of the New Perspective insist that the traditional theology has systematically misinterpreted texts of the Bible for several centuries. This causes serious discussions within the theological world as a whole. They commonly make use of terms which Reformed theologians have used in the main, e.g. election, covenant, grace, obedience, redemption, faith, righteousness, guide of the Spirit, judgement, salvation etc. However, they seem to present a totally different theological frame from that of Reformed theologians. Central problems of the debate between the two camps are what the meaning of “justification” is and how much soteriological significance has to be attributed to man`s deeds. The man who suggested the paradigm of the New Perspective in the most exhaustive way is E.P. Sanders. He sums it up as a term of “covenantal nomism.” He insists that Judaism is not “the religion of legalism” but “the religion of grace.” However, although he denies that man`s act is not a final cause of salvation, as far as he looks on obedience to the law as a essential condition for salvation, his insistence that Judaism is the religion of grace is not able to suffer a defeat. He asserts that justification is to join the procession of the covenantal people of God. However, this signifies that he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covenant of Abraham by pressing it into the frame of a legalistic thought. The proper understanding of `covenant` and `law` is to be possible when a hermeneutical axis is put on Christ as the seed of Abraham. Reformed theology has understood Paul`s thought in this way. J.D.G. Dunn is a biblical scholar who has intensified the theory of the covenantal nomism on the basis of Sanders` frame. He, differently from Sanders who admits differences between the covenantal nomism and Paul`s thought, believes that Paul must have maintained the thought of the covenantal nomism within the context/spectrum of Judaism. However, in the respect of that he looks on justification as gentiles` entering the group of the covenantal people, he shares an identical stance with Sanders. He sees justification as an ecclesiological concept rather than a soteriological one. He refuses a notion of redemptive death of Christ as a representative of all human beings, which for him might be a kind of fiction. He insists that believers as sinners just participate in Christ`s death. This signifies that he refuses a thought of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into believers, which has been stressed by Reformed theology. Dunn who holds on the stance of approving man`s merits of the deeds in relation with his salvation does not see “the deeds of the law” as a concept of observance of the law, but sees the phrase as a concept pointing to the regulations of the law like circumcision, dietary law, and the Sabbath. This is for the purpose of insisting that the covenantal nomism is not a kind of thought of justification by work. However, the evidences of Jewish literature which prove the definite existence of the thought of justification by action make people to doubt Sannders and Dunn`s insistence. Dunn`s understanding of pi,stij Cristou/ as an objective(“believing in Christ”), which differs from the view of Wright or R.B. Hays, would be one of most important contributions to biblical studies on the New Testament, especially to the circle of the New Perspective. However, as far as he does not see Christ`s death as a redemptive sacrifice, his hermeneutical efforts might be probably forgotten. N.T. Wright is a scholar who has deepened and developed the thought of the covenantal nomism in detail by means of writing a number of books. His writing work is still keeping going. He strongly refuses the traditional thought of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For him, justification is to maintain the status of covenantal people of God as to the Jews, and is to get in the group of the covenantal people of God as to the Gentiles. For him, the covenant nomism is a kind of ecclesiology and not soteriology. He sees that Paul suggests two step soteriology. The first step is to be the covenantal people of God by firstly gaining justification because of God`s grace, the second step is to be finally justified at the last judgment as a result of obedience to Christ`s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Spirit. This implies that he looks on man`s action as a condition for his salvation. In conclusion, the covenantal nomism of the New Perspective has changed the significance of justification,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taught by the church Reformers by way of reinterpreting the concept ecclesiologically, to a totally different concept of implication. This means that it damages the significance of faith which intrinsically includes religious and vertical dimensions. When it insists that justification is an ecclesiological concept and at the same time it looks on man`s deeds as a soteriological condition, this means that it admits that justification is a soteriological concept substantially. Accordingly justifi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 concept which includes soteriological and ecclesiological elements simultaneously. Believer`s action do not seem to be simply a reality which follow justification and not to be a condition for the ultimate salvation. Rather, it must be a reality which functions as a evidence of justification at the present. A number of Pauline texts, which seem to refer a judgment according to man`s action, show in evidence that God would take of human deeds as a criteria which discerns between a true faith and a false truth at the final judgment.

      • KCI등재후보

        현대판 유대주의 기독교의 구원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종교개혁적 구원론의 관점에서-

        김영한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샌더스(E. P. Sanders), 던((James Dunn), 라이트(N. T. Wright) 등 오늘날 유대주의 경향의 신약학자들은 이천년전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에서 있었던 구원론 논쟁을 재현하고 있다. 1세기의 유대교는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al nomism)이며, 그것으로 하나님과의 언약 속에 들어 있었으며, 구원의 길에 들어갔다. 따라서 1세기의 유대주의는 율법의 행위를 부정하는 바울의 이신칭의 논쟁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바울에게서 “의로움의 전가”와 “유효한 칭의“를 구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종교개혁적 칭의론에 이의를 제기한다. 필자는 이들 새 관점의 바울 해석이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요, 반(半)펠라기우스주의라고 규정한다. 샌더스는 유대교에 대한 재해석으로서 언약적 율법주의를 제창한다. 이것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이다. 던은 사회학적 접근을 하면서 율법과 율법행위, 하나님의 의를 재해석한다. 라이트는 교회론적 접근을 하면서 하나님의 의와 믿음에 대한 재해석한다. 새 관점 제창자들은 언약적 율법주의의 맥락에서 한결같이 칭의론과 구원론이 바울 복음의 주제가 아니라 부제라고 본다. 그리하여 새 관점에 의하면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되고 구원얻는 복음의 진리는 유대교적 율법적 언약 이해와 언약 준수의 언약적 율법주의 안에서 부제가 되어 버린다. 그러나 종교개혁적 구원론에 의하면 바울 메시지의 핵심은 구원론적 주제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적 칭의 교리는 율법 준수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의 전가(imputa쥴리는 유, 하나님의 의를 언약right읥법과s율법ss)를 가르친다. 샌더스가 제시한 언약적 율법주의는 행위구원적 율법주의에 머물고 있다. 바울의 서신에 의하면 칭의 교리가 이방선교를 낳았다. 던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의 의를 간과하고 있다. 그는 죄의 보편성을 간과하고 심판과 정의의 의를 탈락시키고 있다. 라이트는 하나님 백성과 언약 개념을 왜곡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하나님 백성 개념인 “신령한 이스라엘”을 간과하며, 십자가 대속의 새 언약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관점은 유대주의적 언약 개념에 지배된다. 종교 개혁적 구원론에서는 칭의의 복음은 기독교회의 주춧돌이다. 1. 칭의론은 성화론과 혼동 될 수 없다. 2. 인간의 전적인 타락, 하나님의 심판과 죄의 용서가 선포되어야 한다. 3. 율법은 더 이상 구원을 주는 언약이 될 수 없다. 4. 언약적 율법주의는 중세 후기 가톨릭의 공로주의에 빠진다. 5. 최종적인 심판대에서 구원과 상급, 은혜와 공로는 구분되어야 한다. The judaistic New Testament scholars such as E. P. Sanders, James Dunn, and N. T. Wright have re-presented the controversy of soteriology that occurred at the Galatian church in the first century. The judaism of the first century was covenantal nomism. The Jews lived by means of it in the covenant with God, went into the path of the salvation. The scholars of New perspective argue the first century judaism has nothing to do with the Pauline controversy of justification denouncing the works of the law. They suggest a suspicion on the reformational soteriology, arguing that it is not right for Paul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nd effective jusitification. The writer's point is that Paul interpreta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the Judaistic Christian one in a modern version and semi-pelagian. Sanders has suggested a covenantal nomism as a reinterpretation of the judaism. This is a judaistic Christian perspective in a modern version. Dunn has reinterpreted the law, the behavior of law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by making a sociological approach. Wright has reinterpreted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faith, by making an ecclesiological approach. These scholar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ltogether have viewed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the soteriology are not the subject of the Pauline Gospel but a subtitle. The truth of the Gospel that gives salvation and justification by believing in Jesus Christ becomes a subtitle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of the understanding of judaistic norm and covenant observance. So, the character of legalistic condemnation and judgement which will judge us in the eschatological day shall be falling away. The core of Pauline message is the soteriological subject. Therefore,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does not teach the law observance but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Covenantal nomism Sander's suggests remains a nomism of behavior-salvation.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gave birth to the pagan mission. Dunn disregards the righteousness of God's just judgement. Dunn makes the justice of judgement and justice falling away, disregarding the universality of sin. Wright distorts the concept of God's people and covenant. He disregards the new covenant of cross redemption, disregarding the spiritual Israel, which was the new people of God. He is dominated by judaistic covenant. The Gospel of justification is the corner stone of the Christian church. 1.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and the one of the sanctification should not be confused. 2. The total depravity of humans, the judgement of God, the forgiveness of sins should be preached. 3. Law can not be the covenant giving the salvation. 4. The seriousness of the eschatological judgement should be kept.

      • KCI등재후보

        율법주의, 언약적 율법주의, 은혜언약 - ‘바울의 새 관점들’의 신학적 소재(所在)?

        김병훈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New perspectives on Paul' argues that Paul needs to be read in a sociological context of the first century Palestine Judaism. This leads to the another argument that Lutheran or Reformed reading of Paul is not acceptable exegetically. For this reasons, 'new perspective on Paul' is named to be 'new'. Although 'new perspectives' are not univocal in their 'newness', they all have the common ground that Palestine Judaism is not a religion of legalism. In this sense, 'new perspectives' can hold one theological structure or paradigm that can be categorized in a unified system. E. P. Sanders argues that Palestine Judaism ought to be understood as a religion of 'covenantal nomism' in which salvation is asserted to be only based on the grace of God, let alone 'legalistic religion'. On the basis of Sanders' thesis, James D. G. Dunn and N. T. Wright furthermore argue for reading 'covenantal nomism' into the Paulin gospel of the New Testament. In their judgment, otherwise it would result in the misunderstanding of Paul. 'Covenantal nomism' is essentially different in theological structure than the gospel of a reformed theology. 'Covenantal nomism' cannot be taken as a monergistic religion of grace in a biblical sense, but as a mere synergistic semi-Pelagianism. The theological locus of 'new perspectives' is located in synergism such as semi-Pelgaism, and reveals a structurally similarity to late medieval nominalism or counter-Reformation theology in the 17th century. From the Reformed view point of the grace covenant in Christ, theological assumption of 'new perspectives' such as 'covenantal nomism' is a mere version of the old perspective of late medieval nominalism, which is to be rightly assessed in a legalism in a broad sense which includes in it synergism. ‘바울에 대한 새 관점들’은 바울을 1세기 팔레스타인 유대주의에 대한 사회학적 맥락에서 읽어야 한다고 주장을 한다. 곧 루터파 또는 개혁파의 종교개혁 신학들이 바울을 읽어왔던 것은 성경을 바르게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새 관점들’이라 불린다. ‘새 관점들’은 서로 다소간의 차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두는 팔레스타인 유대주의가 종교개혁신학이 전제하였던 ‘율법주의 종교’가 아니라는 이해를 가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그것들은 하나의 통일된 범주로 묶을 수 있는 신학적 구조 또는 패러다임을 갖는다. 샌더스(E. P. Sanders)는 팔레스타인 유대주의가 ‘율법주의(legalism) 종교’이기는 고사하고 하나님의 은혜의 구원을 내포하는 소위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al nomism)로 이해를 하여야 한다고 주장을 한다. 던(James D. G. Dunn)과 라이트(N. T. Wright)는 이러한 주장을 수용하여 팔레스타인 유대주의를 넘어 신약의 복음의 해석에 있어서도 ‘언약적 율법주의’의 틀을 배경으로 삼으며, 그 결과들을 복음의 바른 해석으로 삼는다.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볼 때, ‘언약적 율법주의’는 개혁신학이 복음을 이해하는 구조적 틀인 은혜언약과 다르며, 그러한 만큼 ‘언약적 율법주의’는 성경적 의미에서의 ‘은혜의 종교’가 아니고, 신학 특성상 신인동력적(synergistic) 세미펠라기우스주의에 해당한다. 따라서 ‘바울에 대한 새 관점들’은 교리사적 관점에서 볼 때 완전히 새로운 견해는 아니다. ‘새 관점들’의 신학적 소재는 넓은 의미에서의 율법주의에 위치하며, 신학체계론적으로 중세 후기의 유명론 또는 ‘반 종교개혁 신학’(counter-Reformation theology)의 그것과 상당한 구조적 유사성을 갖는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은혜언약을 말하는 개혁신학의 관점에서의 신학적 평가만을 내린다면 언약적 율법주의와 ’새 관점‘의 신학적 주장들은 교리사적으로 이미 검토된 중세 후기의 옛 관점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것은 넓은 의미에서 ’율법주의‘인 것이다.

      • KCI등재

        현대판 유대주의 기독교의 구원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종교개혁적 구원론의 관점에서-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샌더스(E. P Sanders), 던(James Dunn), 라이트(N. T. Wright) 등 오늘 날 유대주의 경향의 신약학자들은 이천년전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회에서 있었던 구원론 논쟁을 재현하고 있다. 1세기의 유대교는 언약적 율법주의 (covenantal nom ism)이며, 그것으로 하나님과의 언약 속에 들어 있었으며, 구원의 갈에 들어갔다. 따라서 1세기의 유대주의는 율볍의 행위를 부정하는 바울의 이신칭의 논쟁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바울에게서 의로움의 전가`와 유효한 칭의를 구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하면서 종교개혁적 칭의론에 이의를 제기한다. 필자는 이들 새 관점의 바울 해석이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 요, 반(半)펠라기우스주의라고 규정한다. 샌더스는 유대교에 대한 재해석으로서 언약적 율법주의를 제창한다. 이것은 현대판 유대주의적 기독교이다. 던은 사회학적 접근을 하면서 율볍과 율볍행위, 하나님의 의를 재해석한다. 라이트는 교회론적 접근을 하면서 하나님의 의와 믿음에 대한 재해석한다. 새 관점 제창자들은 언약적 율법주의의 맥락에서 한결같이 칭의론과 구원론이 바울 복음의 주제가 아니라 부제라고 본다. 그리하여 새 관점에 의하면 예수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의롭게되고 구원얻는 복음의 진리는 유대교적 율법적 언약 이해와 언약 준수의 언약적 율법주의 안에서 부제가 되어버린다. 그러나 종교개혁적 구원론에 의하면 바울 메시지의 핵심은 구원론적 주제이다. 따라서 종교개혁적 칭의 교라는 율법 준수가 아니 라 그리스도의 의 전가(imputa쥴리는 유, 하나님의 의를 언약의 법파 율법)를 가르친다. 샌더스가 제시한 언약적 율법주의는 행위구원적 율법주의에 머물고 있다. 바울의 서신에 의하면 칭의 교리가 이방 선교를 낳았다. 던은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과 의를 간과하고 있다. 그는 죄의 보편성을 간과하고 심판과 정의의 의를 탈락시키고 있다. 라이트는 하나님 백성과 언약 개념을 왜곡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하나님 백성 개념인 신령한 이스라엘을 간과하며, 십자가 대속의 새 언약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그의 관점은 유대주의적 언약 개념에 지배된다. 종교 개혁적 구원론에서는 칭의의 복음은 기독교회의 주춧돌이다. 1. 칭의론은 성화론과 혼동 될 수 없다. 2. 인간의 전적인 타락, 하나님의 심판과 죄의 용서가 선포되어야 한다. 3. 율법은 더 이상 구원을 주는 언약이 될 수 없다. 4. 언약적 율법주의는 중세 후기 가툴릭의 공로주의에 빠진다. 5. 최종적인 심판대에서 구원과 상급, 은혜와 공로는 구분되어야 한다. The judaistic New Testament scholars such as E. P. Sanders, James Dunn, and N. T. Wright have re-presented the controversy of soteriology that occurred at the Galatian church in the first century. The judaism of the first century was covenantal nomism. The Jews lived by means of it in the covenant with God, went into the path of the salvation. The scholars of New perspective argue the first century judaism has nothing to do with the Pauline controversy of justification denouncing the works of the law. They suggest a suspicion on the reformational soteriology, arguing that it is not right for Paul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imputation of righteousness and effective jusitification. The writer s point is that Paul interpretation of the New perspective is the Judaistic Christian one in a modern version and semi-pelagian. Sanders has suggested a covenantal nomism as a reinterpretation of the judaism. This is a judaistic Christian perspective in a modern version. Dunn has reinterpreted the law, the behavior of law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by making a sociological approach. Wright has reinterpreted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faith, by making an ecclesiological approach. These scholar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ltogether have viewed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the soteriology are not the subject of the Pauline Gospel but a subtitle. The truth of the Gospel that gives salvation and justification by believing in Jesus Christ becomes a subtitle in the context of covenantal nomism of the understanding of judaistic norm and covenant observance. So, the character of legalistic condemnation and judgement which will judge us in the eschatological day shall be falling away. The core of Pauline message is the soteriological subject. Therefore,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does not teach the law observance but the imputation of Christ s righteousness. Covenantal nomism Sander s suggests remains a nomism of behavior-salvation.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gave birth to the pagan mission. Dunn disregards the righteousness of God s just judgement. Dunn makes the justice of judgement and justice falling away, disregarding the universality of sin. Wright distorts the concept of God s people and covenant. He disregards the new covenant of cross redemption, disregarding the spiritual Israel, which was the new people of God. He is dominated by judaistic covenant. The Gospel of justification is the corner stone of the Christian church. 1.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and the one of the sanctification should not be confused. 2. The total depravity of humans, the judgement of God, the forgiveness of sins should be preached. 3. Law can not be the covenant giving the salvation. 4. The seriousness of the eschatological judgement should be kept.

      • KCI등재후보

        바울과 율법

        이진섭(Jin Seob Lee)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1 Canon&Culture Vol.5 No.2

        ‘바울’과 ‘율법’을 함께 다루는 것은 어렵지만 중요하다. 바울의 율법 이해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기 때문일 뿐 아니라, 현 바울 신학계에 율법 논쟁이 격렬하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국면을 염두에 두고 본고는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바울의 율법이해를 다룬다. 바울은 유대인으로서 ‘율법’(토라)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긍정적으로 본다. 바울에 따르면 율법은 하나님의 규범이 무엇인지 알려주고(롬 2:6-11, 12-15), 그 규범에 스스로 이르지 못하는 인간을 정죄하며(롬 2:12-16; 3:19-20; 3:31; 4:15; 5:20; 7:7-12; 갈 3:10-11, 19), 결국 그 규범에 이르게 하시는 그리스도를 가리키고 그에게 인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롬 7:13-25; 갈 3:21-25). 율법이 가진 규범, 정죄, 지시·인도의 기능 모두는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잘 실행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율법은 거룩하고 의로우며 선한 것이다(롬 7:12-13). 율법에 대한 바울의 생각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당시 유대 율법주의(nomism)에 대한 바울의 생각은 부정적이다. 율법주의자들은 율법이 생명을 가져다주고 이스라엘을 회복한다고 생각했으며 그 율법을 메시아의 자리에까지 놓으려고 했다. 이런생각은 모세 언약을 배경으로 잉태되었지만 결국 율법에 대한 어긋난 열심으로까지 자라나 공덕 사상으로까지 번졌다. 하지만 그런 모습을 끌고 가는 핵심 가치는 ‘살리는 율법’이란 신념이고(갈 3:21; 롬 5:20;7:10; 10:5), 따라서 이 율법주의를 부르는 마땅한 이름은 ‘언약적 율법주의’(covenantal nomism)나 ‘공로주의’(legalism)가 아니라 ‘살리는 율법주의’(constitutional nomism)이다. 바울은 이 ‘살리는 율법주의’를 반대하며 율법의 진정한 기능이 ‘살리는 것’이 아니라 ‘죽이는 것(정죄)’이며, 율법을 높일 것이 아니라 생명을 주시는 그리스도를 높여야 한다고 역설한다. 결국 바울에게 율법은 긍정적이지만, 유대 율법주의는 부정적이다. ‘살리는 율법주의’는 잘못되었지만, 하나님의 규범을 알려주고 죄를 깨닫게 하여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율법은 선한 것이다. 잘못된 율법이해는 위험하지만, 바른 율법 이해는 복음의 기초가 된다. 이것이 바울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율법 교훈이다. It is difficult but important to think of Paul and the Law together not only because the scholarly evaluations of Paul’s understanding of the Law are various but also because nomism debate in Pauline scholarship is intense. In this respect, this essay deals with Paul’s understanding of the Law commonly delineated in Romans and Galatians. Paul as a Jew thinks of the Law positively. According to Paul, the Law makes us know the norm of God(Rom. 2:6-11, 12-15), condemns those who do not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Law(Rom. 2:12-16; 3:19-20; 3:31; 4:15; 5:20; 7:7-12; Gal. 3:10-11, 19), and finally leads us to Christ by pointing to the Him who rescues us from human plight(Rom. 7:13-25; Gal. 3:21-25). This functions of the Law, i.e., norm, condemnation, guidance, are nicely carried out. In this respect, the Law is holy, righteous and good(Rom. 7:12-13). Thus, Paul’s opinion on the Law is positive. However, Paul’s opinion on the contemporary Jewish nomism is negative. Jewish nomists believe that the Law can make people alive and bring them the restoration of Israel. Jewish nomism tends to put the Law to the position of Messiah. This line of thought started to be shaped on the background of the Mosaic covenant and has been brought up with legalistic foreground by inappropriate zeal for the Law. However, the pivotal axiom to lead this nomism is the conviction of the life-giving Torah(Gal 3:21; Rom. 5:20; 7:10; 10:5), and consequently the appropriate term for this nomism is not ‘covenantal nomism’, nor ‘legalism’, but ‘constitutional nomism’. Paul, by opposing this constitutional nomism, contends that the true function of the Law is not to make people alive but to condemn them, and that one should not bow to the Law but adore Jesus Christ who gives us life. After all, Paul’s attitude for the Law is positive, but his judgment on the contemporary Jewish nomism is negative. The constitutional nomism is wrong, but the Law is good enough to reveal the norm of God, to make us realize human sin, and finally to lead us to Christ. The wrong understanding of the Law is dangerous, but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Law becomes the basis of the Gospel. This is the instruction which Paul teaches us concerning the Law.

      • KCI등재후보

        최후 행위심판 사상으로 본 바울신학의 새 관점

        김경식(Kyoung-Shik Kim)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0 신약연구 Vol.9 No.3

        This study aims to re-evaluate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nd its working presupposition advocated by E.P. Sanders by analyzing the idea of the final judgment according to works in early Jewish literature. This examination begins with the brief summary of E.P. Sanders's "covenantal nomism" hypothesis and explains that the New Perspective on Paul that James Dunn and N.T. Wright strongly argue for assumes Sanders's hypothesis be the correct picture of early Judaism. Then, our study proposes to critically examine the New Perspective on Paul and Sanders's covenantal nomism in particular in terms of the final judgment according to works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New Perspective interpretation of Paul. According to Sanders and other proponents of the New Perspective such as James D.G. Dunn and N.T. Wright, human obedience or the Torah observance is not taken into account at the final judgment in both early Judaism and Paul. This study deals with three pieces of early Jewish literature out of five which Sanders discussed in his book,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Ben Sira, 1 Enoch, The Psalms of Solomon) and also investigates two additional works (11Q5 22:1-15; LAB), focusing on the idea of judgment according to works. In so doing, this article shows that Sanders's hypothesis on early Jewish soteriology called "convenantal nomism" is one-sided and thus flawed. Our discussion demonstrates that in early Judaism human obedience played a critical role at the final judgment. However, this study also shows that not only human obedience but also God's mercy is, as Sanders has argued, the basis for the final judgment. E.P. Sanders underscores God's mercy and election while he de-emphasizes the critical role of human works at the final judgment in early judaism between BC 200 and AD 200. He also argues that human works does not contribute to the final salvation. Rather, according to him, human works does not earn God's favor and salvation because man gets in to covenantal relation with God only on the basis of divine election and he argues that human works plays a role in staying in a covenantal relation with God. However, our study of five pieces of early Jewish literature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 pattern of covenantal nomism supported by Sanders cannot explain the soteriological pattern of early Judaism correctly. This is because the early Jewish literature under consideration indicate that human works as well as divine mercy are considered crucial for the final salvation and judgment according to works. Our analysis thus demonstrates that not only the new perspective on early Judaism (E.P. Sanders) but also the new perspective on Paul (James Dunn; N.T. Wright) which accepts covenantal nomism as correct description of early Jewish soteriological pattern fail under our scrutiny.

      • KCI등재후보

        바울에 대한 “새 관점”, 무엇이 문제인가?

        최갑종 한국개혁신학회 2010 한국개혁신학 Vol.28 No.-

        이 논문은 “새 관점”(the New Perspective on Paul)의 대표적인 주창자인 샌더스(E.P. Sanders) 던(James D.G. Dunn), 라이트(N.T. Wright)의 핵심적인 아젠더를 중심으로 새 관점의 장단점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논문이 주장하고 있는 논지는 세 가지이다. 첫째, 새 관점의 공통적 기반을 형성하고 있는 샌더스의 유대교 재구성은 제 2성전 시대의 유대교문헌이 보여주고 있는 다양성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새 관점의 바울서신 해석의 열쇠로 내세웠던 던의 ‘율법’ 및 ‘율법의 행위’에 대한 사회학적인 재해석은 바울서신에 나타나고 있는 바울의 율법 및 율법의 행위에 대한 신학적 용법을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바울의 칭의구원론을 새 관점에서 재해석하려는 라이트의 ‘하나님의 의’에 대한 언약론적 및 교회론적인 해석은 바울 서신에 나타나고 있는 하나님의 의에 대한 구원론적인 의미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새 관점의 대표적인 주창자인 샌더스, 던, 라이트의 제 2성전시대의 유대교 및 바울서신에 대한 재구성 및 재해석은 제 2성전시대의 유대교는 물론 바울서신을 잘못 반영하거나 곡해하고 있다고 결론내리고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ide a critical review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NPP), focusing on the major agenda of EP Sanders, James Dunn and Tom Wright, who are currently the most outstanding advocates of the NPP. Although the article recognizes that the NPP has suggested some new insights on the role of the covenant and the law within Second Temple Judaism (STJ), as well as on the social (horizontal) meaning of the law and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Pauline epistles, it basically exposes the fundamental weaknesses of the NPP as follows:Firstly, Sanders' reconstruction of STJ as "covenantal nomism" is one-sided, because more recent investigations of the STJ show that both covenantal nomism and legalism coexist within the STJ, especially in eschatological teachings. Secondly, Dunn's sociological re-interpretation of the law and works of the law as a national identity or boundary markers of Jews is one-sided, because Paul basically uses the Jewish law or the works of the law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entire Jewish law which is demanded to obey generally. Thirdly, Wright's covenantal and ecclesiological re-interpretation of the righteousness of God is one-sided, because the basic meaning of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Pauline letters is soteriological more than both covenantal and ecclesiological. Therefore, the article concludes that the NPP misunderstands and misrepresents not only STJ but also Paul.

      • KCI등재후보

        새 관점의 바울 연구' 다시 보기

        최갑종(Choi, Gab Jong)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09 신약연구 Vol.8 No.1

        What should we think about "The New Perspective on Paul" (NPP), one of the hottest issues in recent Pauline studies? This article provides a critical analysis of the NPP by studying both its contributions and problems focusing on the works of EP Sanders, James Dunn and Tom Wright, who are currently the most outstanding advocates of the NPP. Although the article recognizes that the NPP has provided some new insights on the role of the covenant and the law within Second Temple Judaism (STJ), as well as on the social (horizontal) meaning of the righteousness (of God) in the Pauline epistles, it basically focuses on both the problems and weaknesses of the NPP by arguing against three problems and weaknesses of the NPP on STJ and Paul as follows: Firstly, the NPP's identification of STJ as 'covenantal nomism', the so called Archimedean point of the NPP, is one-sided, because more recent investigations of the STJ show that both covenantal nomism and legalism coexist within the STJ, especially in eschatological teachings. Secondly, the NPP's identification of Paul's teaching of 'justification by faith' as a circumstantial doctrine is one-sided, because 'justification by faith' belongs to the core teaching of Paul's gospel. Thirdly, the NPP's identification of 'works of the law' as a national identity of Jews is one-sided, because Paul uses 'works of the law' as the antithesis to 'justification by faith' in terms of a system whereby the final salvation is guaranteed through good works demanded by the entire law. Hence, the article concludes that the NPP misunderstands and misrepresents not only STJ but also Paul.

      • KCI등재후보

        로마서 2장의 율법

        N. T. 라이트(N. T. Wright),박형대(번역자)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1 Canon&Culture Vol.5 No.2

        로마서 2장에서 바울은 선지자적 비평 위에, 어떤 경우에도 반박이 예상되지 않는, 정교하고 사려 깊은 비평을 하는 것 같다. 그럼에도 로마서 2장은 무시되어 왔다. 로마서 전체나 적어도 로마서 1-8장에 흐르는 논지에 대한 강력한 의견 일치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일치된 견해가 도전을 받는 곳에서도 그 도전이 아직 로마서 2장을 문맥적으로 산뜻하게 주해하지는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이 논문에는 로마서 2장 25-29절, 17-24절, 12-16절이 다뤄지는데, 이를 통해 독자들은 바울 저작 전체를 아우르는 신학적 질문뿐 아니라 로마서 자체의 주석 측면에서 어떤 궁극적인 해결책을 찾게 될 것이다. 짧지만 치밀한 2장 25-29절의 의미, 특히 가리키는 대상과, 이 문단내에서 율법이 하는 역할에 대해서, 이 논문을 통해 배우게 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바울은 율법 위반 견지에서 유대인들을 비판한다. (2) 문제 삼은 이방인들은 이방인 기독인들로 간주되어야 한다. (3) 전체 구절이 함축하는 바는 에스겔 36장 및 유사 구절들과 조화하여 읽는 것이 필요하다. (4) 바울이 이 이방인 기독인들에게 귀속시키는 ‘율법을 지키는 것’을 ‘새 언약’ 주제에서 도출된, 실패한 유대인식 ‘율법 지키기’에 반하여 논쟁적으로 배치된, 그러나 아직 충분히는 산출되지 않은, 새로운 종류의 신학 범주로 간주해야 한다. 바로 앞 문단인 2장 17-24절에서 쏟아지는 비판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스라엘의 포로 상태’라는 주제가 강조되어야 한다. 이스라엘은 적절한 자신의 위치로 회복되지 않았다. 모든 성경 선지서들과 남아 있는 대부분의 포로 후기 문헌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처럼, 창조주 하나님의 참 백성으로 부름 받은 이스라엘과, 율법을 위반하고 교묘히 타협한 백성 이스라엘의 실제 상태 사이에 심화된 긴장 상태가 있었다. 비록 이스라엘의 회복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성령을 통해 실제로 일어났지만, 이러한 회복이 민족적 이스라엘에게는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 이것이 민족적 이스라엘이 민족적 자랑을 하는 상태가 되게 했고 그 자랑을 지지하는 데 토라를 사용하게 했다. 마지막으로 2장 12-16절의 연구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첫째, 토라는 유대인과 이방인에게 똑같이 도래할 심판의 공정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다. 토라를 가진 사람들은 그것에 의해 심판 받을 것이고, 갖지 않은 사람들은 토라에 의해 심판 받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출생’ 때 율법을 소유하지 않았으면서도 ‘율법의 일들을 이행하는’ 이상한 범주에 속한 사람들이 있을 것인데, 그들은 심판 때 자신들의 정당함이 입증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In Romans 2 Paul is likely to provide a measured, careful critique, built upon the prophetic critiques, and in any case not expecting rebuttal. Nevertheless, the chapter has been neglected not only because there has been a powerful consensus about the flow of the argument in Romans, or at least Romans 1-8, as a whole, but also because, even where the consensus has been challenged, the challenge has not so far penetrated as far as a fresh contextual exegesis of the chapter. In this context, this paper deals with Romans 2:25-29, 17-24, and 12-16, expecting to make a vital contribution to some eventual solutions, both to the theological questions which surround all of Paul’s writings and, of course, to the exegesis of Romans itself. As regards the meaning, as especially the referent, of 2:25-29, and the role of the law within this dense little package, this study shows that in 2:25-29 Paul criticizes the Jews in terms of their lawbreaking, that the Gentiles in question should be seen as Gentile Christians, that the overtones of the whole passage need to be heard in tune with Ezekiel 36 and similar passages, and that the ‘keeping of the law’ which Paul ascribes as these Gentile Christians should be seen as a new sort of theological category, derived from the ‘new covenant’ theme, ranged polemically against the failed Jewish ‘law-keeping,’ but yet to be worked out full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ritique in the previous passage(2:17-24), the theme of Israel’s exile should be highlighted. Israel had not been restored to her proper position. Part of this problem, as all the biblical prophets and most of the surviving postexilic literature perceived, was the further tension between the vocation of Israel to be the true people of the creator God and the actual condition of Israel as a people deeply compromised with lawbreaking. Even though the renewal of Israel had indeed happened in Jesus Christ, and through his Spirit, it had not yet happened to ethnic Israel. It left ethnic Israel making an ethnic boast, and using the Torah to support that boast, while the Torah itself in fact rendered that boast null and void. Then, on the basis of 2:12-16 this study can reach the conclusion firstly that Torah will not affect the fairness of coming judgment upon all humans, Jew and Gentile alike, since those who have it will be judged by it, and those who do not, will not, and secondly that there is a strange category of people who ‘do the things of the law,’ even though ‘by birth’ they do not possess it, and will find themselves surprisingly vindicated at the judgment.

      • KCI등재후보

        노르만 쉐퍼드의 단일언약주의와 칭의 비평

        박동근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1 No.-

        Critics on Norman Shepherd's Monocovenantalism and Justification. Norman Shepherd insists that Roman Catholic and Reformation did not solve the problem of nomism and antinomianism. Shepherd regards ‘the covenantal approach to the justification doctrine’as an alternative to the unsettled problem of nomism and antinomianism. Shepherd believes that this approach is the only way to solve the problem of nomism and antinomianism, and that his approach is the biblical and reformed one. Shepherd affirms that the center of the covenant is ‘promise and obligation’ and the essence of the covenant is ‘receiving the gift of God through faith and obedience.’ Shepherd's essence of the covenant which regards the faith and obedience as the instrumental cause of justification is explained without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the covenant of work and the covenant of grace. Namely, he claims stand for monocovenantalism. Therefore, when the essence of the covenant of grace is the faith and the obedience in monocovenant, his system of the covenant falls into the confusion or mixture between the covenant of work and the covenant of grace. Moreover, in ordo salutis, his system of salvation falls into confusion or mixture between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problem of Shepherd through comparing the statement of Shepherd with historical reformed perspective. I will prove that Shepherd and Reformed perspective have the heterogeneous nature in this subject and that his approach can not solve any problem, rather attracts semi-pelagian merit theology. 노르만 쉐퍼드는 로마 카톨릭과 종교개혁이 율법주의와 반율법주의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쉐퍼드는 아직 미결 상태로 남겨져 있는 율법주의(로마 카톨릭)와 반율법주의(종교개혁)의 문제에 대한 ‘대안’이 자신의 ‘칭의에 대한 언약적 접근 방식’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접근이야 말로 율법주의와 반율법주의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이며, 매우 성경적이고 개혁신학적인 접근이라고 쉐퍼드는 확신한다. 쉐퍼드는 언약의 중심 내용을 ‘약속과 의무’로 규정하고, 언약의 본질을 ‘믿음과 순종에 의해 하나님의 선물을 받는 것’으로 규정한다. 믿음과 순종을 칭의의 도구적 원인으로 제시하는 쉐퍼드의 언약의 본질은 타락 전(행위 언약)과 후(은혜 언약)의 구분없이 제시된다. 즉 쉐퍼드는 단일언약주의(monocovenantalism)를 표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단일언약 안에서, 은혜 언약의 본질이 믿음과 순종이 될 때, 그의 언약은 행위 언약과 은혜 언약의 혼합 내지 혼동을 가져오고 구원의 서정에 있어 칭의와 성화의 혼합 내지 혼동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쉐퍼드의 진술들과 이 주제에 관한 개혁신학의 역사적 진술들을 비교하므로, 쉐퍼드의 신학 사상의 문제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쉐퍼드의 신학이 개혁신학과 이질적인 것이며, 그의 ‘칭의에 대한 언약적 접근 방식’이 율법주의와 반율법주의의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세미 펠라기안주의적 공로사상을 개혁신학에 끌어들이고 있다는 사실을 논증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