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ould Romanian Style Revolution be Possible in North Korea?

        박정오(Park, Jeong 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30 No.-

        Similarities between Romanian and North Korean dictatorship can be understood at the level of common sense even though we do not mention in details. Because among many dictators on earth, Ceauşescu imitated directly the North Korean-style dictatorship. But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som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systems can be found clearly. Although the Romanian clan dictatorship took North Korea as a model, I think that it was just an imitation of the dictatorship of North Korea. And I also believe that the clan dictatorship of North Korea including individual idolatry had some limits to put down roots in Romania. In other words, the soil of Romania and North Korea was different. North Koreans have oriental sentiments and values, while Romanians have strong characteristics of European individualism. Therefore,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peoples ruled by communism under similar absolute dictatorships. Usually, comparing North Korea and Romania, most of people just examine the political system of these two countries. But it is also important to examine how are these two peoples ruled by the nation's system. My opinion is that there are som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peoples who accept the communist dictatorship in their country. Although the censorship has been carried out during Ceauşescu's dictatorship, personal freedoms including religion has been largely recognized and some Romanian writers published their works which criticized indirectly Ceauşescu's dictatorship. Compared to other Eastern European nations, social resistance movements in Romania led by dissidents and dissident groups almost did not exist. This kind of situation also can be found in North Korea. By the way, regarding this, there are also some differences between Romania and North Korea. In case of North Korea, there are very few activities of dissidents. In contrast, activities of dissidents were very weak in Romania compared to oth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even though they had existed. Around the World War II, Romania was richer than Greece. So Romanians could compare 'good life in the past' and 'hardscrabble life' of the late '80s, figuring it out as the consequence of Ceauşescu's dictatorship. In contrast, North Korean people are just living resignedly because they have never got previous experiences of rich life. Therefore, when we are examining carefully the dictatorship of North Korea compared to Romania, they seem to be similar on a larger scale but we can also find some differences. North Koreans might tremble with horror due to the powerful politics of fear in their country that exterminate a family of a whole three generations, but in accepting the idolatry for Jeong-il Kim and his clan dictatorship it seems to be a little bit different than Romania's situation. 차우셰스쿠는 지구상의 많은 독재자들 중에서 북한식의 독재체제를 직접 모방했기 때문에, 루마니아와 북한의 공통점은 일일이 언급하지 않아도 우리가 생각하는 상식적인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두 체제간의 차이점도 있다. 루마니아 족벌독재체제는 북한을 모델로 삼긴 했지만 ‘북한의 아류’에 불과했던 것으로 생각되고 또 우상숭배를 포함한 북한식의 족벌독재체제가 루마니아에서 뿌리를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마디로 북한식의 강력한 족벌독재체제가 루마니아에 뿌리를 내리는데 루마니아라는 토양과 북한의 토양이 많이 달랐다고 생각된다. 즉 북한 주민들은 동양의 정서와 가치관을 가진 반면에 루마니아인들은 유럽인 특유의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이 말은 비슷한 독재체제하에서 공산주의의 지배를 받는 두 나라 국민들 간에 차이가 있다는 말이다. 보통 루마니아와 북한을 비교할 때, 대개는 두 국가의 체제만을 비교해서 보는데, 체제의 지배를 받는 국민들이 어떤가도 아주 중요하다. 즉 공산주의 독재 체제를 받아들이는 루마니아인과 북한 주민들 사이에 차이가 있어 보인다. 차우셰스쿠 집권시절, 종교를 포함한 개인의 자유가 상당부분 인정되었고 또 검열제가 실시되었지만 루마니아 일부 작가들은 차우셰스쿠 독재체제를 우회로 비판하는 작품들을 출판하기도 했다. 다른 동유럽 국가에 비해 루마니아에서 반체제 인사와 단체의 활동’이 거의 없는 것은 북한과 닮은 점이다. 그런데 반체제 인사와 단체의 활동과 관련해서도 루마니아와 북한 사이에는 조금의 차이는 있어 보인다. 북한의 경우, 반체제 인사와 단체의 활동이 거의 없는데 반해, 루마니아는 있었지만 다른 동유럽 국가에 비해 아주 미약했다고 언급할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전후 루마니아는 유럽에서도 잘 사는 나라에 속했다. 실제로 당시 루마니아는 그리스보다 잘 사는 나라였다. 그래서 루마니아인들은 ‘살기 힘든 현재’와 ‘잘살았던 과거’를 비교하게 되고 또 그 이유를 공산주의 체제 혹은 차우셰스쿠 독재 때문이라는 해답을 쉽게 찾을 수 있는데 반해, 잘살아본 경험이 없어 살기 힘든 현재를 배교할 곳이 없는 북한 주민들은 그냥 체념하듯이 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1960년대 루마니아는 농업국으로 전락시키려는 소련 흐루시초프 정책에 반 대해 중공업 위주의 스탈린식 경제체제 통한 국가발전 도모하였다. 루마니아가, 농업국으로 전락시키려는 소련 흐루시초프 정책에 반대하여 중공업 위주의 경제발전을 도모한 것은 차우셰스쿠 이전의 대통령인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Gheorghe Gheorghiu-Dej)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런데 차우셰스쿠 시대에 와서 루마니아 공산당은, 루마니아 3대 주력산업(철강업, 기계공업 그리고 중화학공업)을 선정하여 과도하게 발전시켰다. 당시 경공업이 완전히 도외시되었고 또 3대 주력산업은 아무런 시장조사 없이 자의적으로 즉 루마니아 공산당 마음대로 선정하였다. 시장경제 원칙을 무시하다보니 루마니아 경제정책은 당연히 실패했고 결국 80년대 말 루마니아 경제는 파국으로 치달았다. 결국 루마니아와 북한의 독재체제를 살펴보면 큰 틀에서는 비슷하지만 분명‘정도의 차이’는 있어 보인다. 그리고 3대 멸족이라는 북한식의 강력한 공포정치로 인한 두려움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김정일 우상숭배와 족벌독재정치를 받아들이는 북한 주민들의 태도는 루마니아인들과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 카리모프 정부의 이슬람정책:1인 독제체제 구축을 위한 전략적 선택

        이선우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6 중소연구 Vol.40 No.3

        우즈베키스탄 카리모프 정권의 이슬람정책은 공인 이슬람을 통해 다수 무슬림들의 신앙을 비정치화시키는 한편, 소수의 비공인 이슬람을 통제하고 급진주의자들을 탄압함으로써 정치적 이슬람의 거점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이중성을 내포해왔다. 그런데 카리모프 대통령은 1990년대 중후반 이후 강력한 지역 · 씨족 파벌들의 영향력을 극복할 의도하에, 이러한 이중적 이슬람정책을 극단적으로 밀어붙임으로써, 종교 균열을 우즈베키스탄의 주된 정치적 균열로 전환시키려 시도하였다. 즉 다수가 온건한 수피로 구성된 우즈베키스탄 이슬람의 초기 조건하에서, 무슬림의 정치세력화에 대한 강도 높은 탄압을 통해 급진주의 세력으로부터 반응적 저항을 유도하는 한편, 다수의 생활 무슬림들로 하여금 이들을 ‘와하비’ 또는 테러리스트로 인식토록 관심의 전환을 일으키고자 했던 것이다. 이후 카리모프는 테러로 인한 ‘계산된’ 비상시국을 주도하고 실제로 ‘안디잔 사태’라는 상당 규모의 반정부 시위까지 거치는 과정에서, 안보 및 치안 이슈를 부각시키고 이를 통해 국가의 수호자와 같은 모습을 연출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지역 파벌들은 대통령과의 권력경쟁에서 점차 열위에 서지 않을 수 없게 되었고, 결국 카리모프는 2005년을 전후한 시점에 1인 독재체제를 구축하는 데 성공하였다. In Uzbekistan the Karimov regime’s Islam policy included a kind of duality. The dual policy aimed, on the one hand, to depoliticize a majority of muslims’ religious belief under the rule of official Islam, but on the other hand, to control a minority of unofficial Islam and prevent the rising of political Islam by suppressing Islam extremism. After the mid-1990s, in particular, President Karimov attempted to change the religious division into a main political cleavage, via serious implementation of the above policy, in order to overcome the influence of strong regional clans. On the initial condition of Uzbekistan where the majority of population consisted of moderate sufis, he induced the Islam extremists to make responsive attacks through merciless suppression on them, and correspondingly a majority of everyday muslims to perceive them as “Wahhabi”s or terrorists, through a kind of diversionary strategy. Afterward, Karimov created an image of the only guardian for public order and security issues, as the president took the initiative in the “fabricated” terror emergencies and furthermore a significant size of anti-government protest, “Andijan massacre”, also erupted. Consequently, the regional clans had increasingly held a weak position rather than Karimov, and the latter could build his own personal dictatorship at around of 2005.

      • KCI등재

        1989년 루마니아 혁명과 차우셰스쿠 독재체제의 붕괴

        박정오(Jeong O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2

        1980년대 루마니아에서는 서유럽에서 상상할 수도 없는 어처구니없는 사건들이 진행되고 있었다. 당시 루마니아에서는 퇴직 후, 도시에서 거주하고 있는 모든 노인들을 농촌으로 그리고 농촌에 있던 청년들을 도시로 이주시키는 '농촌체계화사업(sistematizare rurală)'과 빵 배급 쿠폰제(하루에 한 개) 그리고 타자기 소유 신고제도 실시되었다. 또한 서구 유럽 국가들로부터 무상으로 받은 성경책들이 재처리 되어 화장실용 휴지로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부카레스트 근대화 사업의 일환으로 인민궁전(Casa Poporului)과 사회주의 승리로(Bulevardul Victoriei Socialismului) 그리고 부카레스트에 신시가지(centru civic)가 건설되면서 부카레스트의 유서 깊은 수많은 건축물들이 허물어졌다. 혁명 이후, 이온 마우레르(Ion Gheorghe Maurer) 전 수상은 "차우셰스쿠를 대통령으로 만든 것은 자신의 실수였으며, 차우셰스쿠의 가장 큰 실정(失政)은 경제 분야에 있었다"고 언급하였다. '80년대 초까지 루마니아인들은 생활하는데 있어 별 어려움을 느끼지 못했지만, 1982년 12월, 루마니아 공산당 전당대회에서 외채를 모두 상환하기로 결정하면서 국가경제는 파탄에 빠지기 시작했고, 특히 외채를 모두 상환한 1989년에 이르러 루마니아 경제는 80년대를 통틀어 최악으로 치달았다. 루마니아 혁명의 조짐은 이미 12월 14일 이아쉬(Iaşi) 시에서 있었지만 사실상 혁명의 시작은 그로부터 이틀 후인 12월 16일, 티미쇼아라(Timişoara)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루마니아 혁명은 12월 16일부터 차우셰스쿠가 처형되는 12월 25일까지 약 10일간에 걸쳐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티미쇼아라에서 시작된 시위가 전국으로 확대되자 이란에서 급히 돌아온 차우셰스쿠는 자신의 건재함을 과시하기 위하여 공산당 중앙위원회 청사 앞 공화광장(Piaţa Republicii)에서 관제집회를 열었다. 하지만 얼마 후 군중들의 야유와 함께 집회 장소가 아수라장이 되자 생방송으로 진행되던 차우셰스쿠의 연설은 중단되었고 집회도 강제 해산되었다. 하지만 부카레스트 시민들은 귀가하지 않고 "차우셰스쿠 타도!"를 외치면서 대학광장(Piaţa Universităţii)에 다시 집결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시위대 규모는 걷잡을 수 없을 만큼 불어났다. 당시 통일광장(Piaţa Unirii)에서 로세티 광장(Piaţa Rosetti)에 이르는 부카레스트 중심지역은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12월 22일, 루마니아 혁명 임시정부인 구국전선(Frontul Salvării Naţionale) 위원회가 그리고 그로부터 이틀 후인 24일에는 차우셰스쿠 부부를 재판하기 위한 특별군사재판소(Tribunalul Militar Excepţional)가 설립되었다. 마침내, 12월 25일 성탄절 날, 트르고비쉬테(Târgovişte)에서는 차우셰스쿠 부부에 대한 사형판결과 동시에 총살형이 집행되었다. 또한 차우셰스쿠 부부의 시신은 헬리콥터에 실어 부카레스트로 옮겨졌고, 12월 30일 겐체아(Ghencea) 공동묘지에 매장되었다. 이로써 근 25년간 지속된 차우셰스쿠 족벌독재체제는 막을 내렸다. In 1980s, incidents which are unimaginable in Western Europe were going alone in Romania. For instance, Nicolae Ceauşescu enforced 'rural systematization' that made old people who were retired move to rural community and also young people move to cities. He also enforced 'bread coupon system' and 'self-declaration for typewriter system.' Especially, the Bible conferred by Western Europe countries were recycled to toilet papers. As The People's Palace, the Boulevard victory of socialism and the Civic Center were constructed for the modern Bucharest, lots of historic sites were demolished. After the revolution of 1989, the former prime minister of Romania, Ion Gheorghe Maurer mentioned "It was my huge fault that I made Ceauşescu the president of Romania, and his biggest fault was in the field of economy." Till early 1980s, the Romanian could not feel any difficulties in their lives under the "Golden Age of Ceauşescu." However, since Nicolae Ceauşescu decided to pay back all the foreign loan in the Communist Party congress on December 1982, Romania got huge economic depression. Especially, in 1989 when Romania finished to redeem the foreign loan, the situation in Romania intensified to the point of collapse throughout 1980s. Although the sign of Romanian revolution already showed at Iaşi on December 14, but the starting place of Romanian revolution was Timişoara on December 16. Thus, Romanian revolution was going alone for 10 days, 16 to 25 December when Ceauşescu's execution was taken place. As the demonstration which started at Timişoara spreaded all over the nation, Ceauşescu who came back in hurry from Iran, tried to hold a rally organized by government to show off his power at Republic Square located in front of Communist Party Central Committee Building. But Ceauşescu's speech was suspended with boos of the crowd and it was dispersed by the police. After that, the citizens of Bucharest did not go back to their home and assembled again at the University Square shouting "Overthrow Ceauşescu!" The National Salvation Front was established on December 22 and the Special Military Tribunal was also constituted 2 days later for judging Ceauşescu and his wife. Finally, Nicolae Ceauşescu and his wife were executed by firing on Christmas Day. After then, their corpses were moved to Bucharest by helicopter and buried in public cemetery of Ghencea on 30th December. Thus Ceauşescu's clan dictatorship lasted about 25 years has 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