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월 12일(十二月十二日)」 다시 읽기 -발표 매체의 특성과 문단사적 의미를 중심으로

        김영민 ( Young Mi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9

        이 논문은 발표 매체의 특성과 문단사적 의미 등을 중심으로 이상(李箱)의 첫 장편소설 「12월 12일」을 재검토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 연구사에서 논점으로 남아있는 몇 가지 사실들에 대해서도 함께 검토했다. 이상(李箱)은 한국 근대문학사를 대표하는 인물이면서 동시에 매우 예외적 인물에 속한다. 「12월 12일」은 한국 근대 잡지에 연재된 최초의 장편소설이라는 문단사적 의미를 지닌다. 신인 작가 이상의 장편소설 연재는 발표지가 국문판 『조선』이라는 매우 예외적인 매체였기에 가능했다. 국문판 『조선』은 당시 문단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른바 ``무명작가``들을 중심으로 문예면을 운용했다. 「12월 12일」의 연재를 시작할 무렵 국문판 『조선』의 시 작품 선자는 일본 작가 마쓰다 가쿠오였다. 당시 국문판 『조선』은 시와 소설의 선자를 별도로 두기보다는 이를 통합해 운용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 국문판 『조선』의 문예면 필자 선정 과정에서는 문단 경력 여부가 전혀 중요한 변수로 고려되지 않았다. 국문판 『조선』의 발행 주무부서인 관방문서과(官房文書課)와 이상이 근무하던 관방회계과(官房會計課) 사이의 관계는 이상의 등단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문판 『조선』은 문학청년 이상에게 자신의 작품 세계를 마음 놓고 시험해 볼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춘 잡지였다. 이상의 「12월 12일」이 연재 장편소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재소설이 쉽게 외면할 수 없었던 대중적 흥미 추구 구조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매체의 성격과 관계가 깊다. 이상의 소설들 가운데서도 특히 국문판 『조선』에 발표된 「지도와 암실」이나 「휴업(休業)과 사정(事情)」에서 내면 의식 강조의 실험성이 돋보이는 이유 또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국문판 『조선』의 편집자가 제3회부터 이 작품에서 ``인정미담``이라는 수식을 삭제한 이유는 이때부터 업을 둘러싼 비극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의 이름이 영문 ``X`` 대신 복자 ``×``로 인쇄된 것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기보다는 단순히 조판상의 편의성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반복과 순환은 「12월 12일」 뿐만 아니라, 이후 이상의 문학세계의 핵심을 점유하는 세계관과 기법으로 자리 잡게 된다. 「12월 12일」이 작가 이상의 정신세계의 미숙성과 서사기법의 한계를 드러내는 작품이라는 평가는 잘못된 것이다. 「12월 12일」의 서사 구조를 전반부와 후반부의 균열 및 불일치로 파악하는 것도 옳지 않다. 반복과 순환이라는 기법은 이상의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도안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이상이 직접 그린 「날개」의 삽화에서도 반복과 순환의 기법이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이상의 등단작 「12월 12일」에는 작가의 창작 행위와 관련된 근본적 고민들을 엿볼 수 있는 구절이 적지 않다. 이상은 ``어떤 국어``로 생각을 표현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지속 했던 것으로 보인다. 어떤 언어로 작품을 쓸 것인가 하는 고민은 결국 어떤 매체를 통해 작품을 발표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도 연결된다. 그는 자신이 원래 작성해둔 초고의 문체와는 관계없이, 작품의 발표 매체에 따라 최종 문체를 선택하고 결정했을 가능성이 크다. 「12월 12일」은 이러한 언어 혹은 문체 선택의 고민을 담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정제되지 않은 표현들로 인해 생겨나는 저항감에도 불구하고, 「12월 12일」을 정독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Leesang`s(이상) novel the December twelfth(「12월 12일」).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Chosun(조선) written in Korean alphabet Hangeul(한글). Leesang`s novel the December twelfth was serialized in the magazine Chosun from February to December in 1930. This paper will also focus on the value of the novel the December twelfth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In the past, the novel the December twelfth has received much attention. But, a relationship between the magazine Chosun and the literary work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The noticeable value of the December twelfth is that the work is the first novel serialized in modern Korean magazine. A new face as a writer Leesang could serialize the novel in the magazine Chosun, because the magazine was exceptional mass media in a history of modern Korean society. The editor of the magazine Chosun was generous to a new face and a government official. The editor of the magazine Chosun also has no interest in the achievement of commerce. Leesang was a public official in technical post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Chosun was published by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Chosun, Leesang could write the novel without a load to public interest. The Chosun was the most suitable mass media for a new writer like Leesang. He also could trie to make experimental short stories in the magazine Chosun written in Korean alphabet Hangeul by virtu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gazine. The December twelfth was the first work which applied the technique of ``repetition and circulation`` by Leesang. The ``repetition and circulation`` is not only writing technique but also view of the world for him. The skill of ``repetition and circulation`` is widely used in many kinds of art works by Leesang. He also used the same skill in drawing.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an opinion which insists that the structure of the December twelfth has a crack betwee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The structure of the December twelfth was a result of a carefully thought-out plan by the author Leesang. There are many passages in his works which shows a basic agony of the writer who tried to create original literary works. He may decide literary style according to the mass media in which his work is published. There is an evidence that shows agony of decision for literary style and language in the December twelfth.

      • KCI등재

        『十二月 十二日』 : 이상과 졸라와의 제휴

        심상욱(Shim Sang-wook) 韓國批評文學會 2010 批評文學 Vol.- No.37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ffiliation of Yi Sang’s Twelfth December and Emile Zola’s Experimental Novel by Edward W. Said’s Traveling Theory. Yi Sang wrote it with the main character ‘he’ as alta ego, Yi Sang himself. He dealt with the social background of 1920s in it. Naturalism in literature deals with the evil aspects of human life and is in varying degrees deterministic view. This current thought was affected to Yi Sang with various trends via Japan from Europe. The naturalistic writer uses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current science in his depiction of human life. He described a segment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the laws of scientific causality. The writer analyzes his characters and their social situations as the effects proceeding from various combinations of physical, emotional, and environmental causes. After all man was a phenomenon caused by certain hereditary and environmental forces. As we read it by comparative literary theory we should read the work according to context. Consequently, we can understand Yi Sang wrote the social situation in December Twelfth with Zola’s limited determinism in the 1930s’ colonial situation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