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리에 따른 미더덕의 생리기능성 효과 변화

        차용준(Yong Jun Cha),이희영(Hee Young Lee),정은정(Eun Jeong Jeo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미더덕류의 새로운 가공제품 개발에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미더덕과 흰멍게 생시료 및 가열조리 후의 생리기능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DPPH소거능으로서의 항산화능(EDA??)은 생시료에서는 미더덕(8.46 ㎎/㎖)이흰멍게(12.05 ㎎/㎖) 에 비해 활성이 높았으나, 가열조리 후에는 흰멍게는 생시료보다 오히려 1.3배 활성이 증가하였고, 미더덕에서는 70%의 잔존활성을 보였다. 생 미더덕은 B. subtilis, B. cereus 및 E. coli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가열조리 후에는 E. coli 를 제외하고는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흰멍게는 가열 후에도 생시료와 마찬가지로 S. typhimurium균을 제외한 모든 균에 활성이 있었으며, 농도(1,000-1,500 ppm)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ACE저해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전용해능은 항산화능과 마찬가지로 생시료는 미더덕이 활성이 높았고, 가열 조리후에는 흰멍게의 경우 1.4배의 활성이 증가하였다. For useful basic data in new ascidian processed product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wo ascidians, Styela clava and Styela plica-ta, in two conditions with fresh one and cooking one at 100℃ for 10 min. By fresh state, Styela clava (8.46 ㎎/㎖) had higher activity than Styela plicata (13.67 ㎎/㎖) in the antioxidative assay (EDA??), whereas Styela plicata (10.54 ㎎/㎖) had higher than Styela clava (12.05 ㎎/㎖) after cooking. Particularly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Styela plicata increased 1.3 times after cooking. Fresh Styela clava ha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lus subtilis, B. cereus, E. coli, whereas the activity appeared against E. coli only after cooking. However, antimicrobial activity in Styela plicata appeared against 4 gram positive bacteria (B. subtilis, B. cereus, S. aureus and L. monocytogenes) and E. coli, regardless of concentration level (1,000-1,500 ppm) and with/without cooking. ACE inhibitory activity was not observed in the samples. By cooking, the level of fibrinolytic activity increased to 1.79 from 1.24 plasmin unit/ml in Styela plicata, whereas the level decreased to 1.55 from 1.62 in Styela clava.

      • KCI등재

        가공방법 및 용매에 따른 미더덕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김진주(Jin?Ju Kim),김선정(Sun?Jung Kim),김선희(Sun?Hee Kim),박해룡(Hae?Ryong Park),이승철(Seung?Cheo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3

        신선한 미더덕 분쇄물로부터 열처리하지 않은 시료(FR), 110℃에서 15분간 열처리한 시료(H1), 120℃에서 5분간 열처리한 시료(H2), 동결건조한 시료(FD)를 제조하고, 이들로부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수율, 항산화활성, 항암활성을 조사하였다. 수분이 함유된 시료인 FR, H1, H2의 경우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전체적인 추출수율이 감소하였으나, 용매에 따라 회수되는 비율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을 이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건조시료인 FD의 경우 FR, H1, H2의 경우보다 전체적인 수율이 낮고 경향이 달랐는데, 아세톤에 의해 추출되는 양이 매우 줄었으며 물을 이용한 경우 매우 증가하였다. 미더덕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으로 측정하였다. FR, H1, H2은 아세톤>에탄올>메탄올 순으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모든 추출용매에서 FR>H1>H2의 순서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한편 FD는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고, 아세톤과 물 추출물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환원력의 경우, FR의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열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모든 용매에서 환원력은 감소하였다. FD의 경우에는 메탄올>에탄올>물>아세톤의 순서로 환원력이 측정되었다. 미더덕에 열처리를 한 경우, 열처리 온도가 상승할수록,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이 모두 감소하였다. 대장암 세포주 HT-29에 대한 미더덕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는 동결건조 미더덕의 아세톤 추출물이 500㎍/mL의 농도에서 약 42%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미더덕에 항산화력과 항암력을 가지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tyela clava was processed by four different kinds of method including FR (fresh S. clava), H1 (heat treated S. clava at 110℃ for 15 min), H2 (heat treated S. clava at 120℃ for 5 min), and FD (freeze dried S. clava). Each S. clava sample was treated with methanol, ethanol, acetone, and water, then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the extracts were evaluated. In extracts from non-dried S. clava (FR, H1, and H2), total extract yield decreased with increasing treated temperature. The extraction yield was in the order of ethanol> methanol>water>acetone among treated solvents. In case of dried S. clava (FR), the extraction yield was lower than non-dried samples, and was in the order of methanol>ethanol>water>acetone.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SA) of non-dried S. clava (FR, H1, and H2) was in the order of acetone>ethanol>methanol and heat treatment also decreased RSA. RSA of FD was the highest in ethanol extract, while acetone and water extracts did not show RSA. When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rmined by reducing power (RD), methanol extract of FR showed the highest values and heat treatment decreased RD, too. RD of FD was in the order of methanol>ethanol>water>acetone. The acetone extracts from FD showed significant anticancer activity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HT-29.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xtraction yield and properties of extracts from S. clava were dependent on processing temperature, solvent and/or physicochemical state. The appropriate extraction process should provide some valuable bioactive materials from S. clava.

      • KCI등재

        미더덕 껍질 분말을 함유한 어묵의 제조 및 품질 분석

        최소연(So-Yeon Choi),최은영(Eun-Yeong Choi),이경은(Kyung-Eun Lee),송애선(Ae-Sun Song),박소현(So-Hyeon Park),이승철(Seung-Cheo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1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미더덕 껍질을 활용한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미더덕 껍질을 분말로 만들어서 이를 각각 0, 1, 2, 5%씩 첨가한 튀김어묵을 제조하였다. 미더덕 껍질분말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 내부의 색도의 L값과 b값은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어묵표면의 L값, a값,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물성검사 결과에서는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와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 검사에서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첨가 군에서 AA가 나와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미더덕 껍질분말을 1% 첨가한 어묵의 경우에서 냄새, 색깔, 맛, 전반적인 수용도면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분말 함유량이 그 이상으로 증가할수록 관능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미더덕 껍질 분말을 1% 정도 어묵에 첨가하면 영양적, 물성적, 관능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고품질의 어묵이 제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tyela clava (Korean name: miduduk) tunic was produced as a byproduct after processing of S. clava. To utilize S. clava tunic, fish paste containing tunic powder was prepare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for color,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Increasing the amount of S. clava tunic in fish paste tended to decrease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the surface part of fish paste. Strength and hardness of fish past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tunic. All test samples with 3 mm thickness showed good flexibility and did not break even after folding in half four times. For overall acceptance in the sensory evaluation, fish paste containing 1% S. clava tunic acquired a relatively higher sc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clava tunic can be applied to fish paste products to improve quality and functionality.

      • KCI등재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곤약의 제조 및 품질 분석

        김시경(Si-Kyung Kim),김승완(Seung-Wan Kim),노수진(Su-Jin Noh),김연주(Yeon-Joo Kim),강지희(Ji-Hee Kang),이승철(Seung-Cheo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3

        수산물 가공 부산물로 여겨지는 미더덕 껍질을 소재로 한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건조한 미더덕 껍질에 물을 가하여 끓인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미더덕 껍질 추출물 함유 곤약을 제조하였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한 것으로 보아 항산화능을 보유하고 있었다. 미더덕 껍질 추출물 함유 곤약의 색도는 미더덕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지만 a값과 b값은 증가하였고, 갈색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미더덕 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곤약의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였으며, 절곡검사 결과 모든 곤약에서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맛과 향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미더덕 특유의 맛과 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질감과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곤약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인 선호도는 25% 농도의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곤약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적절한 농도의 미더덕 껍질 추출물을 이용하면 기존의 곤약과 비교하여 영양적, 물성적, 관능적으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는 제품이 제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tyela (S.) clava (Korean name: miduduk) tunic is produced as a by-product after processing of S. clava. For utilizing this tunic, a konjac containing the tunic extracts was prepared and the qualities evaluated for their color,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The tunic extract was prepared by boiling tunic with water, followed by filtration through filter paper. Significant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in the tunic extract.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unic extract in the konjac tended to decrease lightness (L) and increase the redness (a) and the yellowness (b) of the konjac. The strength and hardness of the konjac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tunic extract. All test samples with a 3 mm thickness had good flexibility and did not break even after 4 times folds. In sensory evaluations, the konjac containing 25% S. clava tunic extracts acquired a relatively higher score. The results suggest that S. clava tunic can be applied to konjac products to improve their quality and functionality.

      • KCI등재

        미더덕의 생리활성이 향상된 아임계수 추출물의 제조

        조민지(Min-Ji Jo),한지경(Ji-Kyoung Han),성수창(Su-Chang Sung),이승철(Seung-Cheo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1

        미더덕의 이용 다변화를 위하여 아임계수 추출물을 제조하고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미더덕은 동결건조 분말 상태로 10, 30, 60분 동안 다양한 온도(50, 100, 200, 300℃)에서 추출되었다. 아임계수 조건은 ACE 저해 활성, 항산화 활성, AChE 저해 활성과 같은 중요한 생리학적 특성을 상당히 증가시켰다. 200℃, 60분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ACE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나 더 높은 온도 조건인 300℃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라디칼 소거능은 300℃, 30분 추출물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AChE 저해 활성 또한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아임계수 추출이 미더덕의 생리활성을 증가시키는 유용한 가공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or diverse application of Styela clava (Korean name: miduduck) as a food material, subcritical water (SCW) extract was prepared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y was evaluated. To accomplish this, S. clava powder (0.1 g) was placed in a stainless vessel containing 10 mL of distilled water, after which SCW extraction was carried out at 50, 100, 200, and 300℃ for 10, 30, and 60 min. SCW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important physiological properties of the extract such a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ntioxidant activity, and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ory activity. The highest ACE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in samples subjected to SCW extraction at 200℃ for 60 min; however, the activity decreased at higher temperature (300℃). The SCW extract of S. clava prepared at 300℃ for 30 min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ChE inhibitory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CW extraction might be a useful method for increasing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S. clava.

      • KCI등재후보

        수온과 용존산소 변화에 따른 미더덕 Styela clava의 생존율 및 생리적 반응

        신윤경 ( Yun Kyung Shin ),박정준 ( Jung Jun Park ),박미선 ( Mi Seon Park ),명정인 ( Jeong In Myeong ),허영백 ( Young Baek Hur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3

        미더덕의 집단폐사가 주로 발생하는 여름철 고수온 및 빈산소에 의한 생물학적 지표를 찾아 대량폐사 원인구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온상승 및 용존산소농도 감소에 따른 미더덕의 생존율, 생리적 반응 및 조직학적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수온상승에 따른 생존율은 수온 23℃에서 63.3%, 26℃에서 56.6%였으며, 수온 29℃에서 노출 6일째 모두 사망하여 노출 6일 동안의 반수치사 수온은(6day-LT50)은 24.58℃ (19.48~35.48℃)였다. 용존산소 농도 감소에 따른 생존율은 노출 11일째 용존산소농도 4.0 mg L-1에서 20%였으며, 2.0 mg L-1에서는 모두 사망하였고, 반수치사용존산소 농도 (11day-LC50)는 3.88 mg L-1 (3.29~4.57mg L-1)였다.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질소 배설률은 임계수온 및 임계용존산소 농도이하에서 감소하였다. 수온 상승 및 용존산소 농도 감소에 따른 미더덕의 새낭, 소화관 및 피낭의 병리조직학적 결과는 각 기관을 구성하고 있는 상피세포층의 증식, 응축 및 괴사, 식세포및 혈구침윤, 섬모탈락, 근섬유 변성 등의 변성이 공통적으로 관찰되었다. 미더덕은 수온 24℃ 이상, 용존산소 3.8mg L-1 이하에서 조직학적 병변, 대사율 감소 등으로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한 생물이므로 여름철에 양성되고있는 미더덕의 양식장관리에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Decrease in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associated with temperature fluctuation is an important criteria to evaluate the mortality rate of the species. Based on this parameter, we investigated the survival rate, physiological response and histological change of warty sea squirt. It was found that the survival rate of the warty sea squirt species was 63.3% at 23℃ and 56.6% at 26..C respectively. However, exposure of six days at 29℃ caused deaths among species, which indicated the 6day-LT50 of the tested species to be 24.58℃(19.48~35.48℃). Further, after 11 day of exposure,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has been found to decrease, with the survival rate of 20% at 4.0 mg L-1 and deaths at 2.0 mg L-1, thus 11day-LC50 calculated to be 3.88 mg L-1 (3.29~4.57 mg L-1). In addition, decrease in rate of oxygen consumption and excretion of ammonia was also noted at this critical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 doxygen concentration. Moreover, there has been common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warty sea squirt’s gill pouch, digestive tract, and tunic as follows such as: proliferation of epithelial cells, condensation and necrosis, permeation of phagocyte and blood cell, loss of cilium and muscular fiber degeneration. Based on our study results, we suggest that these parameters can also be useful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other species.

      • SCISCIESCOPUS

        Effects of different cellulose membranes regenerated from <i>Styela clava</i> tunics on wound healing

        Song, Sung Hwa,Seong, Keum Yong,Kim, Ji Eun,Go, Jun,Koh, Eun Kyoung,Sung, Ji Eun,Son, Hong Joo,Jung, Young Jin,Kim, Hye Sung,Hong, Jin Tae,Hwang, Dae Youn UNKNOWN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Vol.39 No.5

        <P>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ree different cellulose membranes (CMs) manufactured from <I>Styela clava</I> tunics (SCTs) on the healing of cutaneous wounds. We examined the phys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effects of three CMs regenerated from SCTs (referred to as SCT- CMs), including normal CM (SCT-CM), freeze-dried SCT-CM (FSCT-CM) and sodium alginate-supplemented SCT-CM (ASCT-CM) on skin regeneration and angiogenesis using Sprague-Dawley (SD) rats. FSCT-CM exhibited an outstanding interlayered structure, a high tensile strength (1.64 MPa), low elongation (28.59%) and a low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 compared with the other SCT-CMs, although the fluid uptake rate was maintained at a medium level. In the SD rats with surgically wounded skin, the wound area and score of wound edge were lower in the FSCT-CM-treated group than in the gauze (GZ)-treated group on days 3–6 and 12–14. In addition, a significant attenuation in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was observed in the FSCT-CM-treated group. Furthermore, the expression level of collagen-1 and the signaling pathway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 were significantly stimulated by the topical application of FSCT-CM. However, no signs of toxicity were detected in the livers or kidneys of the three SCT-CM-treated groups. Overall, our data indicate that the FSCT-CM may accelerate the process of wound healing in the surgically wounded skin of SD rats through the regulation of angiogenesis and connective tissue formation without inducing any specific toxicity.</P>

      • KCI등재

        수온과 용존산소 변화에 따른 미더덕 Styela clava의 생존율 및 생리적 반응

        신윤경,박정준,박미선,명정인,허영백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3

        미더덕의 집단폐사가 주로 발생하는 여름철 고수온 및 빈산소에 의한 생물학적 지표를 찾아 대량폐사 원인 구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온상승 및 용존산소농도 감소에 따른 미더덕의 생존율, 생리적 반 응 및 조직학적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수온상승에 따른 생존율은 수온 23C에서 63.3%, 26C 에서 56.6%였으며, 수온 29C에서 노출 6일째 모두 사 망하여 노출 6일 동안의 반수치사 수온은(6day-LT50)은 24.58C (19.48~35.48C)였다. 용존산소 농도 감소에 따 른 생존율은 노출 11일째 용존산소농도 4.0 mg L-1에서 20%였으며, 2.0 mg L-1에서는 모두 사망하였고, 반수치사 용존산소 농도 (11day-LC50)는 3.88 mg L-1 (3.29~4.57 mg L-1)였다.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질소 배설률은 임계 수온 및 임계용존산소 농도이하에서 감소하였다. 수온 상승 및 용존산소 농도 감소에 따른 미더덕의 새낭, 소화관 및 피낭의 병리조직학적 결과는 각 기관을 구성하고 있는 상피세포층의 증식, 응축 및 괴사, 식세포 및 혈구침윤, 섬모탈락, 근섬유 변성 등의 변성이 공통적 으로 관찰되었다. 미더덕은 수온 24C 이상, 용존산소 3.8 mg L-1 이하에서 조직학적 병변, 대사율 감소 등으로 환 경변화에 매우 민감한 생물이므로 여름철에 양성되고 있는 미더덕의 양식장관리에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Decrease in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associated with temperature fluctuation is an important criteria to evaluate the mortality rate of the species. Based on this parameter, we investigated the survival rate, physiological response and histological change of warty sea squirt. It was found that the survival rate of the warty sea squirt species was 63.3% at 23˚C and 56.6% at 26˚C respectively. However, exposure of six days at 29˚C caused deaths among species, which indicated the 6day-LT50 of the tested species to be 24.58˚C(19.48~35.48˚C). Further, after 11 day of exposure, the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has been found to decrease, with the survival rate of 20% at 4.0 mg L-1 and deaths at 2.0 mg L-1, thus 11day-LC50 calculated to be 3.88 mg L-1 (3.29~4.57 mg L-1). In addition, decrease in rate of oxygen consumption and excretion of ammonia was also noted at this critical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 doxygen concentration. Moreover, there has been common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warty sea squirt’s gill pouch, digestive tract, and tunic as follows such as: proliferation of epithelial cells, condensation and necrosis, permeation of phagocyte and blood cell, loss of cilium and muscular fiber degeneration. Based on our study results, we suggest that these parameters can also be useful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and physiological response in other species.

      • KCI등재

        미더덕 함유 어묵의 품질 특성

        박선민(Sun-Min Park),이보배(Bo-Bae Lee),황영만(Young-Man Hwang),이승철(Seung-Cheo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7

        고품질 어묵의 개발을 위하여 항암성, 항균성 및 항산화작용이 있는 미더덕(Styela clava)을 각각 0, 5, 10, 15 및 20%첨가한 튀김어묵을 제조한 다음 색조변화, 물성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더덕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색도는 L값은 감소하는 경향, a값은 증가하는 경향, b값도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어묵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절곡검사의 결과로는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첨가군에서 AA가 나와 유연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성검사 결과에서 미더덕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어묵의 강도, 경도, 점착성이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관능검사의 결과로는 20%를 제외한 전 군에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맛과 조직감, 전체적인 선호도의 경우에도 시험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0%의 경우에는 맛이나 향기, 조직감, 색깔 면에 있어서 다른 것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더덕의 어묵에 첨가하는 것은 관능적으로 5% 정도의 적당한 양만 첨가한다면 물성적, 영양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얻을 수 있는 고품질의 어묵이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Fish paste containing Styela clava (Korean name: miduduk) was prepared for the supplementary value of the product, and it was evaluated for the color,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attributes. Increasing the amount of S. clava in the fish paste tended to increase the lightness (L), the redness (a), and the yellowness (b) in Hunter color values. All test samples with 3 mm thickness had good flexibility and did not break even after 4 times folds. Fish paste containing 20% S. clava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strength, hardness, and adhesiveness. In overall acceptance of sensory evaluation, fish paste containing 5% S. clav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non added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clava can be applied to fish paste products to improve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 KCI등재

        탄소 및 질소안정동위원소 조성에 의한 남해안 진동만 양식 미더덕의 먹이원 평가

        문창호,박현제,윤성규,곽정현,Moon, Changho,Park, Hyun Je,Yun, Sung Gyu,Kwak, Jung Hyun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4

        To examine the trophic ecology of the ascidian Styela clava in an aquaculture system of Korea,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s were analyzed monthly in S. clava, coarse ($>20{\mu}m$, CPOM) and fine particulate organic matters ($0.7<<20{\mu}m$, FPOM). CPOM (means: $-18.5{\pm}1.2$‰, $9.3{\pm}0.7$‰) were significantly higher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than those ($-20.5{\pm}1.5$‰, $8.4{\pm}0.5$‰) of FPOM. S. clava had mean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of $-18.9({\pm}1.7)$‰ and $11.6({\pm}0.7)$‰, respectively. S. clava were more similar to seasonal variations in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of FPOM than those of CPOM, suggesting that they rely largely on the FPOM as a dietary source. In addition, our results display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CPOM and FPOM as dietary source for the ascidian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each component in ambient environment, probably reflecting their feeding plasticity due to non-selective feeding irrespective of particle size. Finally, our results suggest that dynamics of pico- and nano-size plankton (i.e., FPOM) as an available nutritional source to S. clava should be effectively assessed to maintain and manage their sustainable aquaculture production. 2008년 4월에서 2009년 1월 사이에 진동만 미더덕의 섭식 생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20{\mu}m$ 이상(coarse particulate organic matter, CPOM) 그리고 $0.7{\mu}m$ 이상 $20{\mu}m$ 이하(fine POM)의 크기가 나누어진 각각의 부유입자유기물과 미더덕에 대한 ${\delta}^{13}C$ 과 ${\delta}^{15}N$ 값의 월별 변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CPOM과 FPOM의 ${\delta}^{13}C$ 및 ${\delta}^{15}N$을 월별로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CPOM(평균 $-18.5{\pm}1.2$‰, $9.3{\pm}0.7$‰)이 FPOM(평균 $-20.5{\pm}1.5$‰, $8.4{\pm}0.5$‰)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미더덕의 ${\delta}^{13}C$과 ${\delta}^{15}N$ 값은 각각 평균 $-18.9({\pm}1.7)$‰과 $11.6({\pm}0.7)$‰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비값들은 CPOM 보다는 FPOM의 월별 변동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이들이 CPOM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FPOM에 더 높은 영양 의존도를 가진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해 주었다. 그러나 미더덕의 먹이원으로서 CPOM과 FPOM의 상대적인 중요성은 시기에 따른 각 요소의 가용성(availability)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부유입자물질의 크기에 관계없이 미더덕에 의한 비선택적 먹이 섭식을 잘 반영하는 듯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더덕의 지속적인 양식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가용 먹이원으로서 식물플랑크톤과 함께 미소 부유입자유기물의 유용성을 고려해야함을 잘 나타내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