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연구역의 자동 차압센서 개발에 관한 연구

        이동명,Lee. Dong-Myung 한국방재학회 200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온도가 보상된 대기압을 제연구역의 기준압력으로 설정하기 위한 공학적인 메커니즘과 보상방법을 정렵하였고, 차압센서의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 알고리즘 확립과 엔지니어링 데이터 구축으로 신뢰성이 확보된 차압센서를 개발하였다. 차압센서를 개발함으로서, 첫째, 비제연구역의 압력측정을 위해서 별도로 설치되는 압력측정관을 생략할 수 있어 제작단가와 설치비용 및 작업공수를 줄이고, 둘째, 층별 제연구역의 차압측정을 위한 비제연구역의 압력측정포트를 시스템에 일체화함으로서 차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셋째, 기존의 개별제어 방식에서 제연시스템으로부터 중앙집중식 통합관리를 함으로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차압을 얻을 수 있고, 시스템에 유연성을 부과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통합 제연시스템의 기틀을 마련하고 제연의 유연성을 주며 방재성능을 향상시킬 것으로 본다. This study defined engineering mechanism and compensation method to establish reference pressure of smoke control zone with atmospheric pressure that is compensated for temperature. The reliable pressure differential sensor was developed by establishing the specifications, algorithms and constructing engineering data. The development of pressure differential sensor can cut down number of processes,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cost by removing pressure measurement pipe established separately for non smoke control zone, and improve the accuracy of pressure differential by embedding pressure measurement ports for non smoke control zone. More correct and reliable pressure differentials can be obtained by the central control rather than the existent individual control. This will provide the basics and the flexibility to the integral smoke control system and according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disaster prevention.

      • 무지향성 급기가압 제연댐퍼 상용화 연구

        정민호(Min Ho Chung),박준원(Jun Won Park),김민기(Min Gi Kim),이병석(Byung Seok Lee),배상환(Sang Hwan Bae) 대한설비공학회 201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6

        우리나라 공동주택은 10층, 일반 건축물은 11층 이상의 경우 전층에 대해 제연설비를 설치해야 하며 대부분 부속실이 있는 특별피난계단이 설치되고, 이 부속실을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으로 겸용하고 있는 구조이다. 그런데, 기존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제연댐퍼는 방화문의 위치에 따라 방연풍속을 확보하지 못하고 강력한 와류에 의해 오히려 화재를 확산시키는 경향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제연댐퍼의 위치에 따라 방연풍속을 제대로 학보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완하여 위치에 상관없이 방연풍속을 100% 확보하고,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급기가압 제연성능 향상을 위한 무지향성 급기가압 제연댐퍼를 개발하였다.

      • 댐퍼 위치가 구획문의 유동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문효준(H.J. Moon),김홍진(H.J Kim),Andrey Burakov,고권현(G.H. Ko),유홍선(H.S. Ryou)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2 한국전산유체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The pressurized smoke control system is important for fire safety in building because it is directly concerned with egress time of people. Even though the damper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pressurized smoke control system, the research for a position of damper effects on distribution of air flow at the compartment door is not performed.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 using FDS 5.0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osition of damper on flow distribution at the compartment door. To simulate real situation, effects of opening and closing of compartment door was considered. When the damper is on the opposite wall of the compartment door, the back flow to the lobby is large compared to the two other cases of damper position.

      • 제연설비의 성능안전에 미치는 요소분석에 관한 연구

        주세영(Ju Se Young),손봉세(Son Bong Sei) 대한설비공학회 201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6

        이번 논문에서는 초고층 건물이 많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피난시간 확보와 소화활동을 위해 필요한 제연설비의 성능에 위험을 주는 요소가 무엇인지 연구하였고, 그 중심에는 제연댐퍼의 성능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각 성능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